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ckw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올리고당을 사용한 집청액이 약과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pping syrups prepared with oligosaccharide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ckwa)

  • 이경애;이윤진;최윤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04
    • /
    • 2001
  • 집청액의 주재료인 설탕의 50%를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올리고당으로 대체한 집청용 시럽을 제조하여 집청액이 약과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약과의 환원당 함량은 설탕만을 사용한 시럽에 집청한 약과인 Y-SU가 가장 적었으며 Y-FO, Y-IO 순으로 증가하였다(p<0.05). 약과의 탈수율은 Y-SU, Y-FO, Y-IO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집청 흡수율은 Y-SU, Y-FO, Y-IO순으로 감소하였다(p<0.05). 약과 표면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올리고당을 사용한 약과 표면의 색은 대조군 약과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였고 황색도와 적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약과는 표면의 색, 윤기, 촉촉함, 단맛, 고소한 맛, 냄새,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올리고당을 사용한 시럽에 집청한 약과가 대조군 약과에 비해 표면의 색이 진하고, 윤기가 더 강하며 더 촉촉하였다. 또한 단맛은 약했으나 고소한 맛이 강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올리고당을 사용한 시럽에 집청한 약과가 더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윤기, 응집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p<0.05), 윤기가 강하고 응집성이 클수록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 분말을 첨가한 쌀약과의 품질 특성과 산화안정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 황혜정;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4-312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yam powder addition (0~40%)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yackwa made with rice flour. While most rice flour (34.35%) had a particle size more than $250{\mu}m$, 75% of yam powder had a particle size less than $65{\mu}m$. Width, height, and volume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in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While L and b values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de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a value increased. Hardness and chewiness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at $25^{\circ}C$ for 9 days, whereas they de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In a discrimination test, brown color, flavor, sweetness, and bitter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whereas hardness decreased. In a preference test,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The acid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However, acid and TBA values of the treated groups de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It was found that yackwa quality, preference, and oxidative stability increased during storage with increasing yam powder content. From these results, addition of 40% yam powder would b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king rice yackwa.

고아미와 밀가루 배합 비율에 따른 구운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oami Powder and Wheat Flour)

  • 김현아;양정수;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9-188
    • /
    • 2013
  • 본 연구는 고아미로 만든 약과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가루에 고아미를 비율별로 첨가하여(100, 80:20, 60:40, 40:60, 20:80, 100) 약과를 만들고 집청전 후 무게, 경도, 수분 함량, 색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약과 반죽 14g: 12mm 몰드에 성형, 구운 온도: $160^{\circ}C$, 20Min., 집청: $60^{\circ}C$, 30Min.). 밀가루로 만든 약과의 집청전후의 무게가 가장 가벼웠고,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무거웠다. 약과의 부피는 밀가루약과의 부피가 가장 컸고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부피가 유의적으로 작아졌다. 수분 함량은 고아미 100%로만 만든 약과가 가장 컸다. 약과의 경도는 고아미를 첨가한 약과가 높았고, 씹힘성은 경도가 가장 낮은 밀가루로 만든 약과인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부착성과 탄력성, 검성과 응집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과의 명도는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고아미약과의 관능검사 결과 밀가루와 고아미가 비율별로 섞인 약과보다 오히려 밀가루만으로 만든 대조군이나 고아미만으로 만든 약과의 선호가 높았다. 또한 고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단맛이 강하고 촉촉하여 높게 선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밀가루를 대신하여 고아미쌀 만으로도 촉촉하고 팽화율이 비교적 높은 품질이 좋은 약과의 개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약과의 제조 조건이 유지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aring Conditions on the Absorbed Oil Content of Yackwa)

  • 유미영;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1997
  • 약과의 제조조건에 따른 탈수량 및 유지 흡수량의 변화와 그때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죽을 냉장.냉동했을 경우 및 반죽의 크기, 튀김온도와 반죽횟수, 원료배합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탈수량 및 유지 흡수량의 변화,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반죽을 냉장.냉동 했을 경우 control군과 탈수량, 유지 흡수량,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다. 반죽의 크기를 중, 대, 소로 하였을 경우 크기가 작을수록 탈수량과 유지 흡수량이 증가하였고, 크기가 중인 것이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튀김온도(12$0^{\circ}C$ 36분, 14$0^{\circ}C$ 16분, 16$0^{\circ}C$ 11분, 18$0^{\circ}C$ 7분)의 영향은 탈수량은 거의 차이가 없으나 유지 흡수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반죽횟수(30회, 200회)의 영향은 탈수량은 거의 차이가 없으나 유지 흡수량은 반죽횟수가 많을 때 감소하였다. 원료배합량에 따른 영향은 참기름, 꿀, 소주의 배합량이 증가하면 탈수량이 증가하였는데 소주의 경우 탈수 정도가 컸다. 유지 흡수량은 참기름의 경우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고, 꿀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하면 유지 흡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소주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하면 유지 흡수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튀김온도, 반죽횟수, 원료배합비를 달리한 약과의 관능평가에서는 유지 흡수량이 많은 약과의 경우 광택, 연한 정도, 부서지는 정도, 기름 맛 등의 특성이 강하다고 평가하여 위의 제조조건이 약과의 유지 흡수량과 그에 따른 관능적 성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사용한 약과의 특성 (Effect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on the Yackwa Quality)

  • 이경애;이윤진;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65
    • /
    • 2001
  • 꿀의 25%, 50%를 이소말토올리고당(IMO)으로 대체한 약과를 제조하여 IMO가 약과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꿀만을 사용한 대조군 약과(Y-0), 꿀의 25%를 IMO로 대체한 약과(Y-1), 꿀의 50%를 IMO로 대체한 약과(Y-2)를 제조하여 세 종류의 약과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IMO를 사용한 약과는 Y-0에 비해 환원당 함량은 감소하였고, 지방함량은 증가하였다. 약과 표면의 색은 L, a, b값이 모두 약과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IMO를 사용한 약과는 대조군 약과에 비해 명도는 높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낮아졌다. 약과의 관능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IMO를 사용한 약과는 Y-0에 비해 색이 엷으며 균열이 많고, 잘 부서지며 견고성이 낮다고 평가되었다(p<0.05). 기호도는 꿀의 25%를 IMO로 대체한 약과인 Y-1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견고성 및 냄새와 정의 상관관계(p<0.05)를 느끼한 맛과는 부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었다. 텍스쳐 특성을 검토한 결과, IMO를 사용한 약과는 꿀만을 사용한 약과에 비해 견고성, 응집성, 검성이 낮아졌다(p<0.05).

  • PDF

굽기와 집청 조건에 따른 고아미 구운 약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Baked and Dipping with Goami Powder)

  • 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04-612
    • /
    • 201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made with goami powder at different baking temperatures (150, 160, 170, 180) and baking times (15, 20, 25 min) and at different dipping temperatures (65 and $80^{\circ}C$) and dipping times (15 and 30 min)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ime for yackwa containing goami powder, color values, preference color and pictures were determind. The baking temperatures were $150^{\circ}C$ for 25 min, $160^{\circ}C$ for 15 min and 20 min, and $170^{\circ}C$ for 15 min. The weight of yackwa was heavier at low dipping temperatures and long dipping times. L-values and b-values were the highest at short dipping times. Hardness, moisture and overall preference was the lowest at low dipping temperatures and long dipping times.

밀가루의 배합비율에 따른 약과 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ipe for Yackwa by the mixing ratio of flour)

  • 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cipe for high quality Yackwa (fried cake made of wheat flour)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flours, frying temperature and time. Yackwas were prepared by using 3 kinds of flour mix (3:7, 4:6, and 2:8 of weak to medium ratio), fri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s, and evaluated by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Yackwa prepared with 3:7 mixing ratio of flour and fried at 160$^{\circ}C$ for 9 min was most preferred. Yackwas with the same flour mixing ratio and fried at 150-155$^{\circ}C$ for 12∼16 min were also within the range of acceptance. The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Yackwa were suggested to be soft, crispy, and to have little taste of oil.

  • PDF

생강즙이 약과의 품질특성과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ger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Yackwa)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5-273
    • /
    • 1992
  •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Yackwa added by different levels of ginger juice with 3 different kinds of ginger (small, medium, and large) produced in Susan and Bongdong.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ent of moisture and ash. Susan large ginger showed me highest level of moisture. By the sensory evaluation, Yackwa added by 5 g (2% of wheat flour, w/w) of Susan (small) and Bongdong ginger juice showed higher preference man those of other levels. However, Yackwa made with Susan large ginger juice showed preferable when 10 g (4% of wheat flour, w/w) was added. Textural characteristics by rheometer measurement and color were influenced by adding different levels of ginger juice. Sensory evaluation for the color of Yackwa made with Susan and Bongdong ginger juice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L, a, and b values in instrumental test.

  • PDF

난백의 첨가수준에 따른 약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Egg White)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6
    • /
    • 2002
  • Yackwa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different amounts of egg white,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texture profile analysis, Hunter's colorimetry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5 days of storage. Tn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Yackwa were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during storage and the texture parameters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egg white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p〉0.05), but Hunter's color values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the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samples during storage except the increase of crispiness and overall acceptance by the addition of egg white. The results showed that Yackwa prepared with 10 g of egg white/(100 g of other ingredients ---약과재료 얼마당 10g 첨가인지 명확히 해야 함) had an acceptable sensory quality.

쇼트닝 혼합유로 만든 약과의 유지 특성과 유지 안정성 (Characteristic and Stability of Lipids in Yackwa at Various Shortening Ratios)

  • 김소원;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4-349
    • /
    • 2009
  • 약과 반죽시 참기름 대용으로 쇼트닝을 이용할 목적으로 쇼트닝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참기름 100%, 참기름 75%+쇼트닝 25%, 참기름 50%+쇼트닝 50%, 쇼트닝 100%) 약과를 제조하고, 약과 유지의 지방산 조성, 유지함량, 원료유지의 잔존율, 저장 중의 유지산패도(산가, 과산화물가, 카르보닐가)를 측정하여 쇼트닝 약과의 유지안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약과 반죽의 유지 함량은 9.33%였으나, 튀김 후 시료 구별 약과의 유지함량은 25.20-29.12%로서 아주 높았다. 이들 약과의 유지 구성은 반죽에 첨가되었던 원료유지와 튀김에 사용된 튀김유(대두유)의 비율이 각각 16-10%와 84-90%로서 튀김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모든 약과의 지방산 조성은 쇼트닝의 첨가수준에 관계 없이 시료구간에 거의 유사하여 linoleic acid 49.71-51.27%, oleic acid 26.05-26.77%, palmitic acid 10.07-11.71%, linolenic acid 5.51-5.72% stearic acid 4.51-4.68%였으며, 이것은 튀김유(대두유)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3. 쇼트닝 첨가에 따른 약과의 저장중 산가, 과산화물가, 카르보닐가의 변화는 쇼트닝 첨가가 산가의 증가를 다소 지연시켰으나 과산화물가와 카르보닐가는 시료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약과 제조시에 반죽에 첨가되는 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크게 다르더라도 약과의 유지 산패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튀김 과정 중 튀김유가 약과내로 다량 흡유되어 약과반죽의 원료유지보다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쇼트닝은 약과 반죽에 참기름 대용으로 사용될경우 약과의 유지 산패 면에서는 참기름 100% 약과와 차이가 없어 약과 제조시 참기름 대체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