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ksun (medicinal) foo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8초

약선 식당에서 사용하는 한약재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Herbs Used in Yaksun Restaurants)

  • 전소정;김민지;김창희;권영규;이상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88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actually used in Yaksun(medicianal food) restaurants, the frequency and the way of using herbs in Yaksun. Through this study, we assumed that it will be used basis data on further Korean Yaksun research. Method : We conducted survey targeting for 26 Yaksun restaurants and Temple food restaurants serving Yaksun cuisine(medicinal food) menu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everal parts including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that was used in Yaksun, medicinal food types that use a lot of medicinal herbs, medicinal herbs criteria used in the selection of medicinal food, and education experience learning Yaksun cuisine. Results : Only 11 restaur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mong the targeting restaurants of survey objects. The number of Herbs was investigated in each restaurant was maximum 65 kinds and minimum 7 kinds (average 32 kinds). All restaurants used Angelicae Gigantis Radix in their restaurant. And Nelumbinis Semen, Zingiberis Rhizoma, Glycyrrhizae Radix, Acanthopanacis Cortex, and Gardeniae Fructus are well used medicinal herbs in Yaksun. Types of medicinal food using a lot of herbs were rices porridges rice cakes, both vegetables salads and stews soups. Almost chefs or restaurant's representatives learned cooking medicinal food at temples, food research centers, university attached institutions, and cooking schools. Conclusion : Medicinal herbs used in Yaksun restaurants are familiar with Korean and easily available. These herbs has better efficacy, taste, scent, color in comparison of the other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Yaksun, further research of divers parts in Yaksun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서울, 경기 및 충북지역 일부 성인의 약선(藥膳)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Yaksun in the Seoul, Gyeonggi, and Chungbuk Areas)

  • 신원선;이승연;박수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9-347
    • /
    • 2013
  • Yaksun, a medicinal diet, has been traditionally prepared and applied (based on theories in oriental medicine) for the modulation of disease symptoms and signs. However, restaurants that serve and claim Yaksun mainly focus on stamina foods. A consistent definition of Yaksun has not been provided, which can confuse the public interpretation of Yaks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Yaksun in Korean adul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regions. Among the participants (M=55, F=168, 25y), only 10.4%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Yaksun (mainly through the broadcast media). The frequency of Yaksun consumed when eating out was 2~3 times per month in 50.2% of participants.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a Yaksun menu (46.3% of participants) when eating out was for health. The mean satisfaction score of Yaksun was $3.5{\pm}0.8$ on the five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highly agreed ($3.8{\pm}0.8$) that Yaksun is composed of nutritious foods combined with oriental medicinal herb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with learning experience on Yaksun (p<0.05). Interestingly, participants showed neutral to the description, that a diet without oriental medicinal herbs is not Yaksun ($3.1{\pm}1.0$),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p<0.05). Men recognized more than women that Yaksun should be based on oriental medical theory (p<0.05) and should be prepar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p<0.05). In conclusion, the concept and terminology of Yaksun need to be defined and publicized in modern diet.

충북 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들의 약선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Yaksun(Medicated Diet)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the Chungbuk Area)

  • 이보람;민성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82-890
    • /
    • 2009
  • In this study, dietitians working in the schoo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region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medicinal herbs and medicinal foods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ing medicinal food men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ny of the dietitians had low confidence in medicinal herbs used in medicinal foods. However the more the subjects ate such food, the higher their perception was. The higher the perception and reliability were, the more positive the answer was in terms of taste, nutrition and efficacy. Regarding the familiarity with medicinal herbs, the subjects, regardless of their age, showed a high perception of easily accessible medicinal herbs; younger subjects preferred Schisandrae fructus, Rubi fructus and Acanthopanacis cortex. The higher the perception and the eating frequency were, the higher the familiarity wa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medicinal food menus, the older the subjects were, the more positive they viewed the development of menus. Also, dietitians with 15 years of experience showed a high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new menus.

  • PDF

약선(약선)을 이용한 건강 기능식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국 문헌을 중심으로 -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 Focusing on the Relevant Chinese Literature -)

  • 박건태;김도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1-202
    • /
    • 2003
  • 21세기 화두를 한마디로 말하면 건강일 것이다. 건강을 위해서 각종 운동 방법 및 운동기구와 건강 보조식품의 판매가 급성장을 하고 있으나,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 즉 식단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예전에 비해 먹거리인 식재료는 매우 풍부해졌으나 영양 불균형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이며, 잘못된 식생활 습관으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인 성인병과 생활 습관병의 발생은 심각한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식품도 이젠 맛, 영양을 강조하던 단계에서 인체의 생리적 기능 항진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기능성 식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약선은 동양철학 및 동양 의학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의학과 화려한 음식 문화가 만들어낸 것으로 음식에 한약재의 유용성분을 넣어 기능성을 살린 먹거리로 한의학의 약식동원을 기본 이론으로 하고 있다. 중국약선에서는 식품을 차거나 시원한 식품인 한량(한량), 따뜻하거나 뜨거운 (온열) 식품, 즉 한(한), 량(량), 온(온), 열(열) 4가지로 분류하고, 쓴맛(고), 단맛(감), 매운(신), 짠맛(함), 신맛(산) 등 5가지 기본맛으로 식품을 구분하고 있다. 약선식품의 작용은 질병의 예방과 신체 장기를 자양하거나, 기혈, 골격, 피부 등을 자양하고, 노화방지와 질병의 치료작용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궁중음식원과 산사 음식에서 약선 개념을 도입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체계적인 이론 정립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궁중의 약선 관련 문헌을 고찰해 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약선의 도입과 연구발전에 필요한 기본자료로 제공하고, 약선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 기능성 조리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PDF

단체급식을 위한 콩국의 곽향 첨가에 따른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Soybean soup by Adding Gwackhyang in Foodservice Operations)

  • 고성희;이경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41-846
    • /
    • 2013
  • Developing a menu for foodservice operations utilizing a Yaksun meets with the desire of customers who have keen interest in health fo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ditional advantage of decreasing hygiene risk, which can be caused by large quantity cooking, by the efficacy of medicinal herbs used in Yaksun.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with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Yaksun menu for foodservice operations utilizing Gwackhyang by evaluating the sensory qualit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bean soup added of Gwackhyang. The standard plate counting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ddition quantity of Gwackhyang increased (p<0.001). All bean soups, which were kept at room temperature and refrigerator for 3 hours after cooking, met the safety standard 5.00 CFU/g. The number of coliform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ddition quantity of Gwackhyang increased. The bean soups in control group exceeded the safety standard of 2.00 CFU/g afte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nd in refrigerator. On the other hand, all Gwackhyang bean soups met safety standard, only excluding G1 with 1% Gwackhyang kept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Gwackhyang during bean soup production decreases the microorganism level of bean soup. Both standard plate counting and the number of coliform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days in refrigerator; however, the increasing extent of Gwackhyang bean soups were less than the control group bean s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scored highest in 3 sensory characteristics out of 5 sensory characteristics. However, G1 with 1% Gwackhyang also scored highest in 2 sensory characteristics, which wer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G2 also scored 4.45 in color and 4.15 in fragrance, which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were above average.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약선음식 제공에 의한 섭취량 증가 (Serving Yaksun(Medicinal) Food Item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and an Increase in the Food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 김민정;이혜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3-31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rving medicinal food items on the dietary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A total of 77 elderly inpatient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in Yeongju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trol and medicinal food items were provided for 20 days (March 24 through April 12, 2014, and April 14 through May 3, 2014, respectivel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both control and medicinal food items on the last day of the respective serving perio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dows ver. 21.0).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e leftover rate was higher for control food items than for medicinal food items. The intake of energy, carbohydrates, proteins, fats, vitamin A, thiamin, niacin, potassium, and zinc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etary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is suggests that medicinal food items can help increase the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and implies that such food items may be more desirable for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diet.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medicinal food items on elderly patients.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약선음식 이용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 (Current State of Consumption of Yaksun (Medicinal) Food and Medicinal Foo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s by Food-Related Lifestyle)

  • 송연미;조미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75-1384
    • /
    • 2016
  •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조리교육을 전문적으로 받고 있는 조리 교육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약선음식 이용 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편의추구형, 안전추구형, 건강안전추구형, 건강추구형, 미각추구형의 5개 집단으로 나누어 인구통계학적 특성, 약선음식 이용 특성,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 약선음식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각 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편의추구형은 남자, 학생이 많고 조리경력이 2년 미만으로 짧고 서울, 경기 거주자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구이류, 국 찌개류에 대한 선호는 높았지만 죽에 대한 선호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안전추구형은 여자가 많고 관리사무직, 전업주부 비율이 높았으며 조리경력이 짧은 사람부터 긴 사람까지 다양하고 서울보다 경기도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죽에 대한 선호 비율이 높고 다른 메뉴들에 대해서도 선호도가 두루 높았으며,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건강안전추구형은 남녀 비율이 유사하고 전문기술직이나 판매서비스직이 많고 조리경력이 2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이 많고 경기도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국 찌개류와 나물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죽류, 밥류, 구이류에 대한 선호는 매우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의 건강 특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부정적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추구형은 여자가 많고 전업주부, 학생이 많았고 조리경력이 5년 이상으로 길거나 2년 미만으로 짧고 서울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죽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고 나물류, 밥류, 찜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구이류, 국 찌개류에 대한 선호가 낮게 나타났으며, 약선음식의 건강 특성, 부정적 인식 모두 낮게 평가하였다. 미각추구형은 남자가 많고 판매서비스직이 많았으며, 조리경력이 2년에서 5년 사이가 많았고 서울, 경기 거주자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밥류, 구이류, 찜류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지만 죽류, 국 찌개류, 나물류에 대한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고, 약선음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조리 교육생의 약선음식 교육기관에 대한 선호도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문화센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선음식 교육기간은 3개월 미만의 짧은 교육기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선음식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로 나타났고 식재료, 수업내용, 음식의 맛, 강사의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조리 교육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약선음식 이용 특성 및 약선음식 교육 참여의사에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약선음식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교육생의 특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센터 등에서 한국 약선음식 교육과정을 단기 과정으로 개설할 경우 교육받고자 하는 메뉴 등에 대한 구체적인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며 선호하는 식재료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약선음식의 온라인 구전, 가치, 만족, 애호도 및 대중화 간의 구조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n-line Word of Mouth,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Popularization of Yaksun Food)

  • 장순옥;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3-67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 특성(전문성, 적시성, 정확성)이 약선 음식에 대한 가치, 만족, 애호도, 대중화 간에 어느 정도의 영향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온라인을 통한 약선 음식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선 음식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 특성 중 전문성, 적시성이 약선 음식 가치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선 음식 가치는 만족, 대중화에는 영향을 미쳤고, 애호도는 대중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약선 음식에 대한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전문성과 적시성이 강조될 때 가치와 만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치 있는 정보야말로 고객이 만족하고 애호도가 높아짐으로써 대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약선 음식 조리인이 식자재의 성질과 음용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함으로, 블로그 운영자들이나 약선 음식 전문점에서는 약선 음식 대한 내용을 게시할 때 식재료의 효능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기술하여야만 대중화가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되며, 향후 건강한 식생활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약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홍보 및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 결과, 음식의 기능을 살린 약선 음식 전문적인 내용은 온라인 구전으로 인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약선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며, 건강에 대한 생각과 함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질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연구의 요약 및 결과에서 이미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되고 있는 투입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Fetal safety of medicinal herbs and food ingredients during pregnancy: Recommendations from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sed on expert opinions

  • Hyeong Joon Jun;Dong Il Kim;Jeong-Eun Yoo;Seung-Jeong Yang;Deok-Sang Hwang;Hyeong Jun Kim;Yoon Jae Lee;Dong Chul Kim;Sanghun Le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21-13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d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for general public, based on expert consensus, on the risks of misuse of medicinal herbs for food and pure food ingredients for the fetus during pregnancy. Methods: A panelist of seve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gynecologis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mmarizing the fetal safety literature for twenty-five medicinal herbs for food and pure food ingredients derived from medicated diet (藥膳, Yaksun) recipes during three online Delphi rounds anonymously. Results: Ginkgonis Semen (Ginkgo nut), Illici Veri Fructus (Star anise), lavender, bitter gourd, and parsley were agreed at the level 1 of "Do not consume". These five ingredients were recognized as having significant risks both in the literature evidence and in expert opinion. Rosemary, Citri Unshius Pericarpium, Discoreae Rhizoma, lemongrass, Schisandrae Fructus, Cassiae Semen, Foeniculi Fructus, Mori Fructus, Cinnamomi Cortex, and Astragali Radix were agreed at the level 2 of "consultation with TKM practitioner is required". Conclusion: Based on the consensus of a seven-member expert panel of TKM gynecologists, consumption of Ginkgonis Semen (Ginkgo nut), Illici Veri Fructus (Star anise), lavender, bitter gourd, and parsley should be avoided by pregnant women. For Rosemary, Citri Unshius Pericarpium, Discoreae Rhizoma, lemongrass, Schisandrae Fructus, Cassiae Semen, Foeniculi Fructus, Mori Fructus, Cinnamomi Cortex, and Astragali Radix, the level 2 advisory may be recommended to use with caution and to consult a TKM practitioner for advice on consumption, dose, and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