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ers in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1-78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중소기관)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 (The Cognition of Job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Small and Medium-sized Organization Organization) in Gyeonggi)

  • 신재은;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1-157
    • /
    • 2017
  • 최근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파악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을 분석함으로 교육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16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과 IPA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사례관리 실무기본, 사례관리 실무심화, 장애인생활지원 기본, 프로그램개발 기본, 기관홍보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심화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교육체계의 방향성을 잡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ency of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a Disabled)

  • 김연옥;윤덕찬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285-312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에게 있어 동일한 조건 속에서도 시설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시설운영방식의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자질과 능력이 다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장애인생활시설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13개소의 2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공통역량으로 갈등 및 문제해결력, 개선 의지, 대내외 관계 구축 등의 항목들이 도출되었으며, 시설종사자의 직위별·직종별로 요구되는 역량도 각각의 직위와 직종에 따라 모두 상이한 항목이 도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각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현황 및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ir behavioral behavior and perceptions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 신준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05-511
    • /
    • 2021
  • 본 연구는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현황 파악과 거주시설 사회복지사가 도전적 행동에 대해서 얼마나 인식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복지사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으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과 관련된 현황은 신체적 상해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으로는 심리적 트라우마로 인하여 업무에 지장을 받고,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정보공유, 교육, 대처능력, 상해를 예방하며 발달장애인과 사회복지사가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공간 마련을 위한 실천적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호자가 인식하는 도전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PA를 적용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Human Right of Social Workers Who Works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Focused on Busan Area -)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61-469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시설에서 해결되어 할 인권문제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53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 실천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기술통계 결과, 중요도(전체 평균 6.27)에 비해 실행도(전체 평균 6.07)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인권 실천 항목들에 대해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제 실천 정도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권 실천 하위영역별로 보았을 때 정치권/법 절차적 권리를 제외하고 자유권, 생존권, 사회권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장애인 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급식관리 실태 조사 (Survey of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according to Welfare Facility Type for Disabled Persons)

  • 오다영;나우리;황서현;이정주;양유진;이혜옥;방지현;이해영;손정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3호
    • /
    • pp.173-189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foodservice and hygiene management statuses at welfare facilities catering to disabled persons by facility type to provide basic data for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An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o workers at 1,984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531 facilities responded, which represented a response rate of 26.8%. The survey requeste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facility users, meals, hygiene, and management.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to investigate responses by facility type.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daycare centers were most common and accounted for 27.4% of responses.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sheltered workshops accounted for 16.9% and 16.4%, respectively, and residential facilities by disability type accounted for 13.0%. The presence of dietitians at welfare facilities varied by facility typ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94.7%)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ietitians, followed b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87.8%). On the other hand, sheltered workshops and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had the lowest percentages of dietitians (10.3% and 4.1%, respectively). This study highlights the variations that exist in foodservice management across different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and emphasizes the challenges faced by those responsible for managing foodservices and maintaining hygiene, particularly in large facilities with no dietitians. Therefore, we recommend tailored meal management guidelines be developed for each type of welfare facility for disabled persons.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인식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Identification of Latent Profiles in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37-243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국가인권위원회 2014년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9개의 지표로 구성된 직무환경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업무시간 압박도와 업무책임감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낮은 업무부담 집단(24.5%)',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성차별과 학연/지연 차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차별 인식 집단(14.7%)', 업무자율성, 직장동료 지지도,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긍정적 인식 집단(26.8%)', 업무량, 업무시간 압박도, 업무책임감에서 높은 인식을 보인 '높은 업무부담 집단(8.5%)',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간 정도의 인식을 보인 '중간 집단(25.5%)'이 그것이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인식 집단이 가장 높고, 중간 집단, 낮은 업무부담 집단과 높은 업무부담 집단, 차별 인식 집단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Hepatitis A Outbreak in a Facility for the Disabled, Gyeonggi Province, Korea: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 Chang, Yeonhwa;Kim, Chanhee;Kim, Nayoung;Kim, Joon Jai;Lee, Hee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5호
    • /
    • pp.370-375
    • /
    • 2021
  • Objectives: The number of cases of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s has sharply increased in Korea, especially among young adults. In this study, an HAV outbreak in a facility for disabled people was investigated, and we found epidemiological differences both between 2 different generations and between generally abled and disabled groups. Methods: We analyzed the incubation period and attack rate of an HAV outbreak and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HAV antibodies among the staff and residents of a facility for the disable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during the HAV outbreak, which lasted from February 8 to 25, 2019, including examinations of HAV antibody tests and post-exposure HAV vaccination for the staff or residents of the facility. Results: There were 9 confirmed cases in 2 staff members and 7 residents. Among 53 people (30 staff and 23 residents), except for the 9 confirmed cases and 1 staff member with a known history of HAV infection, HAV seroprevalence was seen in 16.7% of the staff under 40 years of age and 95.2% of those over 40 years of age, while the corresponding rates in the residents were 0.0% and 58.8%,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HAV vaccination for vulnerable groups and worker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of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 in Housing Facilities of the Disabled)

  • 김선주;권순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56-563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최일선에서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인권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행도,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장애인거주시설의 생활재활교사들의 인권실천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장애인 인권의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세부영역별로 거주공간 공개시 동의, 선거권 보장은 실행도가 중요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 활동 보장, 체벌금지, 시설 감시체계 강화, 환경개선 및 프로그램 강화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항목은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에 따라 분석 매트릭스별로 실천전략을 도출하였다. 특히, 실천전략과 관련하여 중요도는 높고 실행도도 높은 1사분면의 '지속유지영역'에 도출된 자유로운 연락을 포함한 10가지 항목과 중요도는 높고 실행도는 낮은 2사분면의 '집중노력영역'에 도출된 시설경영방침 개선과 중요도는 낮은데 실행도는 높은 4사분면의 '과잉투자영역'에 도출된 체벌 금지와 시설감시체계 강화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다.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Hepatitis A at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2011

  • Lim, Hyun-Sul;Choi, Kumbal;Lee, Saero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2호
    • /
    • pp.62-73
    • /
    • 2013
  • Objectives: An outbreak of hepatitis A occurred at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July 10, 2011.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response plan, and to find the infection source of the disease. Methods: A field epidemiologist investigated the symptoms, vaccination histories, living environments, and probable infection sources with 51 residents and 31 teachers and staff members. In July 25, 81 subjects were tested for the hepatitis A virus antibody, and specimens of the initial 3 cases and the last case were genetically tested. Results: Three cases occurred July 10 to 14, twelve cases August 3 to 9, and the last case on August 29. Among the teachers and staff, no one was IgM positive (on July 25). The base sequences of the initial 3 and of the last case were identical. The vehicle of the outbreak was believed to be a single person. The initial 3 patients were exposed at the same time and they might have disseminated the infection among the patients who developed symptoms in early August, and the last patient might have, in turn, been infected by the early August cases. Conclusions: The initial source of infection is not clear, but volunteers could freely come into contact with residents, and an infected volunteer might have been the common infection source of the initial patients. Volunteers' washing their hands only after their activity might be the cause of this outbreak. Although there may be other possible causes, it would be reasonable to ask volunteers to wash their hands both before and after their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