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Wide View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Model of Simultaneous Travel time and Activity Duration for worker with Transportation Panel Data

  • Kim Soon-Gwan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The 4th International Transport Symposium
    • /
    • pp.160-167
    • /
    • 1998
  • Recent world-wide interest in activity-based travel behavior modeling has generated an entirely new perspective on how the profession views the travel demand process. This paper seeks to further promote the case of activity-based travel behavior models by providing some empirical evidence of relationship between travel time and activity duration decision for worker with transportation panel data. The travel time from home to work and from work to home, without activity involvement, is estimated by the Ordinary Least Squares (OLS) method. And, the travel time to and from the selected activity and the activity duration are modeled simultaneously by the Three Stage Least Squares (3SLS) method due to the endogenous relationship between travel time and activity duration. Two kinds of models, OLS and 3SLS, include selectivity bias corrections in a discrete/continuous framework, becaus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of activity type/travel mode (discrete) and the travel time/activity duration (continuous). Estimation is undertaken using a sample of over 1300 household two-day trip diaries collected from the same travelers in the Seattle area in 1989.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these models provide interesting and provocative findings that should be of value to transportation policy formulation and analysis.

  • PDF

대순진리회 목적(目的)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Object of Daesoonjinrihoe)

  • 유병무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183-2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rough 'examining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was set when Kang Jeungsan Sangje descended to human world, upon the plea of divine sages,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determined to save the world and relieve people far and wide. For building an Earthly Paradise with Daesoon thought, Sangje carried out the great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 for nine years and passed into heaven. Cho Jeongsan Doju, who received the heavenly religious orthodox through divine revelation from Sangje, served the late will of Sangje and established Main Tenets, Creeds, and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e objective set by Doju was continued to Park Wudang Dojeon and formed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onsist of three sets of objectives in sequential order, which are related in organic, mutual beneficient, and integrative with one another. The Objectives starts from individual cultivation and expand into worldly reformation: 1)one's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Renewal of human beings through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3)Opening of new world through Building of Earthly Paradise. Also, in thes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keep close relations to enter into new world. These Objectives are based on the 'thought of mutual beneficence' and are realized with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Dao of 'Crowned King' that goes beyond the previous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have following details in each objective as following; (1)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Spiritual Transformation' is for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uman has the potential to restore conscience, which is true nature, and return to undefiled essence by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other words, it views that one can reach into the stage of spiritual alignment with the Dao once he recovers conscience through cultivation of Daesoonjinrihoe based on the idea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Renewal of human beings' is for ideal human character.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in Daesoon Thought indicates the advent of ideal human beings called 'Dotong gunja'(virtuous beings who are aligned with the Dao). They are leaders who integrate politics and religion in helping people to renew themselves and make the world into Earthly Paradise. (3) 'Building an Earthly Paradise-Opening of new world' is for ideal society. Daesoon thought aims to making a peaceful world by creating an ideal society of heaven on this earth. Park Wudang Dojeon, who led Daesoonjinriho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ree Basic Activities: Spreading of Sangje's virtue, Edification, and Cultivation: and Three Major Activities: Aid and charity,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ojeon said "One should make effort to reach the utmost goodness through enlightening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ing their talent virtue." In this words, he made clear that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an be realized when people enlighten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e themselves with their talent virtue. In conclusion, the Objectives of Daesoon thought were clarified of their meanings by Sangje, established into laws by Doju, and actualized by Dojoen in various activities of Daesoonjinrihoe.

WebPR :빈발 순회패턴 탐사에 기반한 동적 웹페이지 추천 알고리즘 (WebPR : A Dynamic Web P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Mining Frequent Traversal Patterns)

  • 윤선희;김삼근;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2호
    • /
    • pp.187-198
    • /
    • 2004
  •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 Web)은 가장 커다란 분산된 정보저장소로서 계속하여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비록 웹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할지라도, 웹의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웹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웹의 정보 폭발, 꾸준하게 변화하는 환경, 사용자 요구에 대한 이해 부족 둥으로 오히려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웹의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순회패턴(traversal patterns)을 탐사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나 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순회패턴 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세션(sessions)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션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여 빈발 k-페이지집합을 탐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 페이지집합을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웹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eb Page Recommend(WebPR)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WebPR 알고리즘은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추천 페이지집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뷰(pageview)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찾고자하는 목표 페이지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존 연구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들을 일관성 있게 고려하고 있다는 점과 가장 효율적인 트리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두개의 실제 웹로그(Weblog) 데이터에 대한 실험은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수 연산에서의 언덕도 도입의 실제 (Introducing the Mrs. Weill's Hill Diagram to Learning Algorithm)

  • 이의원;김진상;이명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40
    • /
    • 2002
  • 수학은 계통성이 강하기 때문에 고학년의 수학 학습 부진은 저학년에서의 수 계산 학습 부진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가감승제의 기본적인 계산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은 아무리 반복해서 알고리즘 연습을 하더라도 수학 불안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고 따라서 실제 문제 상황에서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적(iconic) 표상 활동을 강화차기 위하여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웨일의 언덕도를 도입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반과 비교반을 선정하고 실험 가설을 적용한 후, 수학에 대한 지필 평가지와 수학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문장제 해결 능력에서 두 집단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암산 능력과 추론 능력 면에서는 유의 수준 5%에서 연구반이 비교반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언덕도 학습을 통해서 연구반 학생들은 수 계산의 중요성을 의식하고, 계산의 즐거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

  • PDF

CURRENT STATUS OF NUCLEAR FUSION ENERGY RESEARCH IN KOREA

  • Kwon, My-Eun;Bae, Young-Soon;Cho, Seung-Yon;Choe, Won-Ho;Hong, Bong-Geun;Hwang, Yong-Seok;Kim, Jin-Yong;Kim, Kee-Man;Kim, Yaung-Soo;Kwak, Jong-Gu;Lee, Hyeon-Gon;Lee, San-Gil;Na, Yong-Su;Oh, Byung-Hoon;Oh, Yeong-Kook;Park, Ji-Yeon;Yang, Hyung-Lyeol;Yu, In-Ke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455-476
    • /
    • 2009
  • The history of nuclear fusion research in Korea is rather short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However, since the mid-1990s, at which time the construction of KSTAR was about to commence, fus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basic plasma physics to fusion reactor design. The flourishing of fusion research partly owes to the fact that industrial technologies in Korea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nuclear field have been fully matured, with their quality being highly ranked in the world. Successive pivotal programs such as KSTAR and ITER have provided diverse opportunities to address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blems in fusion as well as to draw young researchers into related fields. The frame of the Korean nuclear fusion program is now changing from a small laboratory scale to a large national agenda. Coordinated strategies from different views and a holistic approach are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optim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Upon this background, the present paper reflects upon the road taken to arrive at this point and looks ahead at the coming future in nuclear fusion research activities in Korea.

다중 정규 경로 질의 처리를 위한 효율적 기법 (An Efficient Technique for Evaluating Queries with Multiple Regular Path Expressions)

  • 정태선;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3호
    • /
    • pp.449-457
    • /
    • 2001
  • 최근에 XML이 웹 상에서 문서 교환의 표준으로 등장하면서 XML로 표현된 데이터에 대한 질의 처리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이때 XML 질의는 그래프로 표현된 데이터 그래프에서 특정 정규식으로 도달되는 객체를 찾는 정규 경로 질의 (regular path query)를 기반으로 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질의에 하나 이상의 정규 식을 가지는 질의의 처리가 필요함에도 기존의 연구 즉, 비정형 데이터 모델 하에서의 부를 이용한 질의 변환(query rewriting)이나, 질의 최적화 기법에서는 주로 단일 정규식으로 이 루어진 질의를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중 정규식을 가지는 질의의 처리에서 1. 뷰의 몸체에서 질의 몸체로의 변수 매핑을 통한 질의 변환과정과 2. 변환된 질의의 각 조각 (conjunct)의 질의 결과를 효율적으로 구하고 결과를 조합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 효율적 인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질의 변환 알고리즘이 안전성(soundness)을 가짐 을 보이고, 질의 처리 기법이 기존 질의 처리 방식에 비하여 효율적임을 보인다.

  • PDF

A Review on Floating Photovoltaic Technology (FPVT)

  • Yousuf, Hasnain;Khokhar, Muhammad Quddamah;Zahid, Muhammad Aleem;Kim, Jaeun;Kim, Youngkuk;Cho, Eun-Chel;Cho, Young Hyun;Yi, Junsi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67-78
    • /
    • 2020
  • A novel energy production system which has fascinated a wide consideration because of its several benefits that are called floating photovoltaic technology (FPVT). The FPVT system that helps to minimize the evaporation of water as well as an increase in energy production. For the research purposes, both electrical and mechanical structure requires studying of these systems for the development of FPVT power plant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s,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directed on FPVT systems that have evaluated these systems. The present research article give a logical investigation and up to date review that shows the different features and components of FPVT systems as an energy production system is offered. This articles reviewing the FPVT that gets the attention of the scientists who have the investigational stage and involuntary inspection of FPVT systems in addition to influence of implementing these systems on the water surface. Also, a comprehensive comparison has been constructed that shows the cons and pros of various types of solar systems that could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In this review, it has been found that solar energy on the roof of a dwelling house generally has a power of 5 to 20 kW, while the inhabitants of commercial buildings generally have a power of 100 kW or more. The average power capacity of a floating solar panel is 11% more of the average capacity of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ground. Studies show that 40% of the water in open reservoirs is lost through evaporation. By covering only 30% of the water surface, evaporation can be reduced by 49%. The global solar panel market exceeds 100 GW and the capacity of 104 GW will bring the annual growth rate to 6%. In 2018, the world's total photovoltaic capacity reached 512 GW, an increase of 27% compared to the total capacity and about 55% of the renewable resources newly created that come from photovoltaic systems. It has been also predicted by this review that in 2025 the Solar technology including the FPVT system will increase by 7.38% that is 485.4 GW more of today installed power worldwide.

이질성 학습을 통한 문서 분류의 정확성 향상 기법 (Improving the Accuracy of Document Classification by Learning Heterogeneity)

  • 윌리엄;현윤진;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21-44
    • /
    • 2018
  •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는 뉴스, 블로그,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손쉽게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문서를 관리하기 위한 문서 분류의 필요성이 급증하였다. 문서 분류는 텍스트 문서를 둘 이상의 카테고리 혹은 클래스로 정의하여 분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K-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 나이브 베이지안 알고리즘(Naïve Bayes Algorithm),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기술들이 문서 분류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문서 분류는 문맥에 사용된 단어 및 문서 분류를 위해 추출된 형질에 따라 분류 모델의 성능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문서 분류기 구축에 사용된 학습데이터의 질에 따라 문서 분류의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하지만 현실세계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많은 노이즈(Noi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생성된 분류 모형은 노이즈의 정도에 따라 정확도 측면의 성능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이즈를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문서 분류기의 견고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분류의 대상이 되는 원 문서와 전혀 다른 특징을 갖는 이질적인 데이터소스로부터 추출한 형질을 원 문서에 일종의 노이즈의 형태로 삽입하여 이질성 학습을 수행하고, 도출된 분류 규칙 중 문서 분류기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는 분류 규칙만을 추출하여 적용하는 방식의 규칙 선별 기반의 앙상블 준지도학습을 제안함으로써 문서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비주얼 컬처로서 만화영상의 확장된 장(場, fest)에 대한 논의: 뉴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Discussions about Expanded Fests of Cartoons and Multimedia Comics as Visual Culture: With a Focus on New Technologies)

  • 이화자;김세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8호
    • /
    • pp.1-25
    • /
    • 2012
  • 만화는 1990년 이후 사회 문화 전반에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만화의 디지털화를 이끌었고 지면에서 웹으로의 매체변화가 이동하면서 강력한 시각문화 발전하였으며 멀티미디어 기술과의 만남으로 영상문화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만화는 이제 문자문화로 보기 보다는 '확장된 장(마당, 場, fest)'으로 시각문화와 영상문화로서 다루고 더욱 넓은 의미의 만화영상으로 주목해야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변화되는 만화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이에 따르는 앞으로 만화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만화의 디지털화와 대학에서 만화영상 전문교육을 시작했던 시점인 1990년대부터 현재의 만화영상의 장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들을 사례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뉴 테크놀로지와 만화의 만남에 따라 기존의 만화의 형태는 깨지고 있다. 특히 뉴 테크놀로지 기술을 작품에 적극 활용하는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만화의 내용적, 형식적 변화와 캐릭터 활용의 확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발달은 작품에만 영향을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감상자의 역할까지 변화 시키고 있다. 이제 독자는 적극적으로 작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팬덤을 형성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과 작가를 홍보하고 스타의 자리로 올려놓기도 한다. 더 나아가 스스로 창작물을 만들고 스스로 작가가 되는 새로운 형식의 등용시스템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장르의 작가군의 형성으로 인해 새로운 이야기 텍스트 개발의 가능성과 다양한 스타일, 세계관이 등장 되면서 만화텍스트의 본질이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만화문화, 산업, 교육, 기관, 기술 등 전반적인 만화시스템 역시 확장되고 있다. 앞으로도 만화영상은 차세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매개하고 소통하는 메신저로도 공헌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오늘날의 만화는 인쇄만화와 영상만화로 구분 지을 수 없겠고, 설치개념의 만화와 더불어 블록버스터 디지털영상, 팬시용품과 서사를 바탕으로 하는 테마파크의 캐릭터 활용을 볼 때 다양한 형태와 양식으로 각 영역을 확장해 갈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보다 만화영상 교육을 다양성 있게 다각화시킬 필요가 있다. 창의적 예술 능력에 인문사회학적 기반과 뉴 테크놀로지 교육이 접목되어 문자문화와 영상문화의 감각종합형 문화 분야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그러한 능력을 가진 미래 세대를 키우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제조업체 Private Labels 도입의 선행요인 : 전략적 시장관리 관점을 중심으로 (Antecedents of Manufacturer's Private Label Program Engagement : A Focus on Strategic Market Management Perspective)

  • 임채운;이호택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86
    • /
    • 2012
  • 우리나라에 유통업체상표(Private Label)가 도입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통업체 상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진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유통업체상표를 소비자 관점이 아닌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로, 제조업체의 유통업체상표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 요인들에 대해서 자원기반이론과 S-C-P Paradigm의 통합적인 연구모형인 전략적 시장관리 관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제조업체의 마케팅 역량이 높을수록 전체 매출에서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매출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케팅 역량에는 제조업체 브랜드명성, 마케팅 투자, 제품포트폴리오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체의 마케팅 역량과 유통업체 상표 생산 간의 관계에는 제조업체의 경쟁강도가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마케팅 역량이 높은(낮은) 기업일수록 전체 매출에서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만(높지만), 이러한 기업들 중 경쟁강도를 낮게 지각하는 제조업체의 전체매출 중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매출은 경쟁강도를 높게 지각하는 제조업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통업체상표 생산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