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u Zongzho's Thought of Four-Sentence Teaching and "Intention"

'의' 개념을 중심으로 본 유종주의 사구교 사상

  • Received : 2009.02.14
  • Accepted : 2009.03.07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Generally transition of Thought from Wang Yangming(王陽明) to Liu Zongzhou(劉宗周) is construed from emphasis of subjectivity to emphasis of intention(意; Yi). This Transition from emphasis of subjectivity to emphasis of intention is definitely expressed between Wang 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四句敎) and Liu Zongzhou's explanation of Wang 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 Wang 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 evoked much controversy among scholars of Yangming school. Consequently Four-Sentence Teaching's controversy caused Yangming school's division. Also this was a representative controversy o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Ching Dynasty. Liu Zongzhou's critique and exposition of Four-Sentence Teaching was result from this controversy. The difference between Wang Yangming's Xinxue(心學) and Liu Zongzhou' Xinxue(心學) is due to different interpretation of intention. As is generally known Wang Yangming interprets intention is in heart stiring, but Liu Zongzhou interprets intention is being before heart stiring, immanence in heart. Liu Zongzhou suggests new exposition of Four-Sentence Teaching on intention being before heart stiring, immanence in heart. Liu Zongzhou's critique and exposition is not only criticizing Yangming's Four-Sentence Teaching, but also solves troubles of the times. As a result he promotes theory of Xinxue(心學) being peculiar his own.

일반적으로 왕양명으로부터 유종주에로의 사상적 전환은 곧 '주체성(主體性)'에 대한 강조에서 '의향성(意向性)'에 대한 강조로의 전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주체성에 대한 강조에서부터 의향성에 대한 강조로의 전환은 왕양명이 제시한 사구교와 이에 대한 비판을 기초로 유종주가 새롭게 제시하는 사구교의 차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왕양명이 말년에 제시한 사구교 사상에 대한 논란은 양명 생전부터 있어왔으며 이는 양명 사후에도 끊임없이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사구교에 대한 논란으로 말미암아 양명학파는 분화의 과정을 겪게 되었으며, 이는 또한 명말청초 학술계에서 주요 논쟁 중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유종주의 사구교에 대한 비판과 재해석 또한 이러한 논쟁 과정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이라 하겠다. 왕양명과 유종주의 심학의 차이는 '의'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에서 말미암는다. 주지하다시피 왕양명에게 있어 '의'는 마음의 발한 이발의 상태에 있는 것이지만, 유종주가 말하는 '의'는 마음 속에 내재하여 마음이 마음일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존재이다. 이러한 '의'에 대한 해석 차이로 말미암아 유종주는 궁극적으로 왕양명의 사구교와는 다른 내용의 새로운 사구교 사상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양명학 비판에 있어 그는 왕양명의 본래 의미에 대한 충분한 이해없이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양명학을 해석한 면이 없지 않았고, 또한 자기 자신이 이해한 "대학"의 의리(義理)를 기준으로 삼아 양명학의 시비를 판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은 종종 이치에 맞지 않는 면도 있다. 비록 유종주의 양명학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양명학에 대한 비판이 비합리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나, 유종주의 양명학에 대한 견해는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 유종주의 양명학 비판은 단순히 왕양명 사상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시대적인 병폐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결과 그는 왕양명 사구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심학이론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