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ray Fluorescence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34초

Target Transformation Factor Analysis에 의한 겹침 X-선 형광 스펙트라의 정량적 해석 (A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Overlapped X-Ray Fluorescence Spectra by Target Transformation Factor Analysis)

  • 김승원;이철;최상원;강형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20-726
    • /
    • 1992
  • 겹쳐 나타나는 X-선 형광 스펙트라에서 얻은 다변수 데이타를 해석하기 위하여 다변수분석법인 인자분석법을 적용하였다. Pb와 As의 피크가 겹쳐 있는 11개 표준시료의 X-선 형광 스펙트라를 파장분산형기기로 $33.50∼34.50^{\circ}$에서 측정하였다. 8개 시료의 피크세기로 데이타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AFA(Abstract Factor Analysis)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자의 수가 3으로 나타났으며 표준시료에 함유된 8개 원소를 타겟트 테스트한 결과 Pb, As 및 Cu로 판명되었다. 농도 기지인 시험시료에서 상기 원소들의 농도를 피크의 겹침에 무관하게 TTFA(Target Transformation Factor Analysis)에 의해 결정하였다.

  • PDF

X-선 형광 분석방법을 이용한 숙지황의 무기원소 함량분석과 지리적 특성 규명 (Discrimination of Geographic Origin by Trace Elements Contents in Rehmannia Radix Preparat using X-ray Fluorescence Analysis)

  • 배혜리;이시경;황인재;강정미;이진호;김정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45-348
    • /
    • 2015
  • 한국산 및 중국산 숙지황(Dried Rehmannia Radix Preparat)의 지리적 원산지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기(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미량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143종의 시료에서 검출된 K, P, S, Cl, Si, Al, Fe, Sn 등 35종의 원소를 정준판별분석한 결과 평균 판별 정확도는 92.3%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p=)은 0.0001 미만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에 사용하는 원소수를 35종에서 8종, 3종으로 줄였을 때 판별정확도는 각각 88.1, 84.6%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내에서의 판별정확도는 94.6-96.0%였으나 한국산내에서의 판별정확도는 72.5-89.9%로 나타났다.

제주도 신석기 토기에 대한 Mossbauer 연구 (A Study of Neolithic era Plain Coarse Pottery of Cheju Island by Mossbauer Spectroscopy)

  • 윤태건;최원준;고정대;홍성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3-190
    • /
    • 2000
  •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및 Mossbauer 분광법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고산리, 사계리, 북촌리 삼양동, 고내리 유적지 등에서 발굴된 신석기토기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5개 지역의 6개의 토기 시료는 상온에서 X-선 형광분석 및 X-선 회절 스펙트럼 분석에서 SiO$_2$같은 규산염 광물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소량의 magnetite, hematite, goethite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토기편에 존재하는 Fe 원자가 대부분은 Fe$^{3+}$ 이었고, 초미세 자기분열로 인해 나타난다고 추정되며, 토기편의 상온 Mossbauer spectrum에서 Fe$^{2+}$/(Fe$^{2+}$+Fe$^{3+}$ )의 비가 거의 0으로 나타나 토기편은 본래 공기 분위기에서 구워졌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휴대용 XRF 장치의 검출감도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for Enhancement of the Detection Sensitivity in Hand-Held X-Ray Fluorescence Device)

  • 김성수;이연승;김도윤;고동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09-415
    • /
    • 2011
  • 현재 개발 중인 휴대용 XRF (X-Ray Fluorescence) 장치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였다. 대기 기체분자에 의한 강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료와 검출기 사이에 Vacuum module을 설치하였다. Vacuum module은 대기기체 또는 He 기체를 채울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그리고 Vacuum module 내부에 He 기체를 채운 상태, 또는 진공상태에서 검출감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3가지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는, 낮은 에너지 영역(3~4 keV)에서의 XRF 강도가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검출감도의 향상은 검출시간의 단축을 의미하기 때문에, 휴대용 XRF 장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두 번째는, x-ray emission line의 에너지가 3 keV 이하인 원소의 검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He 기체를 채운 vacuum module을 사용하면, 휴대용 XRF 장치에 진공밀폐용기를 쓰지 않으면서도 대기기체분자에 의한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 가지 모두 휴대용 XRF 장치의 개발에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주석 슬랙중 $Ta_2O_5,\;Nb_2O_5$ZrO_2$의 단일희석법을 이용한 X-선 형광분석 (X-Ray Fluorescence Analysis of $Ta_2O_5,\;Nb_2O_5$ and ZrO_2$ in Tin-Slag Samples using Simple Dilution Method)

  • 김영상;성학제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93-301
    • /
    • 1984
  • 단일 희석법을 이용한 X-선형광분광법으로 주석, 슬랙중 $Ta_2O_5$$Nb_2O_5$, $ZrO_2$등을 정량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표준 검정 곡선을 직선으로 되게끔 수학적으로 보정하는 것이다. 시료의 조성과 비슷한 한개의 합성표준시료와 분석시료를 무수물의 $Li_2B_4O_7$으로 묽혀서 각각 시료가 1%, 2%, 3%되게 한다. 묽힌 시료들을 $1150^{\circ}C$에서 30분간 용융하여 유리화된 구슬을 만든 다음, 곱게 갈아서, 다시 유압기로 압축하여 분석시편을 만든다. 이 시편을 사용하여 X-선 세기를 측정하고, 원소의 특성 X-선 세기에 관한 J. Scherman의 식으로부터 유도한 식에 대입하여 분석 결과를 계산했다. 이들 분석결과들을 표준검정곡선법으로 얻은 기준값과 잘 일치하며, 결과에 대한 재현성도 좋음을 보여 주었다.

  • PDF

Radiation attenuation and elemental composition of locally available ceramic tiles as potential radiation shielding materials for diagnostic X-ray rooms

  • Mohd Aizuddin Zakaria;Mohammad Khairul Azhar Abdul Razab;Mohd Zulfadli Adenan;Muhammad Zabidi Ahmad;Suffian Mohamad Tajudin;Damilola Oluwafemi Samson;Mohd Zahri Abdul Aziz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301-308
    • /
    • 2024
  • Ceramic materials are being explored as alternatives to toxic lead sheets for radiation shielding due to their favorable properties like dur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aesthetic appeal. However, crafting effective ceramics for radiation shielding entails complex processes, raising production costs. To investigate local viability, this study evaluated Malaysian ceramic tiles for shielding in diagnostic X-ray rooms. Different ceramics in terms of density and thickness were selected from local manufacturers.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EDXRF) and X-ray Fluorescence (XRF) characterized ceramic compositions, while Monte Carlo Particle and Heavy Ion Transport code System (MC PHITS) simulations determined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LAC), Half-value Layer (HVL),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MAC), and Mean Free Path (MFP) within the 40-150 kV energy rang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C PHITS simulations and real setups was conducted. The C3-S9 ceramic sample, known for homogeneous full-color structure, showcased superior shielding attributes, attributed to its high density and iron content. Notably, energy levels considerably impacted radiation penetration. Overall, C3-S9 demonstrated strong shielding performance, underlining Malaysia's potential ceramic tile resources for X-ray room radiation shielding.

N-Anthracenylmethyl Calix[4]azacrowns as New Fluorescent Ionophores

  • Yang, Seung-H.;Shon, Ok-J.;Park, Ki-M.;Lee, Shim-S.;Park, Ho-J.;Kim, Moon-J.;Lee, Joung-H.;Kim, Jong-S.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1호
    • /
    • pp.1585-1589
    • /
    • 2002
  • Two novel calixarene-based fluoroionophores were synthesized. Their conformations were confirmed to 1,3-alternate by X-ray crystal structures. From CHEF by blocking the PET mechanism in fluorescence spectra, we observed $In^{3+}$ and $Pb^{2+}$ selectivity over other metal ions. For $In^{3+}$ion, calix[4]-bis-azacrown-5 showed about 20 times more sensitive than calix[4]-mono-azacrown-5 because the source of the binding selectivity comes from the calixarene framework and azacrown ligand by controlling the fluorescence and PET mechanisms as-sociated with the amine moiety.

제주 북부지역 스코리아의 철 화합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ron Compounds of Scoria in The Northern Area of Jeju)

  • 최원준;고정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68-173
    • /
    • 2008
  • 제주도 북부 지역 오름의 주성분인 스코리아에 대한 화학적 조성, 산화철의 원자가 상태와 자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X-선 형 광분석을 통해서 철 함유량은 $14.08{\sim}20.08\;wt%$ 임을 확인하였고,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iO_2$와 같은 규산염 외에 소량의 철산화물이 확인되었다. $M{\ddot{o}}ssbauer$ 분광법을 통해서 시료들 내부의 광물 중, 철 성분들이 어떤 형태를 이루는지 알아보았다. 측정한 결과 olivine인 규산염과 pyroxene, ilmenite와 같은 상자성 철산화물 및 상온에서 반강자성 및 강자성 물질인 hematite와 magnetite 산화철 광물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철 화합물의 원자가 상태는 $Fe^{2+}$인 olivine, pyroxene 그리고 ilmenite 와 $Fe^{3+}$인 hematite, magnetite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성분으로 볼 수 있는 hematite의 총 면적비는 평균 57.88 wt%이었고 스코리아 내에 존재하는 철의 주 원자가 상태는 대부분 $Fe^{3+}$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다른 제주 중산간 지역의 스코리아와 동 일한 지구화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高句麗) 쌍영총(雙楹塚) 벽화(壁畫)의 안료분석(顔料分析) (The Result of the Pigment Analysis of the Mural in Ssangyeongchong (Tomb of Two Pillars) from Goguryeo)

  • 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47-54
    • /
    • 2005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평양 남포지역의 고구려 쌍영총 (쌍기둥무덤)벽화 편 위에 채색되어 있는 안료의 성분분석을 수행함으로서 각 색상에 따른 안료의 광물종류 확인 및 벽화의 제작기법상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은 비파괴 성분분석기인 X-선형광분석기(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XRF)를 사용하여 안료의 성분원소를 확인하였고, X-선회절분석기(X-ray diffractometer, XRD)를 사용하여 벽화의 바탕 및 안료 층의 광물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벽화의 채색안료 중에서 입술의 적색에는 진사/주(HgS)가 사용되었으며, 얼굴부분은 진사/주와 석회(CaCO3)를 혼합하여 채색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으로 그림이 그려진 부분의 밑층에만 납 계통의 안료{연백[2PbCO3·Pb(OH)2]}가 검출된 사실을 꼽을 수 있다. 이로부터 쌍영총 벽화가 세코(Secco)기법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omparative Study for Grinding of Two Cement Clinkers

  • Ibrahimi, Soumaya;Jamaa, Nejib Ben;Mliki, Khaoula;Bagane, Moha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113-11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he comparative study for grinding of two cement clinkers. X-ray fluorescence, physical and granulometric tests and optical microscopy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clinkers. Also grinding tests were carried out for ten sample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influencing grindability of its clinkers. The results of calculation of the energies of grinding according to the law developed by Von Rittinger and the study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two clinkers shows good agreements. Indeed, frequent clusters of belite which indicate a lack of uniformity and fineness have an effect on lowering the grindability. The obtained analyses and the results enabled us to interpret the granulometry and the microstructure of clinker to control quality and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