• 제목/요약/키워드: Yeast extract

검색결과 1,359건 처리시간 0.029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Arthrobacter sp. PAMC 25486의 카로티노이드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Carotenoids Production by Arthrobacter sp. PAMC 25486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도;최종일;한세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834-83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Arthrobacter sp. PAMC 25486의 carotenoids 생산 배지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Placket-Burman 방법을 이용하여 yeast extract, $MgSO_4$, dextrose가 carotenoids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표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최대 carotenoids 생산 농도를 갖는 yeast extract, $MgSO_4$, dextrose의 농도를 계산한 결과 1 g/L yeast extract, 0.0879 g/L $MgSO_4$ and 1 g/L dextrose의 농도에서 최대 307 mg/L의 carotenoids 농도가 예측됐으며, 실제 배양 결과 288 mg/L carotenoids가 얻어졌다. 얻어진 농도 값은 최적화 이전의 값에 비하여 200%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미생물 배양에 의한 carotenoids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지최적화 방법으로서 반응표면분석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까나리 액젓 부산물의 미생물 배지화를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icrobial Culture Medium by Using By-Product of Salt-Fermented Kanary)

  • 원혜진;함영태;김혜경;김병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202-206
    • /
    • 2000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까나리 액젓부산물을 건조, 분쇄하여 미생물 배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균주로는 Escherichia coli$(Gram^-)$, Bacillus subtilis$(Gram^+)$ 발광미생물인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LB 배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까나리 액젓부산물 배지는 E. coli나 B. subtilis와 같은 미생물에 필요한 일부 성분이 LB 배지에 비해 부족함을 보였다. 탄소원은 까나리 부산물 자체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rowth factor yeast extract 0.5%를 까나리 액젓부산물배지에 첨가하거나, 단백질원인 0.5% peptone과 0.3%의 yeast extract 혼합물을 보강한 까나리 액젓 부산물배지에서는 LB 배지와 같은 세포증식을 보였으며 각 까나리 액젓부산물배지의 제조단가는 LB 배지 조성단가의 46%, 19% 정도로 매우 저렴하였다. 또한 P. phosphoreum은 까나리 부산물 배지에 염과 glycerol을 첨가한 결과 생체발광을 보였다. 따라서 폐기 처분되고 있는 까나리 액젓부산물을 미생물배지로의 자원화와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티아민의 영향 (The Effects of Thiamin on the Fruiting of Lentinula edodes)

  • 신갑균;이상원;김사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0-505
    • /
    • 1999
  • 효모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을 검토한 결과, 그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은 티아민이었으며, 티아민은 유리의 형태로만 존재하고, 티아민 일인산, 이인산 및 삼인산 에스테르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효모추출물 1g중에 함유된 티아민의 량은 436$\mu\textrm{g}$이고, 그 전체량의 약 76%에 상당하는 332$\mu\textrm{g}$의 티아민이 Fraction II에, 약 20%에 해당하는 87$\mu\textrm{g}$이 Fraction I 에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티아민은 표고버섯의 영양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생식생장에 관여하여 자실체의 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다.

  • PDF

기능성 원료를 기질로 이용하는 Monacolin-K 고함유 모나스커스 균주의 생산배지 최적화 (Production Medium Optimization for Monascus Biomass Containing High Content of Monacolin-K by Using Soybean Flour Substrates)

  • 이선규;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63-46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홍국균 (Monascus pilosus)을 이용하여 이차대사 산물인 monacolin-K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탄소원 또는 질소원으로 콩 분말을 기질로 하여 배지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생산 배지에서 탄소원으로 콩 분말을 적용한 실험에서는 soluble starch 대신에 콩 분말을 전량 또는 50% 대체하였을 경우 전 실험구간에서 monacolin-K 생산량이 대조구의 50% 미만으로 생산되거나 전혀 생산되지 않았다. Soluble starch 대신에 sucrose를 사용한 실험의 경우 monacolin-K와 건조균체량은 각각 262 mg/L, 31.6 g/L로 대조구의 218 mg/L, 30.2 g/L보다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생산배지의 탄소원으로 sucrose를 변경하였다. 생산배지의 질소원으로 사용하는 yeast extract (15 g/L), malt extract (40 g/L), beef extract (30 g/L) 대신에 3종류의 콩 분말로 대체 실험을 한 결과, 대조구에서 monacolin-K는 262 mg/L를 생산되었고, yeast extract 50% 대신에 DSM 콩 분말을 사용한 실험구에서는 monacolin-K를 215 mg/L을 생산되어 가장 좋은 결과를 냈다. 따라서 생산배지에 yeast extract 50% 대신에 DSM 콩 분말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Plackett-Burman Design 실험계획법에 의한 실험결과 monacolin-K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yeast extract, beef extract, (NH4)2SO4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nacolin-K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 3가지로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을 수행한 결과 최적배지 조성은 sucrose 96 g/L, DSM 7.5 g/L, yeast extract 8.4 g/L, $(NH_4)_2SO_4$ 12.0 g/L, malt extract 40 g/L, beef extract 26.7 g/L, $Na_2HPO_4$ 0.5 g/L, L-Histidine 3.0 g/L, $KHSO_4$ 1.25 g/L 이고, monacolin-K 생산 예상량은 369.9 mg/L 이었다. 최적배지를 이용하여 홍국균을 $27^{\circ}C$, 200 rpm 조건에서 플라스크 배양 한 결과 monacolin-K 생산량과 건조균체량은 각각 418 mg/L, 27.1 g/L이었다. 결과적으로 monacolin-K 생산과 균체량의 감소 없이 콩 분말을 이용한 배지성분의 변화는 어느 정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알려진 고가의 질소원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초기부터 균의 형태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와 발효환경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쌀단백질 효소분해물을 이용한 효모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Yeast Extract Using an Enzyme Hydrolysate of Rice Protein)

  • 이형진;정하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43-249
    • /
    • 2011
  • 쌀단백질을 효소분해하여 제조한 배양액으로 천연조미소재로 사용할 효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조사하였다. 쌀단백질(5%, w/w)을 단백분해효소 인 $Delvolase^{(R)}$로 효소분해한 상등분획에 3%(w/w) 수준으로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 조건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2.3 g/L의 효모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효모에는 RNA가 188.1 mg/g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GMP 및 IMP는 각각 $650.33{\pm}48{\mu}g/g$, $69{\pm}21{\mu}g/g$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효모추출물에 효모배양액의 제조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Rrh)을 혼합하면 감칠맛이 상승하였는데 미각센서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효모추출물의 감칠맛이 4.88에서 Rrh의 첨가 후에는 9.25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감칠맛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효모추출물에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이 추가되면 효소분해 과정 중 생성된 다양한 맛 성분으로 인해 감칠맛 이 상승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천연조미소재 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각종 효소를 이용한 맥주 폐효모로부터 효모추출물 제조 (Preparation of Yeast Extract from Waste Brewer's Yeast using Various Enzymes)

  • 이옥환;이성갑;손종연;김경임;김현덕;이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67-872
    • /
    • 2002
  • 정미성이 높은 효모 추출물을 얻고자 각종 효소의 사용에 대한 최적 조합 및 공정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맥주 폐효모박을 각종 효소로 처리하여 효모추출물 중의 정미성분(IMP, GMP 및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Glucanase(0.5%) 처리에 의한 효모추출물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33.6% 이었다. Tunicase(1%) 28.0% 와 무처리구 21.1%에 비해 최고 1.6배의 증가를 보였다. 단백질 분해효소처리에 의한 조단백질의 함량은 bromelin(1%), protamex(1%) 처리에서 각각 30.8%, 29.8%로 무처리구에 비해 최고 1.4배의 증가를 보였다. 효소 복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glucanase(0.5%)+protamex(1%) 처리구에서 조단백질의 함량이 34.4%로 나타나 glucanase 단독처리구의 33.6%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IMP+GMP 총함량은 glucanase + phophodiesterase + adenyldeaminase (G+P+A) 혼합 처리구에서 1,066 mg/100 g, glucanase + ptotamex + phophodiesterase + adenyldeaminase (G+Pro+P+A) 혼합 처리구에서는 1,047 mg/100 g으로 비슷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protamex가 첨가된 G+Pro+P+A 혼합처리구에서 2,302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IMP, GMP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모두 고려해 볼 때 세포벽 분해효소 (gulcanase 0.5%, 12시간), 단백질 분해효소 (protamex 1%, 3시간), 핵산 분해효소 (phosphodiesterase 0.1%, 3시간) 및 핵산 전이효소 (adenyldeaminase 1%, 1.5시간)를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가수분해시키는 것이 효모 추출물의 정미성을 높이는 최적의 효소 복합 사용공정으로 판단되었다.

Yeast Extract: Characteristics, Production,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 Zekun Tao;Haibo Yuan;Meng Liu;Qian Liu;Siyi Zhang;Hongling Liu;Yi Jiang;Di Huang;Tengfei 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51-166
    • /
    • 2023
  • Yeast extract is a product prepared mainly from waste brewer's yeast, which is rich in nucleotides, proteins, amino acids, sugars and a variety of trace elements, and has the advantages of low production cost and abundant supply of raw material. Consequently, yeast extract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s animal feed additives, food flavoring agents and additives, cosmetic supplements, and microbial fermentation media; however, their full potential has not yet been realiz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urrent research knowledge, this review summarizes the ingredients, produc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of yeast extracts,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perties and applications. Developmental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yeast extract are also preview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future applications.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최적 자가 소화 조건 결정 (Optimization for Autolysis of Brewers Yeast Slurry)

  • 손상목;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05
    • /
    • 2003
  •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를 자가 소화시키고 상등액을 농축하여 조미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맥주 효모의 세포벽에 부착되어 있는 호프 쓴맛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에 20%(w/v) NaOH 용액을 가하여 pH 9.8로 맞추고, 약 5분간 방치한 후 즉시 원심분리하면서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효모 쓴맛 정도는 24.1 bitterness unit(BU)로서 threshold value 25.0 BU 미만이었다. 세척한 효모를 자가 소화시킨 후 수율[(수득한 효모추출물의 고형분 무게)/(투입 효모슬러리의 고형분 무게)${\times}100$]을 조사한 결과, 효모슬러리 농도를 $9{\sim}10%(w/w)$로 하고, 온도 $53^{\circ}C$, pH 6.8에서 20시간 이상 자가 소화시키면 34%(w/w)이상, 최대 38%(w/w)까지의 수율로 효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유산균(乳酸菌) Starter의 생육촉진(生育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Growth Stimulation of Lactic Starter)

  • 김종우;이영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40-50
    • /
    • 1992
  • 산효유제품(酸酵乳製品) 제조시(製造時) 유산균(乳酸菌) Starter의 산효성(酸酵性)을 촉진(促進)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Bulk medium에 Bios 2000, CR starter medium 및 Yeast extract를 각각(各各) 1.5%씩첨가(添加)하고 Lac. bulgaricus, Str. thermophilus 및 Lac. casei를 접종(接種) 배양(培養)하고 산도(酸度), pH 및 유산균수(乳酸菌數)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Lactobacillus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산(酸) 생성도(生成度)는 Control구(區)는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0.99%에 이르렀는데 비하여, CR starter mediurn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1.0%이었고,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1.12% 이였으며, Bios 200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0시간(時間)만에 0.97%로써 가장 빠른 산생성도(酸生成度)를 보였다. 2. Lac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pH의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는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4.03이였는데 반하여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4.10에 이르렀다. 또한,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3.97,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배양(培養) 12시간(時間)에 4.05를 나타내었다. 3. Lac. bulgaricus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배양(培養) 16시간(時間)에 $3.1{\times}10^{10}/ml$이 되었는데 반하여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10시간(時間)에 $2.1{\times}10^{10}/ml$에 이르러 가장 빠른 생육(生育) 촉진현상(促進現狀)을 보였다. 한펀,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時間)에 $2.9{\times}10^{10}/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時間)에 $3.8{\times}10^{10}/ml$를 나타내었다. 4.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배양(培養)중 Acidlty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만에 0.92%에 이르렀으며,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0.96%,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0% 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Str. thermophilus 배양(培養)중 pH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에 4.27 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4.33,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25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Str. thermophilus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4시간(時間)에 $9.8{\times}10^{9}/ml$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9.5{\times}10^{8}/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9.6{\times}10^{8}/ml$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2.0{\times}10^{9}/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Lactobacillus casei 균종(菌種)의 배양(培養) 중의 Acidity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0.92%에 이르렀으며,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0.95%,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1.01%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0.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Lac. casei 균종(菌種)의 배양(培養)중 pH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4.27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4.21,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4.15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4.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Lac. casei균종(菌種)의 배양(培養)중 유산균수(乳酸菌數) 변화(變化)는 Control구(區)가 40시간(時間)에 $9.4{\times}10^{7}/ml$이고, CR starter medium 첨가구(添加區)는 40시간(時間)에 $1.1{\times}10^{8}/ml$, Yeast extract 첨가구(添加區)는 36시간(時間)에 $5.0{\times}10^{8}/ml$이었다. 한편, Bios 2000 첨가구(添加區)는 32시간(時間)에 $6.4{\times}10^{8}/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인삼성분이 효모의 알콜저장에 미치는 영향 1. 효모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lcoholic Frementation by Yeast 1. Effect on the physiology of Yeast)

  • 박세호;유태종;이석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39-147
    • /
    • 1981
  •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and ginseng saponins on alcoholic fermentation was studied 1. Alcoholic fermentation on gllicose medium at 30$^{\circ}C$. by Saccharomyces coveanus and Saccharomyces uvavum was stimulated when the media contained 5% and 10 % of ginseng extract, respectively. But tha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inhibites by the addition of 10% of ginseng extract. 2. Saponin did not stimulate the alcoholic fermentation by Saccharomyces uvarum. 3. The yeast cell counts was increased remarkably by addition of ginseng extract while that of ginseng saponins was increased slightly. Dried cell weight of the broth which Contained 5% of ginseng extract was 3 times than that of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