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ray회절법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38초

$Li_3B_7O_12$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Lithium Heptaborate, $Li_3B_7O_12$)

  • 박현민;조양구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1998
  • Lithium heptaborate, Li3B7O12(Mr=288.49), 단결정을 성장시킨후, 결정구조를 X-선 분말 회절법과 단결정 회절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단위포 내에 각각 두개의 (B3O7)3-와 (B3O8)5-그룹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군은 P-1(Ci1)으로 결정되었고, a=6.500(3) Å, b=7.839(2) Å, c=8.512(1) Å, α=92.07(2)˚, β=104.97(2)˚, γ=99.35(3)˚, V=412.0(2) Å3, Z=2 Dx=2.32 g cm-3, MoKα, λ=0.71069 Å, μ=2.15cm-1, T=293K 이었다. 최종 구조의 오차인자는 2,296개 회절 점에서 각각 R=0.0339과 wR=0.0882이었다. X-선 분말 회절방법으로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thylenediammonium Monohydric Phosphate의 합성 및 X-선 결정구조 (Synthesis and X-ray Crystal Structure of the Ethylenediammonium Monohydric Phosphate)

  • Tae-Sun Chang;Chong-Hyeak Kim;Deug-Hee Cho;Dong-Koo Lee;Tianyou Song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00
    • /
    • 2002
  • (H/sub 3/NCH/sub 2/CH/sub 2/NH/sub 3/)HPO/sub 4/ (Ⅰ) 화합물을 수열법으로 최초로 합성하고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은 단사정계 , 공간군 P2/sub 1//c, a=10.209(1), b=7.891(1), c= 8.039(1) (equation omitted), β= 92.138(9)°, V=: 647.2(2) (equation omitted), Z=4로 결정화되었으며, 1141 개의 독립적인 회절 반점에 대한 최종 신뢰도 인자 R/sub 1/ 및 ωR/sub 2/값은 각각 0.0295 및 0.0811이었다. 화합물 (Ⅰ)은 수소결합으로 연결된 3차원의 그물 구조를 갖는다.

고온에서 발생한 코크스-미연소탄-소결광의 혼합물 중 미연소탄의 정량화를 위한 분말 X-선 회절법 적용 (Application of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for Unburned Coal Content on Coke-Char-Sinter Mixtures)

  • 김재명;정진경;김성만;허완욱;김형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81-487
    • /
    • 2003
  • 고로 연소대의 거동에서 석탄, 미연소탄, 코크스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기술이 필요하다 탄소질 재료에 분말 X-선 회절 정량법을 적용하여 석탄, 미연소탄, 코크스의 혼합시료에 대하여 탄소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석탄을 1000~140$0^{\circ}C$의 온도에서 시간을 달리하여 미연소탄을 제조하여 XR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XRD 분석을 위해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HCI과 HF용액을 이용하여 시료 내에 포함된 광물성분을 제거하였다. XRD측정 결과로부터 결정 층의 두께(L $c_{(002)}$)와 결정 층의 크기(L $a_{(10)}$), 방향족분율, 흑연화도, 면간거리( $d_{0.2}$), 탄소 층의 수( $N_{ι}$)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열처리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L $c_{(002)}$, L $a_{(10)}$, 흑연화도는 증가하였으며, 면간거리와 반가폭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미연소탄-코크스 혼합물에 대한 결정층의 두께자료는 합성시료로부터 미연소탄의 함량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기계적 후면 손상이 레이저/극초단파 광전도 기법에 의한 소수 반송자 재결합 수명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backside damage upon minority carrier recombination lifetime measurement by laser/microwave photoconductance technique)

  • 조상희;최치영;조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08-413
    • /
    • 1995
  • 초크랄스키 실리콘 기판의 뒷면에 형성된 기계적 손상이 레이저 여기/극초단파 반사 광전도 감쇠법에 의한 소수반송자 재결합 수명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기계적손상의 정도는 X-선 이중결정 회절법과 X-선 단면 측정법 및 습식산화/선택적 식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웨이퍼 뒷면에 가해지는 기계적 손상의 세기가 강할수록 소수반송자 재결합 수명은 짧아지고, 소수반송자 재결합 수명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반치전폭의 임계값은 약13초임을 알 수 있다.

  • PDF

거창화강석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광물조성 분석 (Analyses of Mineral Composition of Geochang Granitic Rocks for Stone Specification)

  • 최진범;좌용주;김건기;황길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3-381
    • /
    • 2006
  • 거창화강석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정확한 광물조성을 구하기 위하여 거창지역 석산을 포함하여 포천, 익산 및 중국에서 수입된 총 39개의 화강석 시료를 대상으로 현미경 육안관찰에 의한 광물모드 분석, X-선 형광분석에 의한 CIPW 노름 계산, 그리고 X-선 회절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트벨트법에 의한 광물정량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거창화강석은 회백색 내지 암색으로 중립질의 반상조직을 가지며,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장석 및 흑운모가 우세하다 광물조성을 결정하기 위해 3가지 분석방법을 비교한 결과, 노름 계산은 화강암의 광물조성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현미경 육안관찰에 의한 모드 분석보다 X-선 회절 데이터를 이용한 리트벨트 정량법이 상대적으로 정확한 광물조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Q-A-P 삼각도에 작도한 결과, 거창화강석은 전형적인 화강섬록암의 광물조성을 보여주며, 포천화강석은 몬조화강암, 익산석은 몬조화강암 내지 화강섬록암, 그리고 중국거창석은 화강섬록암의 조성을 각각 보여준다. 특히 중국거창석과 비교하여 거창화강석이 광물조성으로는 전혀 구별이 되지 않는 유사한 조성을 보여준다.

세라믹/금속접합재의 강도에 미치는 열사이클 영향 (Effect of Thermal Cycle on Strength of Ceramic and Metal Joint)

  • 박영철;오세욱;김광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7호
    • /
    • pp.1664-1673
    • /
    • 1994
  • As a fundamental study on effects of thermal-cycles on residual stress of ceramics/metal joints, residual stresses in $Si_3N_4$/SUS304 joint specimens were measured before and single thermal-cycle by X-ray diffraction method and finite element method(FEM). The residual stress was found to increase after single thermal-cycle, which was agreeable with the results of residual stress measurement by X-ray diffraction method and residual stress analysis by finite element method. After the residual stress measurement, 4-point bending tests were perfo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ding strength, the thermal-cycle temperature and hold time was examined. The bending strength was found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residual stress in linear relation.

X-선 분석법을 이용한 난연 EPS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Fire Performance Testing Method for Fire Retardant EPS Sandwich Panel Using X-ray Analysis)

  • 심지훈;조남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76-83
    • /
    • 2015
  • EPS 샌드위치 패널은 난연제의 첨가로 화재 시 발화를 늦춰주며 발열을 적게 발생시켜 연소의 확대를 막는다. 하지만 난연성능 기준에 미달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할 경우, 재산 및 인명 피해가 확대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마감재료의 난연성능은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워 간편하면서도 빠른 평가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X-선 분석법(XRF, XRD)을 이용하여 EPS 샌드위치 패널의 화재안전평가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X-선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화재시험을 통한 난연 성능에 따라 특정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X-선 형광분석(XRF)을 통해 알루미늄성분이 부적합제품에 비해 적합제품에 훨씬 많이 함유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선 회절분석(XRD)을 통해 난연 EPS의 주된 결정성 물질로 확인된 깁사이트(gibbsite)는 적합제품과 부적합제품에 공통으로 함유되어 있었지만 결정성에 있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X-선 분석을 통한 원소분석과 결정분석으로 난연성능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의 구조 (Structure of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

  • 이보형;조선희;박영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118
    • /
    • 1997
  • Hydroxy-bisbenzoyloxy-allyloxycalix[4]arene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의 공간군은 P21이고, 단위세포 상수는 a=11.045(3), b=33.545(2), c=10.319(4) Å, β=113.86(2)˚, Z=4, V=3496.0(1.8) Å3, DC=1.28 gcm-3이다. 회절 반점들의 세기는 Enraf-Nonin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Kαradiation X-선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2945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76이었다. 결정학적으로 서로 다른 두개의 거울상체 분자들이 라세미 혼합물 형태로 결정화되어 있다. 분자내 수소결합이 있으며 hydroxy1 pheny1고리가 크게 벗어난 flattend cone conformation을 보여주는 분자구조이다.

  • PDF

Tetrapropionyloxycalix[4]arene의 구조에 관한 연구 (Structure of Tetrapropionyloxycalix[4]arene)

  • 박영자;김현희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0-87
    • /
    • 1995
  • Tetrapropionyloxycalix[4]arene(C40H40O8)의 결정 및 분자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단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21/n이다. 단위세포 길이는 a=13.921(3), b=13.552(2), c=19.840(5)Å이며, β=110.38(2)°, Z=4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흑연단색화 장치가 있는 Enraf-Nonius CAD-4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Kα X-선(λ=0.7107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2514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6이었다. 본 Calixarene은 partial cone conformation을 이루고 있어 세 개의 phenyl group들과 나머지 한 개의 phenyl group사이에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지고 있다. 세 개의 phenyl group들은 macrocycle로 된 cavity 바깥쪽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 PDF

구조-H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새로운 포접 현상 규명 (New clathration behaviors of structure-H hydrate formers)

  • 이종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7-580
    • /
    • 2007
  • 분자 크기가 너무 커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지 않는다고 알려진 n-펜탄과 n-헥산이 다른 구조-H 형성 화합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구조-H 동공 내에 함께 포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H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및 미세구조 분석은 고체 NMR 및 X-선 회절 분광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혼합 화합물에서 보이는 구조-H 하이드레이트 형성은 전체적인 구조-H 형성 화합물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특징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