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music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9초

패션에 표현된 뉴트로(New-tro)현상에 대한 연구 - 뮤직비디오 의상스타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new-tro expressed in fashion - Focus on music video costume style -)

  • 박송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7-14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new trend, 'new-tro', through the music video costumes of young generations, and analyz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new-tro'. The research method is, select 30 music video with new-tro fashion style on the music sites, and the fashion styles were analyzed in 11 music videos checked and selected by 100 students. As a definition of the term, 'retro'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past reappears in modern time, and 'new-tro' is a new retro trend, a social phenomenon that enjoys the old with a modern sense, and is a compound word of 'new' and 'retro'. 'new-tro' is a modern reinterpretation and rebirth of the past style, and 'fu-tro' is a style of coexistence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In the music video, fashion is a media language and cultural code, and it creates trend or new fash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stimulating emo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mmon trend phenomenon expressed in the music video costume of 'new-tro' trend which appeared in 2000s is as follows. 1. New-tro style starts with items that were famous in the past. 2. It is one of postmodern marketing using color, print and logo. 3. It spreads quickly by the influence of culture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and SNS world. 4. It is bottom up propagation phenomenon of street fashion. 5. It is a time game where modern people connect the past with the present. 6. "new-tro" continues to evolve for that time, based on 'retro'. New-tro, an evolutionary version of the 21st century retro wave. and it is a key to marketing effectiveness as a sympathetic elements of 1020 generations with the reproduction of memories.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2000년부터 2002년 현재까지- (A Study on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Costumes -Focused on the Music Videos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 도희;양숙희
    • 복식
    • /
    • 제54권3호
    • /
    • pp.27-42
    • /
    • 2004
  • Music videos provide for many others images, alluring the audience to fall in another emotional world, while the sexual images shown in them suggest new images of man and woman. Today, men's images are being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interests in men's fashion are visualized through music video clothing, not only juveniles who want to be identified with the music video images but also adults try to imitate them, and proceed to wear the clothing, obliterat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creating new images of men.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particular their clothing,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Sinc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men's image has been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system, capitalism, bourgeois class which emerged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other man-dominant socio-cultural phenomena, such male image are shown in the music video as conservative and dominant image. 2. However, due to the post-modern culture, the power began to be decentralized. while feminism and men's liberation movement gain strength. As a result, women or heterosexuals began to regard men as sexual objects, and such a phenomenon is featured as sexual, bisexual or decadent images in the music videos. 3.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music videos have begun to creatively describe men's life, their social conflicts, dreams and hopes and death and thereby. feature men's such images as being destroyed in view of existentialism. The numerous creative men's images interpreted in this way are featured in many music video works only to create playful, cyborg or demonic images using the senses. After all, men's images are featured in the music video costumes in diverse ways ranging from the conventional images to acquiescent images. In addition, various male images a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s to be re-created anew. The young men in the our modern age tend to imitate or apply such images to create their own images or individualistic styles. All in all, men's image can be fixed no longer but diversified and fragmented in the new age.

이승환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dividuality of Seung_Hwan Lee's Music Represents)

  • 임해권;조태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09-415
    • /
    • 2015
  • 인터넷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아티스트는 자신의 개성을 확립하기 위해 예전보다 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의 아티스트가 가창력이나 무대 매너 등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요소만으로도 충분했다면, 최근에는 음악성, 삶의 철학, 사회 참여 등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된 많은 분야에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1990년대 발라드를 대표하는 아티스트중 하나인 이승환을 주목하고자 한다. 그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록 사운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악기를 활용, 월드뮤직 사운드, 대규모 합창,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도전, 삶이 담겨있는 가사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승환은 싱어 송 라이터로서 수많은 앨범을 자신만의 색으로 채우며 한 시대를 풍미했으며,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현재 진행형 아티스트이다.

The therapeutic effect of relative satisfaction on pain treatment: focus on gobchuchum (a hunchback dance) of Ok-jin Gong

  • Ko, Kyung-Ja;Hwang, Sun Yeoun
    • 셀메드
    • /
    • 제7권2호
    • /
    • pp.7.1-7.3
    • /
    • 2017
  • Ok-jin Gong's hunchback dance is considered to be a strange dance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the effects of music and dance therapy as a pain treatmen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watching and listening to the hunchback dance of Ok-jin Gong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as a form of pain treatment. The creator of this style of dance suspected that dance in general can be an outlet for our inner emotions. Her dance in this case has received critical and complimentary reviews as well. However she has been cited as the main culprit behind the destruction of traditional dance forms in the Korean dance world. Nonetheless, her bewitching stage presence attracted much attention. She satirized the feelings of the under privileged' through music and dance. We tend to feel somehow relative poverty and small in the presence of a rich and successful man. On the other hand, the artist felt that it is the public who would be relatively comforted and satisfied in the presence of the weak and handicapped. A free spirit that makes us forget pain is the very essence of her dancing. Her dance and music sound as if she sublimated her sadness and ugliness, changing it to happiness and beauty. She puts herself in a low position and spreads a sense of freedom and relief to the world. Hence, the author felt that innumerable people have been comforted in these ways by her dance.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 music and fashion style exposed in Subculture)

  • 김신우;전종찬;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3-244
    • /
    • 2005
  •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패션이다. 이는 패션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순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코드이며 그 자체로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항상 패션에 자신의 힘을 과시해 왔고 패션 역시 음악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패션은 시각을 음악은 소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패션과 음악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패션과 음악은 모두 사회상을 투영하는 동시에 사회군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있는데 음악이 새로이 변화할 때마다 항상 새로운 청년문화가 창출되어 왔으며 이 문화들은 뚜렷한 패션 경향을 이루며 확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문화 집단에서 그들만의 정체성과 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션 스타일과 음악 유형들 간의 관련성을 기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청년문화 저변에 자리잡고 있는 대중 음악과 패션 스타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는 자신의 삶의 조건이 강제하는 모순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이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제로써 표상행위가 되고 그들 스스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이나 의복 스타일을 개발하여 상징적 저항의 기의를 표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위문화에 있어서 대중음악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는 내면의 가치를 기호화한 상동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시간 가중치와 가변형 K-means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된 음악 추천 시스템 (A Personaliz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with a Time-weighted Clustering)

  • 김재광;윤태복;김동문;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04-510
    • /
    • 2009
  • 근래 들어 개인 적응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음악에 관련된 서비스는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음악의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텍스트 기반의 자료에 비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자가 선택했던 음악을 분석해서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그와 유사한 음악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악의 속성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음파 분석 기법을 사용한다. 음파에서 세 가지의 수치화된 속성을 추출하여 이를 특성 공간에 나타낸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이 많이 모여 있는 군집을 분석한다면,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몇 개의 군집이 형성될 것인지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군집의 수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K-means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군집의 직경 크기를 제한하여, 일정치 이상일 때 군집의 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범위를 알고 있을 때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군집의 중심을 찾고 이와 가까운 음악을 추천한다. 또한 사용자의 성향은 꾸준하게 변화하므로 본 논문은 사용자가 근래에 선택한 음악의 반영 비율을 높이고자 무게의 개념을 이용한 시간 가중치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음악의 발매 시기도 고려하여 음악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100개의 음악 조각을 통한 실험적 검증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방법이 효과적인 것을 보인다.

쇼펜하우어의 음악철학 - 감정미학과 절대음악 사이 - (Between Aesthetics of Feeling and Absolute Music - Schopenhauer's Philosophy of Music -)

  • 홍사현
    • 철학연구
    • /
    • 제139권
    • /
    • pp.265-313
    • /
    • 2016
  • 본 논문은 쇼펜하우어의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중심으로 그의 음악론을 전통적인 음악미학의 논의, 특히 한슬릭의 절대음악적 관점을 통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이때 의지형이상학이라는 전체사유 내에서 다른 내용들과 함께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결코 독립적으로 음악미학적인 맥락 내에서 다루어질 수 없는 쇼펜하우어의 음악형이상학의 독특한 성격과 의미를 부각시킨다. 특히 음악은 '의지의 직접적인 모사'이며, 이때 음악을 통해 표현되는 의지, 즉 충동과 격정, 감정 등은 개체적이고 인격적인 감정이 아니라 '보편적 감정'이며, 따라서 음악은 '보편적 언어'라고 하는 쇼펜하우어 음악 형이상학의 내용으로부터 어떠한 미학적 논점들이 발생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예술모방론의 맥락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음악적 추상 및 형식의 문제에 있어 쇼펜하우어의 입장은 당시 일반적으로 퍼져있던 감정미학의 영역으로도, 또 이와 대립되는 입장인 한슬릭의 절대음악과 연결시키려는 방향으로도 해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관련하여, 쇼펜하우어의 음악론을 둘러싼 미메시스 전반의 문제, 즉 모방과 표현, 언어와 음악, 음악의 추상성에 대해 논의하는 동시에, 이를 감정미학과 절대음악의 논쟁에서 핵심적임 쟁점이 되는 음악의 모사 대상이나 형식, 청각성, 아름다움 등의 문제와 연관하여 그 세부적인 논의를 살펴본다. 이로부터 순수한 음악적 형식을 통한 음악적 아름다움을 말하는 한슬릭과, 두 세계이론에 근거하는 후기낭만주의 철학자로서, 근본적으로는 음악에서도 예술을 통한 형이상학적 구원의 의미와 역할을 강조하게 되는 쇼펜하우어의 차이가 드러날 것이며, 이를 통해 쇼펜하우어 음악형이상학이 지니는 미학사적 위상 및 예술적 자율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팝 음악과 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p Music and Fashion)

  • 김미정;이상례
    • 복식
    • /
    • 제53권2호
    • /
    • pp.101-118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pop stars' fashion style by the changes of pop music from the 1950's of the formative Period of a rock-n-roll to the 1990's. The author could examine the features of pop music as follows : the 1950's rock-n-roll, the 1960's rock and Psychedelic rock. the 1970's punk rock, the 1980's new wave and the 1990's reggae·hip-hop. Based on the examination, the author could do sampling of the fashion style, on which current pop music had influence, by rock style, new wave style, and reggae hip-hop style. The rock style makes appearance again as a new style when it is recently accepted to be a fashion. The 1960's hippie, which contains long-cherished desire of antiwar and peace after September 11, 2001 Attack on America and the Afghan War. reappeared as luxurious hippie, and the hybrid punk has been made because barriers between cultures have been collapsed to mix items and combine contradicting components at fashion field. The new wave style destroys sex difference of clothes. and men's clothes style has introduced women's dress style, so that androgynous style, which has handsome boy image with womanlike hair style and makeup, and the lingerie style without distinction of underwear and outer garment has made appearance through new cloth wearing ways and overexposure. The reggae and hip-hop style makes appearance to overcome social strata, groups, ages, regions and gender, etc and become one of the 21s1 century culture codes. In conclusion, pop music have played very important roles until expansion and popularity of new fashion style, and has been quickly expanded by mass media development. When the pop music fashion styles are introduced to high fashion, fashion styles have become more polished and high-qualify to expand them at main fashion world again.

로큰롤 패션 (Rock'n'roll Fash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ck'n'roll Fashion)

  • 장미선;조규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3-335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treatise is to study the effect which rock'n'roll had on fashion through the fashion of rock'n'roll stars and contemporary youngster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1950's when rock'n'roll came into existence was an opulent and luxurious period. People's spare time increased and teenagers who grew up in oppulence after World War II emlerged. It was rock'n'roll that comprised the background of their culture. Rock'n'roll music, which was in the mixed form of Negro's rhythm and blues, and country -and-western of Southern hillbilly Rock'n'roll was expressed as a 'culture', characterized by both the luxurious and oppulent culture and the'anti-establishment' defying it. This cultural characteristic emerged as at once the conservative fashion following the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anti-establishment fashion in the rock'n'roll fashion. Therefore, the rock'n'roll fashion influenced by popular music became one momentum of including popular music among factors affecting the twentieth-century modern fashion.

  • PDF

자살 충동 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 이인용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45-58
    • /
    • 2006
  • 근래 자살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에 대한 실질적인 전략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특히 서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이 특성화되어 운영되는 것은 물론, 대학 및 병원과 연계하여 자살 충동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정신 병리적 혹은 사회 심리적인 원인들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가 자살의 중요한 요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인 접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접근방법으로는 노래심리치료(Song Psychotherapy), MI(Music Imagery), 역할악기즉흥연주(Role Play Instrumental Improvisation)심리치료를 주요방법으로 구성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연구대상은 우울을 동반한 정신적 외상상태로 자살을 시도했던 30대 여성이었으며 치료기간은 주 1회 90~120분의 7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음악치료 전개에 따라 우울척도와 자살생각척도를 통해 변화를 양적 질적으로 연구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는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고 방어나 저항 없이 자신의 감정의 생각, 그리고 내면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었다. 이 경험들을 통하여 내담자는 자아개념과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부정적인 정서가 긍정적인 정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우울감이 감소되었다. 또한 자살에 대한 생각보다는 현재 삶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행동으로 옮기게 되었다. 특히 역할악기 즉흥연주 과정의 음악은 기분의 변화, 타인과의 관계변화, 태도의 변화 등 다양한 영역변화를 가져오는 주체로서 '치료' 그 자체로 사용되어졌다. 그리고 음악은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외상상태에 있었던 내담자의 심리적 위축과 긴장감, 무기력한 에너지 등을 표출시키고 본능과 감정을 그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거짓자아'와 분리되어 '참 자아'와의 통합을 이루어가도록 도움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음악심리치료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충동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