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r-round produc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6초

Optimal Timing and Duration of Cold Application for Breaking Diapause in Queens of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 Yoon, Hyung Joo;Lee, Kyeong 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8권2호
    • /
    • pp.51-57
    • /
    • 2014
  • Bumblebees are important pollinators of crops and wildflowers. The Korean native bumblebee, Bombus ignitus, undergoes one generation per year, and induction of artificial hiberna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Keeping queens under cold treatment conditions for several mo is an effective method for terminating their diapause and promoting colony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timing and duration of chilling affect the artificial hibernation of B. ignitus queens. In the timing assessment, cold treatment was instituted at 12 d, 40 d, or 100 d after eclosion under a constant temperature of $5^{\circ}C$ and 80% humidity. The queens that entered cold treatment at 12 d after emergence evidenced the highest survival rates: 86.7% at two mo, 73.3% at three mo, and 46.4% at 4 mo. Survival rates were reduced under storage conditions at 12 d, 40 d, and 100 d after emergence. When queens were subjected to chilling at 8 d, 12 d, or 16 d after eclosion with constant 80% humidity, the queens stored at 12 d after eclosion exhibited the highest survival rates, which were 84.6 at one mo, 25.0% at two mo, and 7.9% at three mo. In regards to the duration of the cold period, the queens that hibernated for at least two mo evidenced optimal colony development rates.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f queens hibernated for two mo were 60.0%, 30.0%, and 13.3%,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6.0 to 13.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queens that hibernated for 15 d. Therefore, a cold period of at least 2 mo applied 12 d after emerg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for diapause break in B. ignitus queens.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o Break Diapause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terrestris

  • Yoon, Hyung-Joo;Lee, Kyeong-Yong;Hwang, Jae-Sam;Park, I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2호
    • /
    • pp.93-98
    • /
    • 2010
  • Bumblebees are widely used to pollinate various crops, especially tomato, in greenhouses and fields. An artificial hiberna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which passes through one generation per year.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a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ffect artificial hibernation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terrestris. In chilling temperature regimes of $0^{\circ}C$, $2.5^{\circ}C$, $5^{\circ}C$, $7.5^{\circ}C$ or $12.5^{\circ}C$ under constant humidity >70%, the queens stored at $2.5^{\circ}C$ exhibit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which was 74.0% at one month, 67.0% at two months, 60.0% at three months, 46.0% at 4 months, 33.0% at 5 months, and 24.0% at 6 months. Rates of survival decreased at the following temperatures: $0^{\circ}C$, $5^{\circ}C$, $7.5^{\circ}C$ and $12.5^{\circ}C$. Colon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fter diapause were 1.2- to 1.5-fold higher than those of queens stored at $5^{\circ}C$. In terms of chilling humidity, the queens hibernated at 70% under $2.5^{\circ}C$ exhibit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which was $93.3{\pm}3.4%$ at one month, $83.3{\pm}0.0%$ at two months, $76.7{\pm}0.0%$ at 3 months and $36.7{\pm}12.1%$ at 5 months.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f queens hibernated at 70% were 80.8%, 30.8% and 30.8%, respectively. These values correspond to 1.7- to 3.3-fold increases in comparison to queens stored at 50% humidity. Therefore, $2.5^{\circ}C$ and 70% R.H. were the favorable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diapause break of B. terrestris queens.

웹 카메라를 이용한 시설 내 국화생산 광 환경 원격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of light environment using web-camera for protected chrysanthemum production)

  • 정선옥;김용주;이규호;성남석;이철휘;노현권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47-453
    • /
    • 2015
  • Increase of national family income improved demand of high-quality and year-round hort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hrysanthemum. To meet these demand, farmers have introduced protected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of which environmental conditions could be monitored and controlled. Environment management up to three weeks after transplanting is critical for chrysanthemum quality. Artificial lighting and light-blocking screen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long-day (day period > 13 hours) and short-day (night period > 13 hours) treatments. In this study, a web-camera was installed, and the image was obtained and transmitted to mobile phones to monitor the status of 3-wavelength(RGB) lighting environments. RGB pixel values were used to determine malfunctioning of the lighting lamps, and leaking out and incoming illumination status during short-day and long-day treatment periods. Normal lighting lamps provided RGB pixel values of 240~255. During long-day treatment period, G pixel values were useful to detect abnormal lighting conditions (e.g., leaking). During short-day treatment period, R pixel values were useful to determine incoming light (e.g., sun-light).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remote monitoring of light conditions for protected chrysanthemum production under artificial lights.

화색이 우수한 복색 홑꽃 스프레이국화 'Noble Wine'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Noble Wine' with Good Color, Single Type and Bi-color Petals for Cut Flower)

  • 황주천;진영돈;정용모;김수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40
    • /
    • 2009
  • 'Noble Wine'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백색 홑꽃인 'SL03-01'을 모본, 복색 홑꽃인 'Artist Pink' 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3년에서 2007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봄 촉성재배와 가을 억제재배 조건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Noble Wine'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26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가 5.4 cm인 소륜으로 꽃 하나의 꽃잎수가 21.6개정도이고 착화수도 28.5개로 많은 편이다. 화색은 복색(백색/적색)이며, 녹색화심을 가졌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Noble Wine' 품종의 개화소요일수는 45일 정도이며, 가을 절화수명은 21.3일로 나타났다.

인공광원이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ar. cv. 'CF Jelly') 생육에 미치는 영향 (Artificial Light Sources Influence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var. cv. 'CF Jelly') Growth and Development)

  • 허정욱;백정현;홍영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5-251
    • /
    • 2022
  • BACKGROUND: Selection an suitable light source is essential in the year-round production of horticultural crops in closed production systems such as plant factory with controlled environm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of cherry tomato'CF Jelly'(Lycopersicon esculentum var.) under high-pressure sodium lamps (HPS), metal-halide lamps (MH), and LEDs. METHODS AND RESULTS: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s was controlled at 220±30 µmol/m2/s with 12 hrs of photoperiod for a day. Flower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faster in HPS and MH treatments compared to the LE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f number and leaf shape under the HPS and MH treatments. Reproductive growth of cherry tomato was significantly promoted by the LEDs treatment of blue plus red lights. Fruit yield per plant also increased under the LEDs compared to the others. CONCLUSION(S): Growth, flowering, and fruit setting of the cherry tomato were accomplished by the artificial lights under plant factory conditions. The HPS treatment showed negative effect on fruit quality in terms of blossom-end rot incidence compared to the LEDs or MH treatment. Effect of the LEDs on promotion of fruit weight and yield was also prove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for improving sugar metabolism or decreasing disease in the fruits under plant factory system using only artificial lights.

경대식(慶大式) 분무(噴霧) 수경재배(水耕栽培)를 통(通)한 청초(靑草) 사료(飼料)의 연중(年中) 생산체계(生産体系) 확립(確立)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여름철 옥수수 청초(靑草) 사료생산(飼料生産)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Year-Round Fresh Forage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Kyungpook University's Spraying Hydrophonics -II. Fresh Corn Forage Production in Summer)

  • 김달웅;김인섭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29-33
    • /
    • 1984
  • 여름철에 분무(噴霧) 수경재배(水耕栽培)를 통(通)해 옥수수의 청초(靑草) 사료(飼料) 생산(生産)에 관(關)한 실험(實驗)을 하기 위하여 1985년(年) 6월(月) 28일(日)부터 7월(月) 17일(日) 까지 경북대학교내(慶北大學校內) 비닐하우스에서 실시(實施)한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4시간(時間) 침종(浸種)후 48시간(時間) 전처리(前處理)한 다음 치상한 것이 생육(生育)에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2) 육묘(育苗) 상자당(箱子當) 450 g 치상한 것이 생초(生草) 1kg 생육(生育)에 드는 종자(種子)값이 가장 적게 들었다. 3) Hyponex 1,000배, Yogen 300배로 영양제(營養劑)를 매일(每日) 산포(散布)하는 것이 생체중(生體重)이 가장 무거웠고, 2일(日)에 1회(回) 산포시(散布時)는 Yogen 300배로, 3일(日)에 1회(回) 산포시(散布時)는 Hyponex 500배로 산포(散布)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그러나 생초(生草) 1 kg 생육(生育)에 드는 최소(最少)의 종자(種子)값만 73만원 정도(程度)의 비용(費用)이 들므로 여름철엔 청초(靑草) 사료(飼料) 구입(購入)이 용이(容易)한 계절(季節)인 관계(關係)로 여름철에 별(別)로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이 못된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경남지방에서 조사료 주년생산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ropping System for Year-Round Cultivation of Forage Crops in Gyeongnam Province)

  • 강달순;김대호;신현열;손길만;노치웅;김정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52
    • /
    • 2009
  •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에서 하계작물에서는 수수${\times}$수단그리스 교잡종이 청예수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옥수수이었으며, 건물수량은 옥수수>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수수>귀리의 순이었다. 작부체계에서 동계작물의 종류가 하계작물의 청에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있었다. 동계작물들의 청에 및 건물 생산량은 5월 중순 예취시 귀리가 가장 많았으며, 트리티케일>이탈리안 라이그라스>호밀>청보리의 순이었다. 앞작물로 재배된 하계작물의 종류가 동계작물의 청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였다. 하계작물의 사료가치는 귀리가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ADF는 수수, 그리고 NDF는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이 다소 높았다. 또한 옥수수가 RFV와 TDN이 가장 많았다.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은 귀리가 가장 높았으나, ADF와 NDF 등의 섬유소 함량은 작물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FV는 호밀과 트리티케일에서 높았으며, 귀리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TDN 함량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년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조합별 건물 생산량은 옥수수와 호밀, 옥수수와 트리티케일에서 가장 높아 유망한 작부체계로 보였다. 한편 옥수수와 트리티케일, 옥수수와 호밀, 그리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과 트리티케일/호밀의 작부체계가 TDN 생산량을 고려할 때 유망한 작부조합으로 나타났다. 토양 pH, EC 및 유기물 함량은 시험전에 비해 시험후에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예취시기별 동계작물의 사료가치를 검토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4월 중순보다 5월 중순 예취시 많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 하였다. 또한 RFV와 TDN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다.

보리이모작 만파 옥수수의 품종별 생육 및 수량변화 (Changes of Growth and Yield of Late-planted Maize Cultivar for Double Cropping with Barley)

  • 서종호;손범영;이재은;권영업;정건호;백성범;성장훈;김욱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32-238
    • /
    • 2010
  •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보리이모작으로 옥수수를 6월 만파 시 사료용 및 종실용으로의 생육 및 수량변화를 2007 및 2009년의 4월 하순 적파 및 2008년 5월 하순 옥수수와 대비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월 하순 적파에 비해 보리 이모작으로 6월 중 하순 만파 시 옥수수의 생육 많이 감소하여 사료 종실의 수량성이 20~30% 감소하였지만, 이모작으로 동계 재배한 보리의 사료 종실의 수량성을 합할 경우 년간 전체 수량성은 30~40% 증가하였다. 2. 6월 만파 시 옥수수 부위별로는 간엽보다 이삭(종실)의 감소가 적었다. 사료 및 종실용으로 수량감소가 가장 적었던 품종은 광평옥이었으며, 6월 만파에서도 850 kg $10a^{-1}$의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모작 옥수수는 사료용 보다 종실용으로 만파적응 품종 및 재배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6월 만파 옥수수는 4월 적파 옥수수보다 유효적산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출사일수는 40일 가량 단축되었고, 만파에 따라 출사기는 1달 정도 늦어 수확적기는 사료용이 9월 하순, 종실용이 10월 중순으로 4월 적파 옥수수에 비해 수확 시 기후조건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유통업체 구매담당자의 농산물 구매 행태에 관한 연구 (How do Merchandisers in Large Retailers Purchase Agriculture Products?)

  • 우영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5호
    • /
    • pp.123-1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7개 대형유통업체 신선식품(농산, 수산, 축산, 가공식품) 구매담당자(Merchandiser, MD)를 대상으로 구매 행태를 분석하였다. 특히 대형유통업체의 산지 공급업체와의 거래 특성과 산지 직구입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대형유통업체 구매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산지 공급업체 선정시 안정적인 물량 공급, 품질관리, 적극적인 경영마인드, 저렴한 가격, 차별화 상품 제안 순으로 중요하게 보았다. 산지 직구입과 관련하여 직구입 거래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기존의 주요 거래대상인 벤더업체와 도매시장보다 높았고, 직구입 거래대상 중에는 영농조합 법인(농업번인 포함)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이 농협중앙회, 단위농협순이다. 공급 업체와의 거래에서 대형유통업체 구매담당자는 2년 이상 장기간 거래를 선호하고, 계약가격 결정시에는 시장시세(50.9%), 생산원가(31.2%) 및 동업계 판매가(18.0%)를 활용하였다. 산지 유통조직이 소비지 유통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생산의 조직화, 규모화 및 유통 채널의 전문화 전략이 필요하다. 공급 시스템의 지속성과 안정성이 요구되어 생산조직 간 연계를 통한 연중 공급 가능한 대응 체계 구축 역시 중요하다. 또한 시장 교섭력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소비지 다양한 시장 정보 수집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PDF

중부지역 논 재배 사료용 밀의 품종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Biomass and Feed Value of Forage Wheat in Central Region at the Paddy by Cultivars)

  • 조현민;신명나;심강보;한아름;전원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79-88
    • /
    • 2022
  • 중부지역에서 사료용 밀의 건물 생산 특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 시험 포장에서 최근 육성·등록된 '청우'와 '태우' 품종을 이용하여 2년간 수행하였다. 사료용 밀 품종 조숙형 '청우'와 만숙형 '태우'의 숙기에 따른 출수기는 11-13일 정도 차이를 보였다. 동일 품종 내 연차 간 출수기는 1년차에 비해 2년차 재배에서 '청우'가 3일, '태우'가 1일 지연되었다. 초장은 약 4-12%, 수장은 85-95% 정도 '태우'가 길었고(p<0.001), 경수는 '청우'에서 약 94-104% 정도 많았다(p<0.001). 생체수량은 1년차 재배 시 '태우'가, 2년차 재배 시 '청우'가 많은 것으로 연차 간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수량은 연차에 관계없이 '청우'에서 많았고, 특히 2년차 재배에서 헥타르 당 3톤 가량 많은 15.3 t/ha로 '태우' 12.6 t/ha 보다 '청우'에서 약 21%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러한 건물수량 양상은 '청우'가 '태우'에 비해 건물비율(p<0.05)이 높으며, 조숙형 품종으로써 상대적으로 긴 등숙기간으로 인해 적정 이삭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함량 분석 시, 1년차 재배의 줄기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잎, 이삭 및 2년차 재배의 모든 부위에서 가소화양분총량(TDN)과 상대적사료가치(RFV)가 '청우'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총체의 사료가치 분석 결과에서 1년차 재배 시 '태우'보다 '청우'에서 높았던(p<0.01) 값이 2년차에는 품종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생육 특성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 함량 등 조사를 수행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연차 간 성적의 변동성을 보였는데, 이는 사료용 밀의 생육재생기에서 수확기까지의 기간 동안 큰 차이를 보였던 연차 간 환경적 요인 즉, 1년차에 비해 2년차에서 더 높았던 평균기온과 2배 가량 많았던 강우량 등의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연차 간 성적이 환경적 영향에 의해 변동성을 보이더라도, 조사료로써 이용하기 위해 중요한 항목인 건물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면서 연차 간 수량의 변동성이 적었던 '청우'가 조사료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부지역의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10월 하순 동계 사료용 밀 파종 후 이듬해 5월 하순까지 재배할 시 조숙형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안정적인 건물수량 확보에 유리하며, 이삭으로의 저장 양분의 전류가 많아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후작으로 사료 벼를 이모작으로 재배 시 조생종인 '청우' 품종이 중부지역에서 사료용 밀-사료용 벼 이모작 재배 시 적합한 품종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