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kju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장미, 동백 및 맨드라미꽃 첨가 약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Yakju Added with Rose, Camellia and Cockscomb Flower)

  • 손종연;조애경;김계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7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Yakju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during fermentation. Metho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estimated including pH, amino acidity, total acid, ethanol content, color value, sensory test, electric donat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Results: The pH values of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decreased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after 4 days of fermentation, with final pH ranging from 4.15 to 4.27. Total acid content and amino acidity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ethanol content in Yakjus ferment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as rapidly increased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reaching the maximum content of 19.1% after 8 days of fermentation. In color evaluation, the L values of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did not changes during fermentation, whereas values of a and b were increase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0.67, 0.59, and 0.52 mg/mL,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in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0.20, 0.09, and 0.26 mg/mL, respectively. In sensory tes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Yakjus added with cockscomb flower was higher than that of Yakju added with rose or camellia flower.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were the highest in Yakjus added with rose flower, wherea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the highest in Yakjus added with cockscomb flower.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might have valuable functional properties due to their antioxidant effects.

누룩에 따른 약주의 품질 평가 (The Quality of Yakju be brewed from many kind of Nuruk)

  • 이미경;이성우;배상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9-111
    • /
    • 1991
  • In each nuruk using today, effect of pH on glucoamylase activity and viable cell count of yeast and bacteria was measured. Common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alcohol, acetaldehyde and acetone, amino acid composition, and total sugars and mineral content were determined in yakju(korean wine) brew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and by different method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lower the pH, the lower the glucoamylase activity in JK, BK, JK-S BK-S and JN. But the higher the glucoamylase activity ratio in Koji and KN. 2. Yeast and bacteria cell count could not determined in nuruk inoculated of seed. In JK, BK and JN, yeast cell count was 50${\times}$104∼80${\times}$104, bacteria cell count was 5${\times}$106∼24${\times}$106. 3. In yakju during fermentation, pH was higher in RU, total acidity content was higher in ST-N, ST-K, RU and ST-RUPO and alcohol content was lower in RUPO and ST-RUPO. 4. Ethanol and acetaldehyde content were highest in dukyunju. Trace amount of acetone was determined only in ST-K, RUPO and ST-RUPO . n-Propyl alcohol content was higher in ST-K, ST-RUPO and ST-N, iso-butyl alcohol content was higher in L-RUPO, Dukyunju and Songyupju and iso-amyl alcohol content was higher in Songyupju, RU, L-RUPO and Dukyunju. 5. In amino acids composition of each yakju, Pro, Ala and Val content was higher than other amino acids. Total amino acids content was the highest in Dukyunju and second highest in ST-N, NH3 was higher in ST-N, Dukyunju, RUPO than other samples. 6. Total sugars content was the highest in ST-N and second highest in RU. 7. P, K and Mg content were higher in Dukyunju and ST-N than in other samples. In Dukyunju, Ca and P ratio was 0.075 because of low Ca content and high P content.

  • PDF

두류 누룩으로 제조한 탁주, 약주, 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Pulse Crop Nuruks)

  • 정재홍;최희숙;이윤희;이건순;김재민;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2-247
    • /
    • 2015
  • 향온국(통밀, 녹두), 내부비전국(녹두, 밀가루, 기장), 대두국(통밀, 대두) 등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 약주, 증류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품질 평가를 위하여 발효액의 pH, 당도, 총산도, 알코올 함량, 효모 생균수 등을 측정하였고, 각각의 누룩으로 만든 탁주, 약주, 증류주의 향기성분과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향온국의 pH 저하가 가장 많았고, 당도도 낮아졌다. 총 산도는 발효 초기에 향온국이 가장 높았고, 발효종점에서도 향온국이 가장 높았으나, 대두국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알코올 함량은 내부비전국에서 발효 초기에 가장 높았고,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효모 생균수는 발효 초기에 대두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발효 2일부터 균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차이가 없었다. 향기성분 분석에서 acetone과 n-amyl alcohol은 약주, 탁주, 증류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n-butanol이 가장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고, 다음이 i-amyl alcohol이었다. Fusel oil은 증류주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탁주, 약주,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유기산 중 fumaric acid와 formic acid는 탁주와 약주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7종의 유기산들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중 lactic acids가 가장 많았다. 관능검사에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대두국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세 누룩으로 만든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바람직한 전통주로 판명되었다.

한국 전통약주의 위보호 효과 (Gastroprotective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 김승진;백지영;박찬구;김계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18-822
    • /
    • 2004
  • 본 실험은 랫드나 마우스에서 2가지 실험적 위궤양 유발 모델과 알코올 반복 투여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약주의 위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24시간 절식시킨 랫드에 전통약주를 250-1,000mg/kg를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에 150mM HCl-60% EtOH를 투여하거나 전통약주 62.5-1,000mg/kg를 투여하고 30분 후에 무수 에탄올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대해 유의성 있는 위병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에서 30% 알코올을 12시간 간격으로 7일간 반복투여 하였을 때, 대조군에 대해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위병벽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몽씨 추출물을 첨가한 석이버섯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Umbilicaria esculenta Yakju Add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during Storage)

  • 강혜영;이상권;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9-246
    • /
    • 2016
  • 석이버섯과 한방재료를 첨가하여 만든 숙성된 석이버섯주에 grapefruit seed extract(GSE)를 0.5%, 1% 첨가하여 $4^{\circ}C$는 165일간, $25^{\circ}C$ 75일간 저장하면서 약주의 저장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품질 특성은 pH, 총산도, 탁도, 일반세균수 및 ethanol, glucose, acetic acid, lact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다. GSE 무첨가 약주는 저장 중 pH, 총산도, 탁도, acetic acid, lactic acid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에 GSE 0.5%, 1% 첨가 약주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큰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GSE 무첨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일반세균수는 대조군보다 GSE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모든 시험군에서 대장균, 효모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저장 중 조금씩 증가하였고, glucose 함량은 저장 중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ethanol, glucose 함량 모두 대조군과 GSE 첨가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식품규격에 따라 품질 유지기한이 $25^{\circ}C$는 3개월, $4^{\circ}C$는 6개월까지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써 GSE는 약주의 저장성 향상 및 품질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마이크로 웨이브로 처리한 산양삼 첨가가 전통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wave Treated-Wild Ginseng on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Yakju)

  • 이대형;강희윤;이용선;조창휘;김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42-746
    • /
    • 2011
  • 산양삼을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 약주를 개발하기 위해 증자 멥쌀에 140%의 물을 혼합하고, 증자쌀 대비 3%의 개량누룩(Rhizopus sp.)과 1.5%의 건조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2일간 $20^{\circ}C$에서 발효시켜서 밑술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밑술 대비 200%의 쌀을 첨가한 120%의 물을 혼합하고 정제효소를 0.08% 첨가 한 다음 발효 3일후 산양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발효시켰다. 산양삼 첨가량에 따른 에탄올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18.5%의 에탄올이 생성되었고 산양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에탄올 생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방법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각각 18.0와 18.5%로 증자 발효와 무증자 발효간에 에탄올 생성능에 차이는 없었다. 산양삼 처리 방법에 따른 전통 약주중의 사포닌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한 산양삼을 첨가하여 제조한 산양삼약주의 경우 791 ppm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생 산양삼을 첨가한 시료는 460.69 ppm, 증자한 산양삼 첨가의 경우에는 753.02 ppm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간에 따른 산양삼 첨가 약주의 사포닌 함량을 측정할 결과 90초와 120초와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120초가 넘게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했을 경우 산양삼의 외부 조직이 탄화되어 관능적으로 향이 나빠졌으며 맛에서도 좋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산양삼 1.2%를 첨가했을 때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산양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90초 처리하여 첨가한 전통 약주가 가장 높은 사포닌 함량을 보였다.

도정도별 쌀누룩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s Affected by Rice Nuruk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 최정실;여수환;정석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848-856
    • /
    • 2017
  • 도정도를 달리한 쌀누룩이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오대쌀 일반미를 기준으로 도정하여 도정도별(0, 10, 30, 50, 70%) 쌀누룩을 제조하고 그 누룩으로 담근 약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정도별 쌀누룩에 따른 약주의 품질은 처리구 간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약주의 제조 시에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할수록 약주의 pH, 아미노산도, 갈색도, b값 및 색차 ΔE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알코올과 휘발산 함량, 환원당 및 L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의 경우 사과산, 호박산, 젖산이 주를 이루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전체적인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질소화합물 함량도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아스파르트산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 중 2-페닐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큰 누룩을 사용한 약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n-프로판올과 이소 아밀 알코올 함량은 도정도가 클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기자술의 저장에 따른 성분변화 (Effect of storage condition on the quality of the wine and Yakju made by Lycium chinense Miller)

  • 최성현;이미현;신철승;성창근;오만진;김찬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38-342
    • /
    • 1996
  • 한방에서 강장과 보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구기자를 원료로 술을 양조하여 그 일반성분, 유기산, 메탄올, ester, 휴젤유 및 $SO_2$ 등을 조사하였고, $20^{\circ}C$$30^{\circ}C$에서 20일 저장하면서 위의 성분분석과 관능 검사를 하였다. 보당형 구기자술 중의 유기산량은 젖산, 능금산, 주석산 및 초산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ester 및 휴젤유는 각각 $4.0{\sim}5.0\;mg%$$12{\sim}30\;mg%$ 그리고 methanol은 $25{\sim}27\;mg%$이었다. 약주형 구기자술의 ester 및 휴젤유는 보당형보다 많았다. 한편, 보당형 및 약주형 구기자술의 주질에 미치는 저장온도는 $30^{\circ}C$보다 $20^{\circ}C$가 좋았으며 살균 처리법은 $SO_2$ 100 ppm 첨가 또는 $60^{\circ}C/30$분의 처리가 좋았다.

  • PDF

전통 배 약주 제조용 효모의 선발 및 배 약주의 최적 발효 조건 (Screening of Yeast for Brewing of Korean Traditional Pear Yakju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 송정화;장정훈;나광출;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4-188
    • /
    • 2010
  • 전통 배 약주용 우수 효모를 선발하고 기호도와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전통 배 약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즙에 증자 멥쌀과 누룩, 다양한 종류의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발효 시킨 후 에탄올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하여 전통 배 약주용 우수 효모로 S. cerevisiae K-7과 시판 S. cerevisiae C-2를 최종 선발하였다. 또한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한 결과 증자 멥쌀 100 g을 배즙 600 ml에 첨가하고 발효제 g당 30 sp와 S. cerevisiae K-7를 5% 첨가하여 $25^{\circ}C$에서 7일간 발효시켰을 때 10.4%의 에탄올 함량과 항고혈압성 엔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활성이 57.2%인, 기호도가 우수한 전통 배 약주를 제조 하였다. 항고혈압성 전분질 부원료의 첨가는 이들의 기호도와 생리기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쌀 및 쌀 전분을 활용한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and rice starch-based Yakju)

  • 강지은;김재운;최한석;김찬우;여수환;정석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3-3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주인 약주를 쌀과 쌀전분, 그리고 4개의 발효제(효소제, 개량누룩, 재래누룩, 황국)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쌀과 쌀전분의 원료차이와 발효제에 따른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일반성분을 살펴보면 수분함량은 쌀 12.80, 쌀전분 10.75%, 발효제별로는 황국 5.57~재래누룩 8.15%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은 쌀 76.90, 쌀전분 4.90 g, 발효제별로는 효소제 0.17~황국 77.10 g 의 범위로 나타났다. 조지방은 쌀 3.90, 쌀전분 2.20 g이며, 발효제별로는 효소제 0~황국 1.40 g으로 나타났으며, 회분은 쌀 5.10, 쌀전분은 3.90 g, 발효제별로는 개량누룩 0.57~황국 3.60 g으로 관찰되었다. 이화학성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코올 함량(%)을 살펴보면 쌀약주(황국 $17.67{\pm}0.12$~재래누룩 $20.13{\pm}0.12%$)가 쌀전분약주(황국 $14.93{\pm}0.23$~재래누룩 $18.47{\pm}0.12%$)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 원료 및 발효제별로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 양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단백질이 많을수록 효모의 생육에 더 용이하여 활발한 발효가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pH는 각각 쌀약주는 효소제 $4.50{\pm}0.08$~황국 $4.88{\pm}0.03$, 쌀전분 약주는 개량누룩 $4.34{\pm}0.02$~황국 $4.40{\pm}0.00$의 범위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원료 및 발효제별로 함유된 단백질, 지질 등의 성분이 각각 발효됨에 따라 생성된 유기산과 알코올이 상호 반응하여 ester 같은 flavor 형성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총산(succinic acid, %)은 쌀약주(효소제 $0.27{\pm}0.02$~황국 $0.34{\pm}0.01$)보다 쌀전분약주(효소제 $0.32{\pm}0.01$~황국 $0.48{\pm}0.01$)가 높게 나타났으며, 총아미노산(glycine, %)은 쌀약주(효소제 $0.59{\pm}0.09$~황국 $4.28{\pm}0.1$)가 쌀전분약주(효소제 $0.63{\pm}0.10$~황국 $4.45{\pm}0.1$)보다 높게 나타나 발효제별로 각각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누룩 자체의 색이 발효 중 용출되어 약주의 색에 기인하는 착색도는 쌀약주(효소제 $0.23{\pm}0.00$~재래누룩 $0.35{\pm}0.00$)가 쌀전분약주(효소제 $0.10{\pm}0.00$~황국 $0.28{\pm}0.00$)보다 높게 나타나 약주 자체의 색이 진할 것으로 사료되고 발효제별 각각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유기산 함량은 쌀약주(효소제 259.27~황국 357.70 mg%)보다 쌀전분 약주(재래누룩 389.83~효소제 538.34 mg%)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쌀보다 전분함량이 많은 쌀전분에서 효모의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 유기산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 중 와인과 맥주의 짠맛, 쓴맛, 신맛의 복합체인 succinic acid와 TCA cycle로부터 생성되는 citric acid의 함량이 쌀약주와 쌀전분약주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리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쌀약주(효소제 498.38~황국 5,976.93 ppm)가 쌀전분약주(효소제 600.43~황국 4,463.79 ppm)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리 질소화합물 성분으로는 alanine, leucine, glutamic acid, arginine이 7.51~9.58%의 범위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쌀 및 쌀전분에 따른 질소화합물의 분포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요약하면 쌀약주와 쌀전분약주의 발효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주류의 전체적인 맛, 향, 색 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함량이 약 15.7배 많은 쌀약주가 쌀전분 약주에 비해 감칠맛, 단맛, 쓴맛 등 풍미가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아미노산이 너무 많으면 잡미가 증가하고 숙성취(노주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적정 함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알맞은 원료와 발효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약주의 품질은 다양한 성분에 의해서 영항을 받으며, 발효과정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므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각 원료 및 발효제별 품질특성에 대해서 추가적인 조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