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ine dehydrogenase(type 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 of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ion on the Type Conversion of Xanthine Dehydrogenase Into Xanthine Oxidase in Rats

  • Yoon, Chong-Guk;Huh, 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36-41
    • /
    • 1987
  • The conversion of xanthine dehydrogenase (type D) into xanthine oxidase (type 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rum and liver of all $CCI_4$ treated rats on the necrosis and early cirrhosis stage of liver tissue. In the pretreatment of prednisolone, the ratio of type O per type O + D showed the decreasing tendency in serum, but the significant decrease in liver. In vitro, the conversion of liver xanthine oxidase from type D into type O was markedly increased by following preincubation with lysosomal fraction. The type conversion of xanthine oxidase may be caused by protelytic enzymes in lysosome.

  • PDF

납이온이 잔틴 옥시다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Ion on The Hepatic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Vitro)

  • 허근;신억섭;이상훈;안원효
    • 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21-527
    • /
    • 1995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ad acetate on the activities of the hepatic cytosofic xanthine oxidase and aldehyde oxidase which were well known as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Lead ion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increment of xanthine oxidase(type O) activity and the type conversion ratio from xanthine dehydrogenase to xanthine oxidase dose-dependently. But xanthine dehydrogenase(type D) activity was decreased. Aldehyde oxidase activity was not changed by lead 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lead-induced cellular to)dcity may be concerned partially with xanthine oxidase mediated lipid peroxidation.

  • PDF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가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Post-fermented Green Tea by Monascus pilosus on the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the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in Mouse Fed a High Fat Die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양승환;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85-94
    • /
    • 2012
  •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후 발효 녹차의 첨가식이가 고지방식이 ICR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 지방함량 및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대조군(NC), 고지방식이대조군(HC), 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CHA)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녹차 분말을 2% 첨가한 고지방식이군(mCHA)으로 구분하여 7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은 CHA군과 mCHA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HC군에 비하여 각각 24.15 및 29.66%가 감소되었으며 식이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체중 당 간 및 신장의 중량은 CHA군 및 mCHA군이 HC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체중 당 부고환주위지방의 무게는 mCHA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 TG와 의총콜레스테롤 함량은 mCHA군에서 NC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HDL-cholesterol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96.55 및 119.32%가 높았다. CHA군과 mCHA군의 CHA군 및 mCHA군의 LDL-cholesterol 함량은 각각 0.67 및 0.41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GSH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CHA군이 11.24%, mCHA군은 23.68%가 높았다. LPO 함량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43.70 및 45.38%가 낮았다. CHA군과 mCHA군의 xanthine oxidoreductase D type 효소활성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18.52 및 33.33%가 감소하였으며 mCHA군은 NC군 수준으로 높았다. XOD O type 효소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각각 16.67 및 33.33%가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CHA군과 mCHA군이 HC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다. mCHA군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mCHA군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HC군의 2.55배, CHA군의 1.5배로 높았으며 NC군과 대등하였다. CHA군과 mCHA군의 ALT 활성 H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간 조직의 현미경 관찰결과, CHA군과 mCHA군에서는 간 세포 내 축적된 지방의 크기가 작은 포말형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간 세포판과 동양혈관 형성이 간 소엽단위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M. pilosus로 발효시킨 후발효 녹차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과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예방 혹은 경감시켜줄 수 있는 유효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