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ms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6초

Heterophu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Heterophyes nocens (Trematoda: Heterophyidae))

  • 채종일;정혜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75-82
    • /
    • 1992
  • Heterophyes necens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실험 감염시킨 고양이에서 얻은 성충과 인체 자연감염자에서 회수한 성충을 재료로 하였다. 충체는 나뭇잎 모양이며 복측으로 약간 굽어 있었고, 유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전반부는 등글고 후반부로 갈수록 충체의 폭이 차츰 감소하였다. 구흡반 주위에는 짧은 섬모가 있는 제 I형 감각유두가 4∼5개씩 모인 군집 감각유두가 관찰되었으며 그 사이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구흡반 외연 및 직후방에는 5∼9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12∼17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표피가 둥글게 융기한 제 II형 감각유두가 7∼8 개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우측과 좌측에 각각 5개 및 6개의 감각유두로 구성된 군집 감각유두가 3개군씩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그 사이에 단일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고양이에서 회수한 성충의 생식반은 흔히 함몰되거나 약간만 돌출되어 있어 gonotyl spine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환자에서 얻은 성충은 대부분의 경우 생식반이 충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gonotyl spine의 수는50∼60개이었다. 복흡반 외측 및 후방에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각각 관찰되었으며, 충체의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분지 수가 점차 감소하여 후단에서는 1∼3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고 피극의 밀도도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띠었다. 충체 배측에는 4∼5개의 감각유두가 모인 군집 감각유두 4쌍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배측의 점반부에는 15∼20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분포하였고 후반부로 갈수록 분지 양상이 감소하여 배측 후 단에서는 8~12개의 분지를 가진 피극이 관찰되었다. 또, 후반부로 갈수록 피극의 밀도가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 nocens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다른 이형흡충류의 경우와 비슷하나 생식반 외연에 분포하는 gonotyl Spine의 수가 50∼60개인 점, 전 표피에서 관찰되는 피극 및 감각유두의 특이한 분포 등은 H. nocens의 특징적 소견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한국 농촌지역의 회충재감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연구 ll. 연령별 재감염률 및 재감염의 가족집적성 (Epidemiological Studies on Ascaris lumbricoides Reinfection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II. Age-specific Reinfection Rates and Familial Aggregation of the Reinfected Cases)

  • 채종일;서병양이순형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42-149
    • /
    • 1983
  •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회충감염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재감염률의 차이 및 재감염의 가족집적성에 주안점을 두고 재감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977년부터 1980년까지 경기도 화성군의 11개 마을 전주민에 대하여 2, 4, 6 및 12개월 간격으로 pyrantel pamoate를 사용하여 반복집소투약하면서 각 투약간격동안 발생한 누적재감염율을 충란양성여재 및 투약후 2일간 전대편내에서의 충체양성여부를 종합하여 구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령별 재감염률은 모든 투약간격 군에서 소아가 성인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재감염률 및 재감염량은 학령전 아동군에서 관찰되었고 그 다음은 국민학생 연령군이었다. 또, 이러한 연령별 재감염률의 차이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훨씬 뚜렷하였다. 2. 재감염자는 어느 특정가족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강한 가족집적성이 관찰되었고 이 결과는 회충의 재감염이 무작위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동일한 환경을 가진 특정가족간에 빈발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었다. 이상의 재감염 특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농촌의 회충 재감염은 이른바 정국감염(dooryard infection)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또 보다 효과적인 집회관리를 위해서는 학령전 아동이 반드시 관리대상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부분정제 폐흡충 항원의 유용성 검토 (On the Applicability of Partially Purified Antigenic Preparations of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강신영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57-264
    • /
    • 1983
  • In order to obtain more specific antigenic preparation for the diagnosis of human paragonlmiasis, crude saline extract of whole worm (=PwWWE), secretory.excretory components (PwSEC) and secretion-excretion-free somatic extract (PwSM) of 12 week-old ParagoninBus westermani were filtrated through Sephadex G-200 gel column. The adult Paragonimus worms were obtained from expevimentally infected doge. A total of 11 antigenic solutions was Iyophilised or diluted to adjust protein content of 1mg/ml. To evaluate the antigenicity of crude antigens and fractions, micro-ELISA was done with the sera from P westermani in(ected cases, C. sinensis infected cases and non-infected control cases to detect Paragonimus specific IgG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PwWWE was filtrated through Sephadex G-200 gel, it was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PwWWE Fr. 1, PwWWE Fr. 2 and PwWWE Fr. 3. The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28.0%, 21.6% and 50.4% respectively. The PwSM was also.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PwSM Fr. 1, PwSM Fr. 2, PwSM Fr. 3. and their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41.3%, 38.6% and 20.1%. However, the PwSEC showed different fractionation pattern; i.e. fraction 1 (=PwSEC Fr.1) and 3 (PwSEC Fr. 3) without fraction 2. The percentage of protein content was 14.0% in PwSEC Fr. 1 and 86.0% in PwSEC Fr. 3. 2. When the antigenicity of each Paragonimus crude antigen and fractionated antigen was evaluated for specific IgG aritibody by micro-ELISA in 10 human paragonimiasis sera, PwSEC Fr, 1 was the most potent antigen showing the mean absorbance 1.98. The PwWWE Fr. 1, PwSEC, PwWWE were next to that: their mean absorbance were 1.72, 1.38 and 0.83 respectively. The antigenicity of fractions 2 and 3 was much weaker in binding specific IgG antibody. 3. When the antigens were reacted in micro-ELISA with 10 human clonorchiasis sera, most antigens showed weak reactivity. Each fraction 1 of crude antigens reacted higher than other fractions or crude antigens; the mean absorbance was 0.17 in fraction 1, but in others the absorbances were about 0.06. 4. With non-infected control sera, the result of micro-RLISA revealed almost same pattern with those of the clonorchiasis sera. From the above results, it became apparent that PwWWE Fr. 1, especially PwSEC Fr. 1 was the most potent antigen reacted with Paragonisfaus specific IgG antibody.

  • PDF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서 얻은 Stictodora lari 피낭유충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tictodora lari (Heterophyidae) metacercariae encysted in the brackish water fish, Acanthogobius flavimanus)

  • 채종일;박상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4호
    • /
    • pp.253-260
    • /
    • 1989
  • 경남 사천군에서 잡은 문절망둑(Acanthogobius navimanus)의 두부에서 동운상결가속 흡충의 퍼낭유충을 획득 하고 강아지와 어린 고양이에 실험감염시켜 성충을 얻은 바 Stirtodorn tnri (Heterophyidae)로 동정되었다. 피낭유충은 문절망둑 50마리에서 총 200개가 검출되었고 크기가 $0.39~0.43{\times}0.32~0.35mm$이며 긴 타원형이었다. 강아지 1마리와 어린 고양이 2마리에 34~100개의 피낭유충을 감염시켜 강아지에서 감염 후 8일째에 성충 30마리를, 고양이에서 4일 및 7일째에 각각 성충 2마리 및 1마리를 회수하였다. 성충 10마리(감염 후 8일)를 계측한 바 길이가 0.95~1.18mm(평균 1.05), 폭이 0.26~0.32mm (0.28)이었다. 자궁 내 충란은 긴 난원형으로 크기 $0.028~0.033{\;}(0.03){\times}O.017~0.020mm{\;}(0.019)$이었다. 충체의 종 동정 (species identification)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함몰된 복흡반에 겹쳐져 있는 gonotyl의 형태, 특히 소극(small spines)의 배열 및 수이었던 바 gonotyl 외연을 따라 반원 모양으로 등그렇게 일렬로 배열된 체일40개의 소극과 한족으로 휘말라 집괴를 이루고 있는 약 30~40개의 소극, 즉 모두 60~80개의 소극이 '콤마'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형태학적 특징으로 이 충체를 S. lari로 동정하였다. 이 연구로 우리 나라에 S. lari의 생활사가 문절망둑을 중간숙주로 하여 영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간흡충 감염 토끼에서 프라지콴텔 치료 전후의 특이항체의 간흡충 분비배설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양상 (Immune reactions between excretory-secretory antigens and specific antibodies of Clonorchis sinensis before and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in experimentally infected rabbits)

  • 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35-42
    • /
    • 1994
  • 간흡충 특이 IgG 항체와 간흡충 분비배설항원간의 면역반응이 간흡충 감염과 치료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고 치료 후 소실되는 것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간흡충 피낭유충 150, 450개씩 토끼에 감염시키고 감염대조군은 22개월. 프라지콴텔 치료군은 감염 4개월에 투약하였으나 완치되지 않아 이후 $4\frac{1}{2}$개월에 재투약하여 완치시킨 후 13개월까지 관찰하였다. 간흡충 분비배설항원은 SDS-PAGE에서 114, 102, 94, 80, 66, 63, 61, 59, 54, 52, 50, 47, 45, 42, 40, 38, 34, 33, 30, 27, 25, 23, 20, 19, 18, 17, 16, 12.5, 12, 11.5 kDa 단백질 구성이었다. 이중 항 원 단백질은 감염혈청과 치료후 혈청으로 Immunoblot할 경우 66, 63(A군) 54-38(B군) 34. 33(C군), 30-23(D군) 20-14(I군) 12, 12.5, 11.5(K군) kDa 단백질이었다. 특히 33. 27, 13. 12.5 kDa 항원은 감염기간 동안 가장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낸 항원이었고 피낭유층 감염강도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투약은 했으나 완치되지 않은 4개월여 동안 면역반응의 변화는 없었다. 치료후 면역반응은 33 27 kDa 항원의 경우 환치후 13개월까지 지속되었고 치료전과 정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3, 12.5 kDa 항원의 면역반응은 완치후 1개월부터 약화되기 시작하여 6 개훨이면 소멸되는 양상이 뚜렷하였다. 12.5 MDa 항원은 SDS-PAGE상 단백질 함량이 많고 간흡충 감염의 강한 항원이면서 치료 후에는 특이항체와의 면역반응이 치료전에 비해 현격히 감소되므로 간흡충 현증 감염만을 혈청학적으로 진단해 줄 수 있는 항원으로 판단하고 간흡충 'K2-항원'이라 명명하였다.

  • PDF

한국의 개 심장사상충 유병율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Canine Heartworm Infection in Korea)

  • 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1-3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개 심장사상충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연구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1996-2007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총 14편 (자충검사 1,790건, 성충에 대한 ELISA 항원검사 3,277건)의 자료에 근거하여 주요 위험 요인별 자충과 성충의 항원검사에 의한 유병율을 추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일반견 (pet dog)과 군견 (military dog)을 별도로 분석하였다. 일반견에서 현성유병율은 자충검사 11.7% (183/1,563), 항원검사 16.5% (379/2,302)로 항원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 < 0.001) 두 검사 모두 성별에 따른 유병율의 차이는 없었다. 2000년 이전과 비교할 때 2000년 이후 자충검사와 항원검사에 의한 유병율은 2.5%에서 13.1%, 9.9%에서 20.3%로 각각 증가하였다 (p < 0.001). 항원검사에 의한 유병율은 2세 이하 5.0% (n = 701), 2세 이상 20.7% (n = 1,003)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 < 0.001), 실외견 (37.9%)이 실내견 (3.4%)에 비하여 유병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군견의 경우 유병율은 자충검사 38.3% (87/227), 항원검사 38.5% (375/975)로 일반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p < 0.001), 잠복감염율은 일반견 37.5%, 군견 66.7%로 나타났다.

감성돔 아가미에 기생하는 요각류 Alella macrotrachelus 구제를 위한 저삼투압 처리 효과 (Hyposmotic Treatment for Control of the Parasitic Copepod, Alella macrotrachelus on the Gill of Cultured Black Porgy)

  • 민병화;정민환;노경언;임한규;최철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2006
  • 감성돔 아가미에 기생하는 Alella의 형태 및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삼투압 충격에 의한 기생충의 구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숙주당 Alella의 기생수는 평균 5개체였으며, 모든 개체가 암컷이었다. 이들은 아가미 연골조직에 bulla를 삽입하여 몸을 고정하고 있었다. 이 기생충의 몸은 두흉부$(1825.0{\pm}495.8{\mu}m)$, 몸통$(1822.1{\pm}521.5{\mu}m)$ 부착기인 bulla $(134.2{\pm}43.1{\mu}m)$ 구성되어져 있었다. 기생충은 아가미 2차새변을 섭취하였으며, 이로 인해 감성돔은 출혈과 빈혈이 발생하였고, 숙주의 폐사는 빈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감성돔에 기생한 Alella성체는 염분농도 $0{\sim}15\%_{\circ}$에서 48시간 이내에 100% 폐사하여, 삼투압 충격에 의하여 구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납작벌레류(Stylochus ijimai, Pseudostylochus obscurus)의 산란 및 유생발생에 관하여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S OF TWO SPECIES OF POLYCLAD WORMS, STYLOCHUS IJIMAI & KABURAKI AND PSEUDOSTYLOCHUS OBSCURUS (STIMPSON))

  • 양한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74
  • 1. S. ijimai의 산난기는 5월하순에서 10월하순까지로서 주산난기는 7월중순에서 9월하순 사이였고 P. obscurus 는 6월하순에서 10월상순까지로 주산난기는 7월하순에서 9월중순 사이였다. 2. S. ijimai의 1회 산난량은 약 $96,000\~132,000$립이였고 체장이 큰 것의 산난량이 대체로 많았다. 3. 산난직후의 난의 크기는 S. ijimai는 $102\mu$이고 P. obscurus는 $108\mu$이었다. 4. 난이 성숙분열을 시작하여 양배형성기까지의 발생과정은 S. ijimai와 P. obscurus가 유사하였다. 5. S. ijimai나 P. obscurus 두 종류가 모두 다 단일난이고 S. ijimai는 Gotte유생으로 변태발생을 하며 P. obscurus는 직접발생을 한다. 6. 산난후의 발생경과시은 S. ijimai는 48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7일만에 부화하였다. P. obscurus 는 72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14일만에 부화하였다. 7. S. ijimai지 부화유생은 14일 간의 부유기를 가지며 이 기간 중 강한 주광성이 있었으나 P. obscurus는 70의 부유기를 가지면서 전연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8. S. ijimai의 부화직후 유생의 크기는 $138\mu$이고 저서초기에는 $152\mu$이며, P. obscurus는 각각 $170\mu$$185\mu$이었다. 9. 저서생활로 들어갈 때의 현저한 특미으로서 S. ijimai는 돌기가 소실되고 몸이 편평하게 되면서 성체형으로 변태하였고, P. obscurus는 이 시기에 뇌역의 4안점 중에서 양측 바깥쪽의 2안점이 퇴화되었다. 10. 저서초기유생은 S. ijimai가 P. obscurus 두 종류 모두 저질이 이토인 곳에서만 발견되었다.

  • PDF

농촌학동에 감염된 Rhabditis sp.에 대하여 (Rhabditis sp. infected cases in rural school children)

  • 안영겸;정평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85
  • Five cases infected with Rhabditis sp. were detected in a survey to examine the stool specimens from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A large number of the larvae of Rhabditis sp. detected by the direct cellophane thick smear were cultured by the alter paper method. The eBamination was carried out in April through June, 1980 in Tangjeong-Myon, Ahsan.Gun, and in September 1983 in Sandong-Eup, Yeongwol-Gu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evalence: Out of 925 children, 5(0.54%) children were found to be positive. The number of the detected larvae was 110/0.1gm of feces in case 1, 35 in case 2, 130 in case 3, 86 in case 4 and 62 in case 5. 2. Larvae: The larvae were prepared by means of the direct fecal smear and measured by a micrometer equipped in the microscope. Twelve (12) through 15-day old larvae in culture were $197.1{\mu}{\textrm{m}}$ long in average, and the maximum size of the matured stage larvae was $884.0{\times}25.9{\mu}{\textrm{m}}$. However, the length variation was ranged as 173.0 to $884.0{\mu}{\textrm{m}}$. 3. Adults: The size of clubbed adult female was $1, 357{\mu}{\textrm{m}}(1, 176~1, 419)$ in length and $80{\mu}{\textrm{m}}(79~82)$ in width. Length of buccal cavity was $33{\mu}{\textrm{m}}$. A long cylindrical esophagus($273{\mu}{\textrm{m}}$) of the worms with a valved posterior cardiac bulb and with median bulbar swelling was morphologically indicated. Ditance from mouth to vulva was occupied 58% of body length. Male worm was $1, 006{\mu}{\textrm{m}}(890~1, 148)$ in length and $49{\mu}{\textrm{m}}(48~49)$ wide. Caudal alee of bursa and spicules ($75{\mu}{\textrm{m}}$ in length) were well developed. 4. Eggs: The oval shaped eggs in the female uterus, when cultured, were $66{\times}56{\mu}{\textrm{m}}$ in sixte, and the eggs laid by the adult could not be detected. So, reproduction might be thought to be ovoviviparity. 5. The five cases were re-examin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the 3rd week after stool examinations, but Rhabditis sp. were detected again in 4 cases in 1st week. When they were examined in 3rd week, larvae could not be detected. So, it was thought that the infection of Rhabditis sp. to humans was facultative.

  • PDF

한국산 민물도요(Calidris alpina sakhalina)의 장에서 발견된 흡층류 1미기록종(Himasthla kusasigi) (Himasthla kusasigi(Tremtoda, Echinostomatidae) recovered from the Intestine of the Dunlin, Calidris alpina sakhalina, in Korea)

  • 주종필;조유정;유정칠;박성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25-131
    • /
    • 2000
  • 민물도요(Calidris alpina sakhalina)의 장에서 echinostome에 속하는 Himasthla(Dietz,1909) 속의 국내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 및 분류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새들은 경기도 강화군 여차리 일대에서 새 그물을 사용하여 포획하였다. 잡은 새들의 장에서 기생충을 분리하여 생리 식염수로 씻고 고정한 후, acetocarmine으로 연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발견된 Himasthla kusasigi(Yamaguti, 1939)는 작고, 길쭉한 형태로 전장 5.27mm 정도 였으며 31개의 가시가 달린 두관(0.27 mm) 을 갖고 있었다. 구홉반($0.057{\times}0.0684mm$)은 복홉반 보다 작았다. 복홉반($0.35{\times}0.29mm$)은 몸쪽 앞부분에 가깝게 위치하였다. 충체는 타원형의 전고환($0.47{\times}0.30mm$), 후고환($0.59{\times}0.27mm$) 두개의 고환을 갖고 있었다. 고환들은 충체 뒤쪽에 가깝게 위치하였다. 자궁은 길고 구불구불하였으며 충체 길이의 2/3 정도를 차지하였다. 난소($0.13{\times}0.14mm$)는 작고 둥글었다. 난소 아래에는 작고 둥근 수정낭이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