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kju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첨가비율 및 부위별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 Traditional Korean Beverage) after Addition of Different Tissue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허창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1
    • /
    • 2010
  • 손바닥선인장 약주의 pH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총산 함량은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2일에는 모든 시료구가 증가하였으나 발효 4일 경과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ethanol은 발효 2일째부터 함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발효 6일 부터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발효 종료 시점인 14일에는 16.23~17.10%의 최대치를 나타냈다. 약주에서 확인된 유리당은 sucrose, maltose, fructose 및 glucose였고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나타났으며 시료부위별로는 열매보다 줄기를 첨가해서 담금 한 약주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총 5종의 유기산이 확인되었고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으며 줄기보다 열매를 첨가해서 담금 한 약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았다. 손바닥선인장 약주의 향기성분은 총 16종의 물질이 동정되었고,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iso-amyl alcohol, butyl alcohol 및 methyl ester로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열매보다 줄기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열매와 줄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는 열매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의 경우 20% 첨가구가 우수하였고, 줄기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의 경우는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료 부위별 기호도는 줄기보다 열매로 담금 한 약주가 우수하였다.

효모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2. 발효과정중 약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zation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ruits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entation)

  • 양지영;신귀례;김병철;김용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01-804
    • /
    • 1999
  • 전보에서 과실로부터 분리한 에탄올 생성능과 향기생성능이 우수한 2종의 균주(Saccharomyces cerevisiae S-2와 Saccharomyces cerevisiae S-6)와 Saccharomyces cerevisiae IFO 1950을 이용하여 약주 제조시 주모로 첨가하여 약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효모가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Saccharomyces c cerevisiae S-2, Saccharomyces cerevisiae S-6과 Sac­charomyces cerevisiae IFO 1950의 발효과정 중 pH의 변화는 경시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효 8일 후에는 S-2균주는 pH 3.0, S-6균주는 pH 2.9, IFO 1950은 pH 3 3.3으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의 변화는 발효 개시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발효 8일 이후에는 S-2는 4.8ml, IFO 1950은 4.3ml를 나타내었다. 그러 나 S-6균주는 8.7ml로 다른 균주에 비해 거의 두배정도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S-6의 citric acid와 lactic acid의 함량이 다른 두 균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에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세가지의 균주에서 발효된 약주에서는 공통적으로 glucose와 maltose가 검출되었고 S-6균주의 약주는발효기간전체에 걸쳐 유리당이 검출 되어 다른 두 균주에 비해 발효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에탄올 함량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연잎의 처리방법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 공문희;여수환;최지호;최한석;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11-917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such as blanching, steaming, roasting, and drying, and fresh one for control. The total acid content was high (0.82~1.22%) in the lotus leaf Yakju, and lactic acid was the main compound among organic acids. Volatile acid content was high (200~500 mg/L) compared to the results of organic acid composition, and the main volatile acid in lotus leaf Yakju was acetic acid. Though the polyphenol content (616.5~693.1 mg/L) was similar among the Yakju, the Hunter's color value of those were quite different and also had a big impact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lor. Therefore, it seems that the enzym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in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may have an influence on the color of lotus leaf Yakju. In a sensory evaluation of color and aroma, lotus leaf Yakju fermentaed with fresh leaves and roasted ones were preferred to the others, and steamed leaves and roasted ones were the best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머루 첨가량을 달리한 약주의 향기성분과 관능적 특성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 Contents of Meoru (Vitis coignetiae))

  • 최성희;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42-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조구 및 머루첨가량을 100, 200, 300, 400 g으로 달리하여 제조한 약주를 대상으로 향기 성분을 분석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호도가 높은 머루약주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머루 첨가량을 알아보았다. 대조구 및 4종 머루첨가구의 향기 성분으로 alcohol류 5종, ester류 9종, acid류 7종, hydrocarbon류 4종, ketone류 2종 및 기타 화합물 7종의 총 35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 성분은 대조구가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동정된 향기 성분 화합물의 수와 향기 성분 총함량은 머루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과일향의 ester 화합물이 가장 많이 동정된 200 g 첨가구는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향기뿐 아니라, 색, 맛,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약주 향기는 향기 성분의 총함량보다 미량 존재하는 ester 화합물에 의하며, 머루약주 제조를 위한 최적의 머루첨가량은 대조구 1,715 g에 머루 200 g인 것을 알 수 있었다.

Membrane Filtration에 의한 약주의 저장성 증진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 강미영;박영서;목철균;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34-1139
    • /
    • 1998
  • 막여과 약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여과막으로 여과한 약주를 $25^{\circ}C$에서 50일간 저장하면서 약주의 pH, 적정산도, 탁도 및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수를 측정하였다. 비살균 약주는 저장 중 적정산도, 탁도, 생균수가 증가한 반면 pH는 감소하였다. 막여과 약주의 경우 적정산도와 탁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약주내 미생물들이 관찰되지 않아 높은 저장성을 보여주었다. 키토산을 0.1% (w/v)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생균수의 급격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어 높은 살균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포도 종류를 달리한 포도 약주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rape Yakju made with Three Kinds of Grape)

  • 이지연;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6-104
    • /
    • 2009
  • Three kinds of grape yakju (Kyoho, Campbell and Moru) and grape-free control were fermented with rice using koji of Aspergillus kawachii as a fermenting agent, and thei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three yakju,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slowly over 2 days fermentation after an initial rapid decrease. In case of Brix,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gradually after increasing rapidly during the first 2 days of fermentation. The Kyoho and Moru groups displayed a gradual increase in reducing sugar content after an initial 2-day decrease, and the sugar content of the Campbell group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Uniformly, pH increased gradually after an initial 2-day decrease, however total acid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fermentation. Alcohol content of yakju showed almost no change after increasing until day 6 (Kyoho) of day 4 (others), with the control displaying the highest content. Control $\alpha$-amylase activity decreased gradually after an initial 2-day increase, while that of the three yakju decreased throughout fermentation. Activities of $\beta$-amylase activities paralleled the results of reducing sugar. Concerning total anthocyanin, the Moru and Campbell groups displayed a rapid increase until day 2, a decrease until day 12, and a gradual increase thereafter. While the Kyoho and control groups displayed virtually no change after an initial 2-day increase until day 12, after which a gradual increase also occurred. In concerning sensory evaluation, Moru yakju scored highest for violetness, flavor of grape, and sweet taste, and also displayed a low alcohol content. These attributed Moru yakju the preferred choice.

  • PDF

좁쌀약주의 여과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ment on the filtration process of foxtail millet Yakju)

  • 강영주;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2-487
    • /
    • 2003
  •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좁쌀 약주 제품에 대하여 유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 공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러 공극 크기의 유리 막 여과지와 중공 사막 카트리지여과 매질을 가지고 좁쌀 약주를 여과한 결과, 대부분이 침전 형성 가능한 입자들은 1.2$\mu\textrm{m}$ 공극 크기의 여과 매질에 의한 여과로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0.45$\mu\textrm{m}$ 중공 사막 카트리지인 경우 여과 flux는 342.8 lmh로 계산되었다. 여과에 따른 성분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4$^{\circ}C$와 실온을 48시간 씩 반복하면서 3개월간 저장 중 0.7$\mu\textrm{m}$ 공극 크기의 유리 막 여과지에 의한 여과에서도 미세한 침전 형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중공 사막인 경우에는 0.45$\mu\textrm{m}$에서도 침전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완벽한 침전 형성 방지를 위해서는 현재 최종 여과 공정인 1 $\mu\textrm{m}$ 정밀 원통 여과지 공정 다음에 0.45$\mu\textrm{m}$ 중공 사막 여과 시스템도입이 효과적이다.

쌀 품종별 약주의 유기산, fusel oil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organic acids, fusel oi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ju with the additions of various rice cultivars)

  • 허창기;이중원;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5-371
    • /
    • 2013
  • 쌀을 원료로한 전통주의 우수성을 밝히고자 일반계통 3종, 통일계통 2종 및 태국산 인디카 품종 1종 등 총 6종에 대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SOD 유사활성 등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쌀 품종에 따른 약주의 시료구별 pH는 일미벼와 한아름벼로 담금한 약주의 pH가 4.14와 4.07로 다른 시료구에 비해 높았고, 그 외 시료구는 3.92~3.98이었다. 총산 함량은 태국산 쌀의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의 총산 함량이 0.56%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국내산 일반계통 품종과 통일계통 품종은 2.12~2.59%로 비슷하였으나, 태국산 인디카 품종은 3.59%로 다른 시료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Ethanol 함량은 통일계 품종인 한아름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 19.14%로 가장 높았고,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는 13.97%로 가장 낮았다. 유기산 함량은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3,491.8 mg%로 가장 높았으며,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쌀 품종에 따른 fusel oil 총량을 보면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1,270.35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Fusel oil 류 중 2-butyl alcohol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시료별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에서 소거능이 높았고, 일미벼 및 한아름벼로 담금한 약주는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SOD 유사활성 또한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60.10%로 가장 높았으며, total polyphenol 함량 역시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국내산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에 비해 약간 높았다. 쌀품종에 따른 약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국내산 품종과 태국산 품종 모두에서 활성이 확인되었다.

경기 지역 소비자의 주류 소비 행태 및 약주에 대한 인식 조사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Perception about Korean Yakju in the Gyunggi Area of Korea)

  • 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and perception related to alcoholic beverages and Korean rice wines (yakju).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4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 Gyunggi-area of Korea. Male respon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drink more often, consume greater amounts and spend more on alcoholic beverages. Male respondents preferred, in order, soju, beer and wine.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in order, beer, wine and soju. Most of the respondents (69.2%) showed conservative consumption behaviors, and indicated they would drink a new product when it became popular. Flavor/taste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when selecting alcoholic beverages. The reasons for drinking yakju were "high quality" and "considering health". The most answered reason for low market share of yakju was lack of publicity and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Gouda Cheese Supplemented with Korean Traditional Yakju

  • Choi, Hee-Young;Yang, Chul-Ju;Choi, Kap-Seong;Kim, Hoi-Kyung;Chambers, Delores H.;Bae, In-Hy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2-878
    • /
    • 2011
  • The quality properties of Gouda cheese supplemented with Korean traditional Yakju (Acanthopanax senticosus or Pueraria thunbergiana wines) were investigated. Yakju was added in the process of Gouda cheese preparation, and proximate composition, lactic acid bacterial population, pH, water-soluble nitroge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oteolysis were determine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cheese proteins, the target functional components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the cheeses also were analyz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appearance of the cheeses were not affected by supplementing Yakju.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crude ash, minerals and polyphenols were observed in the cheese supplemented with Yakju compared to the control chees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uda cheese prepared with Yankju has functional and additional nutrient values without changing chees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