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ngming(陽明)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의' 개념을 중심으로 본 유종주의 사구교 사상 (Liu Zongzho's Thought of Four-Sentence Teaching and "Intention")

  • 임홍태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411-437
    • /
    • 2009
  • 일반적으로 왕양명으로부터 유종주에로의 사상적 전환은 곧 '주체성(主體性)'에 대한 강조에서 '의향성(意向性)'에 대한 강조로의 전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주체성에 대한 강조에서부터 의향성에 대한 강조로의 전환은 왕양명이 제시한 사구교와 이에 대한 비판을 기초로 유종주가 새롭게 제시하는 사구교의 차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왕양명이 말년에 제시한 사구교 사상에 대한 논란은 양명 생전부터 있어왔으며 이는 양명 사후에도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사구교에 대한 논란으로 말미암아 양명학파는 분화의 과정을 겪게 되었으며, 이는 또한 명말청초 학술계에서 주요 논쟁 중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유종주의 사구교에 대한 비판과 재해석 또한 이러한 논쟁 과정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이라 하겠다. 왕양명과 유종주의 심학의 차이는 '의'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에서 말미암는다. 주지하다시피 왕양명에게 있어 '의'는 마음의 발한 이발의 상태에 있는 것이지만, 유종주가 말하는 '의'는 마음 속에 내재하여 마음이 마음일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존재이다. 이러한 '의'에 대한 해석 차이로 말미암아 유종주는 궁극적으로 왕양명의 사구교와는 다른 내용의 새로운 사구교 사상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양명학 비판에 있어 그는 왕양명의 본래 의미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양명학을 해석한 면이 없지 않았고, 또한 자기 자신이 이해한 "대학"의 의리(義理)를 기준으로 삼아 양명학의 시비를 판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은 종종 이치에 맞지 않는 면도 있다. 비록 유종주의 양명학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양명학에 대한 비판이 비합리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나, 유종주의 양명학에 대한 견해는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 유종주의 양명학 비판은 단순히 왕양명 사상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시대적인 병폐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결과 그는 왕양명 사구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심학이론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산심학과 양명심학의 차별성 연구 - '송학'과 '명학'의 차별적 관점에서 - (The research about difference between Sangsan-Simhak and Yangming-Simhak -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between 'Song-Hak' and 'Ming-Hak'-)

  • 이상호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321-350
    • /
    • 2008
  • 이 논문은 '상산 심학'과 '양명 심학'의 차이를 '송학'과 '명학'이라는 차별성을 가지고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산학을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정도로 이해하는 일반적 인식에서 벗어나 전체 성리학사에서 독자성을 가진 철학체계로 자리매김 시키려 했다. 이것은 전체 성리학사를 '리학'과 '심학'으로 이해하는 일반적 인식에서 벗어나, 시대적으로 변모된 철학적 패러다임에 근거해서 성리학의 전개를 이해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흔히 성리학을 리학과 심학으로 나누고, 전자를 정주학으로 후자를 육왕학으로 보는 일반적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렇게 되면서 상산학은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으로만 인식되어, 전체 성리학사에서 독자적인 자리매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상산학은 주자학과는 철학적으로 대척점에 선 것으로 이해되면서, 이 둘 사이에는 이론적 동일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다. 그러나 상산학은 '리학'적 패러다임이 일반화 되어 있던 '송학'의 배경 속에서 탄생되었으며, 양명학은 '기학'적 패러다임이 일반화 되어 있던 '명학'의 배경 속에서 탄생하였다. 이와 같은 '송학'과 '명학'의 차이는 실제 이들을 같은 학문으로 규정하게 하는 '심즉리心卽理'라는 명제에서도 의미 차이를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데, 대부분의 연구는 바로 이 점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송학'과 '명학'의 철학적 차이점을 먼저 규명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상산학과 양명학을 같은 계통의 철학체계로 이해하게 했던 '심즉리'라는 명제가 가진 함의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심즉리'의 개념이 어떻게 수양론에 적용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산학과 양명학의 철학 차이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리학'적 패러다임에 바탕한 '송학'과 '기학'적 패러다임에 바탕한 '명학'의 '리'의미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서, 여기에 대한 의미 차이가 '심즉리'의 의미 차이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주자학과 상산학이 가지고 있는 '송학'적 패러다임의 특징과 양명학이 가지고 있는 '명학'적 패러다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산학은 양명학의 전단계 학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체계성을 갖춘 성리학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소문(素問)·위론(痿論)』의 독취양명(獨取陽明)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in 『Suwen·Weilun』)

  • 안진희;서준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1-107
    • /
    • 201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medical experts understood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for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 After collecting medical texts related to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its meaning and clinical application were examined thoroughly. Results : 1. The meaning of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was identifi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Yangming.' It was perceived as Stomach, Yangming meridian, Stomach meridian of Foot Yangming, Spleen and Stomach, Intestine and Stomach by medical experts. 2. Chen Wu-ze and Liu Wan-su understood Wei disease as a form of consumption, and regarded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as tonifying Yangming while Zhang Zi-he put emphasis on Communicating Stomach Qi(胃氣) through vomiting or purgation. Sun Yi-kui insisted on applying it as a precaution. 3. Li Dong-yuan emphasized the cause of Wei disease to be Damp-Heat in the Summer and suggested Qingshuyiqitang and Qingzaotang as remedy. 4. Zhu Zhen-heng's Purging the South and Reinforcing the North is a more fundamental way of treating Wei disease by stimulating the Water-Fire Axis. Conclusions : Through a diachronic study of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and its remedy, most medical experts regarded 'Specially Selecting Yangming' as tonifying Yangming, but tonifying Liver and Kidney was thought to be a more fundamental treatment.

양명중풍(陽明中風)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Yangmingzhongfeng(陽明中風))

  • 金鍾鉉;金度勳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5-106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Yangmingzhongfeng in the Shanghanlun. Methods :Each verse was analyzed, along with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context of the Bianyangmingbingmaizhengbingzhi(辨陽明病脈證幷治) chapter where Yangmingzhongfeng is explained. The meaning of Yangmingzhongfeng was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intention underlying the contrast between Zhongfeng[中風] and Zhonghan[中寒] within the text. Results : In Yangming Disease, disease patterns that have mutated from other channels are differentiated as either Zhuanshu[轉屬, change of assignment] or Zhuanxi[轉繫, change of connection]. Zhuanshu refers to the situation where symptoms of the original pathological site has disappeared, therefore being assigned to Yangming. Zhuanxi refers to the before-and-after pathological sites being connected. The condition of Zhuanxi is further divided into Taiyin and Yangming, where Zhuanxi Yangming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Zhuanshu Yangming in that the cathartic method[下法] cannot be applied even with the existence of constipation, despite it being the indication for such treatment. Yangming Zhongfeng and Yangming Zhonghan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oldness and heat of Zhuanxi Yangming. Conclusions : Yangming Zhongfeng refers to the heat type of Zhuanxi Yangming where the person presents constipation whilst residing exterior pattern. Yangming Disease cannot be understood as having a uniform pattern of Weijiashi-constipation-Shengqitang, and its disease pattern requir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민이승(閔以升) 사상을 통해 본 조선후기 지(智)와 지각(知覺)의 동이논쟁(同異論爭) (The same and diferent opinions about knowing and consciousness through Min-yisheng's idea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

  • 임홍태
    • 한국철학논집
    • /
    • 제23호
    • /
    • pp.181-216
    • /
    • 2008
  • 이 글에서는 민이승(閔以升) 사상 가운데 주로 1)지와 지각의 문제, 즉 심성(心性)의 구분에 관한 논의문제, 이와 관련하여 펼쳐진 2)정제두와의 양지 지각의 동이성 문제에 관한 논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민이승은 양명학자 정제두와 양명학의 시비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이다. 또한 민이승은 양지와 지각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김창협과 지(智)와 지각(知覺)의 동이문제를 둘러싸고 논쟁한다. 민이승은 정제두와의 양명학 논쟁에서 양명학의 '심즉리'설과 '지행합일'설에 대해 부정하고 있으며,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는 천리와는 구분된 지각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제두와 양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해 논쟁하고 있는 민이승은 당시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지와 지각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결과, 민이승은 김창협과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에 대해 한차례 논쟁을 벌이게 된다. 민이승과 김창협 사이에 전개된 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지와 지각의 관계를 불상잡(不相雜)의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불상치의 측면에서 보느냐 하는 차이점에 있다. 김창협은 지와 지각이 서로 섞일 수 없다는 불상잡의 입장을 강조하는 데 비해, 민이승은 지와 지각의 관계를 불상리의 입장에서 양자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라는 논쟁 주제를 중심으로 양자의 입장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논쟁이 사상사적으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살펴보기로 한다.

조선후기 문풍의 변화와 이용휴의 글쓰기 (Changes in Literary Trend During the Late Joseon and Lee Yong-hyu's Writing)

  • 이은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91-116
    • /
    • 2012
  • 글쓰기란 틀에 박힌 형식이 아닌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문풍은 그렇지 못했다. '문필진한(文必秦漢), 시필성당(詩必盛唐)'이라는 복고주의 문장론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문장의 법도를 무시한 채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는 것은 사실상 금기시되었다. 하지만 도그마에 빠져 변화하는 세상을 바라보지 못하는 성리학과 내용은 없이 껍데기만을 모의하는 의고적 글쓰기에 지친 문장가들은 익숙함과 전범에서 벗어나고자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의 가운데에 있던 이용휴는 당시 수입된 최신의 중국 서적들을 통해 명말청초의 사조들을 익히며 자신만의 개성적인 글쓰기를 만들었다. 그는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거부하고 인간성 본래의 측면에 관심을 가지며 주체 회복을 강조하였으며, 반의고적 글쓰기를 통해 허위에 찬 당시의 풍토를 비판했다. 그리고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 순수한 마음[천리(天理)]를 회복하고, 이를 위해서는 마음[심(心)]을 바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주장은 '심즉리(心卽理)'를 내세우는 양명학과 비슷했다. 양명학은 마음[심(心)]을 윤리의 준칙[이(理)]으로 삼고 있어서, '이(理)는 외재적이고 초월적이며, 이것은 성인에 의해 언어화되고, 경전으로 문자화 되어 있다.'는 성리학과는 확연히 갈라졌다. 그는 이들처럼 이(理)의 외재성을 부정하고 내재성을 강조하면서 성리학의 경전 중심주의를 해체했다. 그가 내세운 전범의 부정과 주체 회복의 글쓰기는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때문에 그를 양명학자로 단정 짓거나, 그를 비롯한 반의고적 태도를 갖는 문인들의 사상적 근거를 양명학이라 확정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문학을 주자학이든 양명학이든 단정 짓는 순간 그것이 또 전범이 되어 주체는 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일체의 전범을 부정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를 바랐고, 그것을 글로 남겼다. 우리가 2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의 글을 읽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일 것이다.

위증환자 치험 1례 (Clinical Observation on 1 Case of Patient with Wei symptom)

  • 이경민;김태희;정성엽;김철수;윤종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214-220
    • /
    • 2002
  • Wei symptom is symptom that reveals muscle relaxation without contraction and muscle relaxation occurs in the lower or upper limb, in severe case, leads to death. Objective : This is the clinical report about the Wei symptom-patient diagnosed as Guillain-Barre syndrome. Methods & Result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acupuncture(胃正格), herb medication(香砂養胃湯) and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Wei symptom. Conclusions : The concept of "To treat Yangming, most of all" (獨治陽明) is emphasized in treatment of Wei symptom and contains nourishment of middle warmer energy(補中益氣), clearance yangming(淸化陽明).

  • PDF

치아(齒牙)에 대한 두 관점의 통합적 이해 - 신(腎)·양명(陽明)의 관계를 중심으로 -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wo Views on Teeth - Focusing on Relation between Kidney(腎) and Yangming(陽明) -)

  • 신상원;김종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7-131
    • /
    • 2019
  • Objectives : There are two aspects of Korean medicine perspective on teeth, including the fact that the teeth reveal the thrift and decay of kidney as 'Goljiyeo', and that SujokYangmyeongGyeong flows into the teeth. Sinc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two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idney and Yangmyeong on teeth based on the literature. Methods : In "Huangdineijing",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kidney and Yangmyeong respectively for the teeth appeared, and reviewed the sentences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dney and Yangmyeong. This study referred to previous medical books such as "Nanjing" as needed. Results &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recognition that kidney and Yangmyeong affected the teeth in a complex way in various provis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Joksoeumgijeol" in "Lingshu-Jingmai". Kidney and Yangmyeong produce wantonness(血氣) in food(水穀) and transform it to perform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vitality together. However, there is an aspect that they oppose each other as acquired spirit and inherent vitality. Therefore, inherent and acquired incongruities may occur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ch can be a cause of triggering the pathogenesis of the tooth. : This study has found herbal combinations used frequently in Korean medicine formulas used for insomnia treatment, and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composed of four communities. Each community consisted of herbs in affiliation of Yookmijihwangtang(六味地黃湯) and Samultang(四物湯), Bohyulchunghwatang(補血淸火湯) and Ondamtang(溫膽湯), Jungjihwan(定志丸) and Sanjointang(酸棗仁湯).

주자학과 양명학, 그리고 '국학'의 형성 - 주체성과 실심(實心)의 계보학 - (Zhuzi Learning, Yangming Learning, and Formation of "Gukhak": Genealogy of Subjectivity and Silsim)

  • 김우형
    • 한국철학논집
    • /
    • 제58호
    • /
    • pp.307-336
    • /
    • 2018
  • 본고는 정인보의 '국학' 사상에 나타나는 주체성과 실심(實心, 참된 마음) 정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조명하였다. 근세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주체성과 실심이 주요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에서 비롯된다. 정이(程?)는 주체의식을 강조한 최초의 사상가이며, 주희(朱熹)와 왕양명(王陽明)은 정이의 주체성의 원리에 입각한 사상을 계승하되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는 신유학의 주체성과 실심의 정신을 발휘한 하나의 사례이다. 정인보(鄭寅普)는 학맥에 있어 강화학파에 속하지만, 양명학이 실심의 자각과 실천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방법론적으로 활용했을 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체성의 원리가 정인보로 하여금 주희 도덕이론(인심도심론)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따르도록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기적인 욕구(자사심)를 옳고 마땅한 것을 자각한 마음(실심)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인심(감각욕구)과 도심(도덕심)의 갈등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받도록 제어하라는 주희의 견해와 일치한다. 이 같은 윤리학은 행위의 내적 동기나 의무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서, 사실상 주희와 왕양명에 있어서도 근본적 차이는 없는 것이다. 적어도 이점에서 근현대 한국학을 유교전통과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경국제세, 그리고 전쟁관리 (Scholarship, Statecraft, and War Management of Ryu Seongryong)

  • 최연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327-360
    • /
    • 2018
  • 유교 지식인 류성룡과 정치가 류성룡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다. 유교 지식인의 학문은 경국제세(經國濟世)의 실천을 지향하고, 역사의 선례와 현장에 대한 치밀한 연구는 정치가의 성패를 좌우한다. 류성룡이 위기에 처한 조선의 실질적인 구원자가 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이론과 현장을 구분하지 않고 양자를 변증법적으로 종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류성룡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류성룡이 주자 성리학에 안주하지 않고 양명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그가 정통 주자학자들과는 다른 실용주의적 경세관을 지니고 있었고, 그 결과 임진왜란이라는 사상 초유의 국란을 맞았을 때도 현실주의적 위기 대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문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한 류성룡의 삶을 실용주의와 현실주의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