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ML Database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8초

상이한 구조의 XML문서들에서 경로 질의 처리를 위한 RDBMS기반 역 인덱스 기법 (An RDBMS-based Inverted Index Technique for Path Queries Processing on XML Documents with Different Structures)

  • 민경섭;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4호
    • /
    • pp.420-428
    • /
    • 2003
  • XML은 웹을 비롯한 모든 문서들을 표현할 수 있는 데이타 중심 표준 언어이다. XML 기반의 여러 문서 개발 도구들의 등장과 이를 이용한 사유 XML 문서의 증가, XML 문서로의 기존 데이타 변환가속화로 인해, 우리는 대량의 서로 상이한 구조로 표현된 XML 문서들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서 집합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담은 문서를 추출해 내는 것이 중요해 졌다. 하지만, 기존의 XML 문서에 대한 연구들은 한 개의 대규모 XML 문서나 동일한 구조를 가진 문서들에 대한 저장, 검색에 초점이 맞춰져 있거나. 상이한 구조를 지원하더라도,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한 빠른 검색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이한 구조를 가진 문서들에 대해서도 빠른 경로 질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새로운 역 인덱스를 제안하였다. 우리는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간접 포함 관계를 포함한 모든 진의에서 논은 성능을 제공함으로서, 상이한 구조를 가진 문서들에 대해 적합한 인덱스 구조임을 보여 주었다.

XML 데이타의 경로 유사성에 기반한 클러스터링 기법 (A Clustering Method Based on Path Similarities of XML Data)

  • 최일환;문봉기;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3호
    • /
    • pp.342-352
    • /
    • 2006
  • 최근의 XML 저장소에 관한 연구들은 기존의 데이타 저장을 위해 주로 사용해 왔던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에 효율적으로 XML 데이타를 매핑하는 기법이나 XML 데이타를 위한 새로운 전용 저장소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룬다. XML 전용 저장소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XML 문서를 파싱하여 각 노드들을 개별적인 객체로 생성한 후 이를 저장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저장 방식에서는 개별적인 객체들의 물리적 배치, 즉 클러스터링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XML 문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타 노드들의 경로 유사도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질의 요청에 대한 결과를 반환할 때 발생하는 페이지 I/O를 줄인다. 또한 경로 질의 처리시 필요한 클러스터만을 이용하여 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질의 처리과정에서 불필요한 데이타를 제외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탐색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경로 질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밖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른 클러스터링 기법들과 제안한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면 XML 저장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유효한 XML 문서에 대한 경계 로킹에 기반한 시퀀스 그룹 검증 기법 (Sequence Group Validation based on Boundary Locking for Valid XML Documents)

  • 최윤상;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6호
    • /
    • pp.628-640
    • /
    • 2005
  • 많은 웹 응용 영역에 XML이 적용되면서 트랜잭션의 변경과 접근에 대한 고립성을 만족시키는 XML 문서에 대한 병행수행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DTD(혹은 XML 스키마)의 규칙을 잘 지키는 문서를 유효한 XML 문서라 하는데, 유효한 XML 문서에 대한 갱신 연산은 연산 후의 XML 문서가 원래 DTD의 규칙을 그대로 유지해야하는 유효성 문제를 앉고 있다. 일반적인 유효성 검증 방법은 갱신 후의 XML 문서 전체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유효성 검증 방법은 낮은 병행수행의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XML 문서의 유효성 검증 범위를 최소화하면서 높은 병행수행 정도를 보이는 새로운 유형성 검증 방법과 로킹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유효성 검증의 검증 범위를 최소화 시켜 유효성 검증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시퀀스 그룹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검증 기법의 정확성을 보장하면서 로킹되는 데이타 아이템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경계 로킹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유효성 검증 기법과 경계 로킹 기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트랜잭션의 병행수행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XML 질의 캐쉬의 저장 기법 (Storage Schemes for XML Query Cache)

  • 김영현;강현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5호
    • /
    • pp.551-562
    • /
    • 2006
  • 최근 XML 데이타베이스 기반 웹 응용을 위한 XML 질의 캐쉬 기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XML 질의 캐쉬의 실용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캐쉬된 질의 결과를 어떻게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XML 질의 캐쉬의 저장 기법을 다룬다. XML 질의 캐쉬의 효율적인 저장 구조 설계에 있어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점은 캐쉬된 질의 결과에 대한 대표적인 두 종류 연산 간에 성능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두 종류의 연산은 (1) 캐쉬된 질의 결과를 반환하기 위하여 캐쉬 전체를 검색하는 것과 (2) 소스 데이타의 변경에 대하여 캐쉬를 점진적으로 갱신하기 위하여 캐쉬의 일부분을 변경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두 여덟 개의 XML 질의 캐쉬 저장 기법을 제시한다. 이들은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1) 일반적인 텍스트 화일을 기반으로 한 기법 (2) 영속성 있는 DOM(PDOM) 화일에 기반을 둔 기법 (3) RDBMS를 사용하는 기법이다. 이들 모두를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하였고, 기존의 XML 저장 기술에 기반을 둔 질의 캐쉬 저장 기법과도 비교 평가하였다.

XQuery SQL:2003 번역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ranslator form XQuery to SQL : 2003)

  • 김송현;박영섭;이윤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7호
    • /
    • pp.668-681
    • /
    • 2006
  • XML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인터넷 기반 환경에서 데이타 표현 및 교환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XML이 데이타 표현 및 교환의 주요한 포맷으로 자리잡으면서 XML 데이타의 효율적인 저장 및 질의 처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XML 데이타를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은 데이타 관리와 질의 처리에서 많은 이익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은 강력한 질의 처리 및 데이타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이들 기능을 확장하여 XML 데이타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XML 질의를 SQL 질의로 변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XML 질의 언어인 XQuery 질의를 SQL:2003 질의로 변환하는 질의 번역기를 설계 및 구현한다. SQL:2003은 SQL:1999을 대체하는 최신 SQL 표준으로, XML을 지원하기 위한 SQL/XML을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째, SQL:2003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XML 지원 특징을 살펴보고 미흡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정의 함수를 제안한다. 둘째, XQuery 질의를 SQL:2003 표준을 준수하는 SQL 질의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번역기에 대한 설계와 구현을 자세히 기술하여 번역기의 가능성(feasibility)을 보여준다.

동적으로 갱신가능한 XML 데이터에서 레이블 재작성하지 않는 원형 레이블링 방법 (A Circle Labeling Scheme without Re-labeling for Dynamically Updatable XML Data)

  • 김진영;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2호
    • /
    • pp.150-167
    • /
    • 2009
  • XML은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환경의 데이타에 대한 저장과 교환, 출판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XML의 광범위한 사용에 따라 XML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레이블링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레이블링 방법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XML 문서에 대한 효과적인 레이블링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레이블 재작성 비용, 레이블 저장을 위한 큰 저장공간 할당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새로운 데이타가 지속적으로 삽입될 경우 더욱 심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원으로 나타냄으로써 회전수, 부모/자식원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체 레이블 저장공간의 효율을 얻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반지름 개념을 적용하여 동일 위치에 지속적인 새로운 데이타 삽입 시에도 레이블의 길이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기존 레이블의 변경을 초래하지 않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원형 레이블링 방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XML 문서를 원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도를 한 점과 XML 문서의 크기 증가 시 레이블 저장공간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점과 동적 XML 환경에서 새로운 데이타의 업데이트 시에 기존 노드들에 대해 레이블 재작성을 피할 수 있는 점에 의미가 있다.

XML 데이타를 위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질의 처리 (Object-Oriented Database Schemata and Queiy Processing for XML Data)

  • 정태선;박상원;한상영;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2호
    • /
    • pp.89-98
    • /
    • 2002
  • XML이 웹상에서 정보 교환의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XML을 데이타베이스의 데이타로 보고 정보를 추출하는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의 DBMS 시스템에 XML 데이타를 저장하여 기존의 DB 엔진으로 XML 질의를 처리하는 분야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때 주로 관계형 DBMS를 사용하는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XML 데이타를 저장하고 질의를 처리하는 또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하는 방법은 XML의 DTD로부터 OODB의 클래스를 생성하고 이 클래스에 대하여 XML 질의를 수행한다. 특히, XML 데이타의 비정형적인 성질이 OO 모델의 계승(inheritance)을 이용하여 표현되어 질의 처리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An Ontology-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Integrated System of Web Information Extraction and Structuring Knowledge -

  • Mima, Hideki;Matsushima, Katsumori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5년도 e-Biz World Conference 2005
    • /
    • pp.55-61
    • /
    • 2005
  • We will introduce a new web-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progress, in which XML-based web information extraction and our structuring knowledge technologies are combined using ontology-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ur aim is to provide efficient access to heterogeneous information on the web, enabling users to use a wide range of textual and non textual resources, such as newspapers and databases, effortlessly to accelerate knowledge acquisition from such knowledge 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we propose at first an XML-based Web information extraction which contains a sophisticated control language to extract data from Web pages. With using standard XML Technologies in the system, our approach can make extracting information easy because of a) detaching rules from processing, b) restricting target for processing, c) Interactive operations for developing extracting rules. Then we propose a structuring knowledge system which includes, 1) automatic term recognition, 2) domain oriented automatic term clustering, 3) similarity-based document retrieval, 4) real-time document clustering, and 5) visualization. The system supports integrating different types of databases (textual and non textual) and retriev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rough further explanation to the specifi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technique of the system, we will demonstrate how the system can accelerate knowledge acquisition on the Web even for novice users of the field.

  • PDF

구조적 중복을 사용한 XML 문서의 릴레이션으로의 분할저장 (Shredding XML Documents into Relations using Structural Redundancy)

  • 김재훈;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2호
    • /
    • pp.177-1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XML 데이타를 릴레이션으로 분할 저장할 경우, 분할된 XML 데이타로부터 질의 결과 XML 문서를 재구성하는데 소모되는 질의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구조적 중복 방법을 소개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주어진 질의 패턴을 분석하여, 적절한 데이타들을 중복시킴으로서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중복 방법으로 실질적으로 유효할 수 있는 ID, VALUE, SUBTREE의 세 가지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주어진 XML 데이타와 질의들이 매우 크고 복잡할 경우 최적의 중복 집합을 팎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경험적 탐색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중복 데이타를 사용함으로 발생하는 XML 질의 처리비용과 제안된 탐색 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중복 데이타를 사용함으로 XML 판독 질의는 빨라지지만, XML 갱신 질의는 중복 데이타의 갱신 일관성 비용 때문에 느려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매우 과도한 갱신 비용의 경우에도 in-place ID 중복은 효율적이며, 갱신 비용이 매우 과도하지만 않다면 multiple-place SUBTREE 중복은 판독 질의 처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XML 정규 경로식을 위한 유연한 질의 처리 시스템 (A Flexible Query Processing System for XML Regular Path Expressions)

  • 김대일;김기창;김유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6호
    • /
    • pp.641-650
    • /
    • 2003
  • 반 구조적(semi-structured)이며 표현의 유연성이 높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인터넷에서의 정보 교환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많은 문서들이 XML로 작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서들에 대한 효율적인 저장과 검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XML 문서들을 저장하는 백엔드(back-end)로서 대량의 정보처리가 가능하고 회복, 동시성 제어 등의 성숙된 기술들을 가지고 있는 관계형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기존의 관계형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질의 처리 방법들에서는 다양한 질의에 대해 동일한 구조 정보와 기본 연산을 적용하여 질의 처리를 하기 때문에 특정한 질의 형태만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를 분석하여 질의에 적합한 구조 정보와 기본 연산을 적용하는 유연한 질의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질의 처리 시스템은 정규 경로식 XML 질의를 분석하여 부모-자식 관계 파악에는 동등(equi)-조인을 사용하고 부모-자식 관계가 아닌 조상-자손 관계에는 $\theta$-조인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규 경로식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제안된 XML 질의 처리 시스템과 기존의 관계형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는 질의 처리 시스템을 비교 실험한 결과 다양한 정규 경로식 질의 처리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