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7초

농산물도매시장 하역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 : 가락시장을 중심으로 (Policy Proposal to Improve the Unloading System of the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Focusing on the Garak Market)

  • 이래협;선일석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0호
    • /
    • pp.25-33
    • /
    • 2012
  • Purpose - The Garak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Garak Marke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nd is important in connecting consumers with producers. However, problems regarding inefficiencies and the high-cost structure of the wholesale market's distribution/logistical system are being raised in relation to severe competition among retailers. Furthermore, the service needs of retailers and market users are not being fulfilled due to the inconsistency of the wholesale market's functions and facilities, thus redu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rket. In this regard, innovative changes are being requested of the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lack of unloading facilities and the outdated unloading system of the wholesale market must be improved to enhance system efficien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observed the problems of the unloading system of the agricultural wholesale market in order to present relevant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need for unloading auctions was also researched in this study. The survey of 70 forwarders belonging to the producing district distributor association of the Garak market was conducted by post. Additionally, 20 auction dealers and 59 shippers and transporte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survey on the need for unloading auctions used five-point Likert Scal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WIN 12.0 software. Results - First, the wholesale market must employ members of the unloading labor union to allow these employees to directly manage the unloading process. Second, it is crucial to revise regulations to ensure that the principal agent pays the unloading cost according to the standard unloading cost system. Third, the vehicle auction carried out for certain vegetable products must be converted to the unloaded a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interviews with the wholesale market's distribution agents, whereas shippers and transporters recognized the need for unloaded auctions, auction dealers tend to have a negative view of this system. Furthermore, the stated reasons in favor of unloaded cabbage, radish, and other vegetable auctions were prevention of constraint, creation of transparent trade conditions, and reduction of corrected seller tickets. Man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transport cost reduction rate in unloaded auctions must be below 20%. Fourth, the unloading system must be mechanized and a detailed, reasonable plan must be provided to settle the existing conflict with the unloading labor union. Conclusions - The proposal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cargo handling system of the wholesale agricultural product market in the future. Improving the system is expected to help shore up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If all the related bodies closely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work harder, taking advantage of the synergies created by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the Garak market will play a pivotal role i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 PDF

VECM을 이용한 한국 외국인직접투자와 인적자본의 경제성장 효과 (An Effect of FDI and Human Capital on Economic Growth Using VECM in Korea)

  • 정영철;김성기;서민교;강한균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1호
    • /
    • pp.87-114
    • /
    • 2012
  • 외국인직접투자가 현지국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논란은 시대적으로 적지 않은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고 VECM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요약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지난 40년 동안 한국의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였는가를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학 취업자의 구성 비율을 곱한 상호작용 효과 변수(EDUF)를 고려한 충격반응함수에서는 2기에서 3기까지의 일시적 감소를 제외하고는 양(+)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였고 FDI만을 고려한 충격반응함수 보다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도 크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그다지 크지는 않았다. 끝으로 시사점으로 한국은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잠재력은 높으면서도 실제 외국인직접투자의 총 유입액이 많지 않아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다.

  • PDF

도시 노숙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Factor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Urban Homeless)

  • 윤경아;노병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219-2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우리 사회의 대표적 빈곤층인 노숙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며, 또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20세 이상 된 185명의 노숙자이며, 조사기간은 2003년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이었다. 연구결과, 노숙자의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예측요인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공공부조 수급, 인지된 건강상태, 음주, 알코올중독, 거주형태, 타인의 인정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숙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주거최우선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알코올중독 문제와 노숙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한 대책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준공연수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에 대한 주민인식 비교분석 (The Study on the dweller's Expressions of Apartment Facili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Built Year)

  • 최열;하규양;김종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49-155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동주택 관리에 관한 주민인식을 조사하고자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사항, 그리고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 정도를 아파트 준공연수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에서는 보수 보강에 관한 계획성이 미흡하며, 아파트 회계관리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하며, 관리비가 과다하게 부과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개선사항으로는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관리비 집행에 관한 부정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주민들의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입주자대표회의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의 비교분석에서는 첫째, 일반적 관리에서는 세대간 분쟁조정 능력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주민의 안전성에 관한 관리의 측면에서는 방범 예방 활동과 화재대비 관리, 가스시설 관리 등에 대하여는 상당 히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지관리의 측면에 대해선 주민들의 불만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관리사무소의 보수 계획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관리에서는 관리사무소의 청소 수목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휴게시설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nowledge, Barriers and Attitudes Towards Breast Cancer Mammography Screening in Jordan

  • Abu-Helalah, Munir Ahmad;Alshraideh, Hussam Ahmad;Al-Serhan, Ala-Aldeen Ahmad;Kawaleet, Mariana;Nesheiwat, Adel Iss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981-3990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in Jordan. Current efforts are focused on annual campaigns aimed at increasing awareness about breast cancer and encouraging women to conduct mammogram screening. In the absence of regular systematic screening for breast cancer in Jordan, there is a need to evaluate current mammography screening uptake and its predictors, assess women'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breast cancer and screening mammograms and to identify barriers to this preventive servi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six governorates in Jordan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on a random sample of women aged 40 to 69 years. Results: A total of 507 participants with mean age of 46.8±7.8 years were interviewed. There was low participation rate in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practices. Breast self-examination, doctor examination and periodic mammography screening were reported by 34.9%, 16.8% and 8.6% of study participants, respectively. Additionally 3.8% underwent breast cancer screening at least once but not periodically, while 87.6% had never undergone mammography screening. Reported reasons for conducting the screening were: perceived benefit (50%);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23.1%); perceived severity (21.2%); and advice from friend or family member (5.8%). City residents have shown higher probability of undergoing mammogram than those who live in towns or villages. Results revealed negative perceptions and limited knowledge of study participants on breast cancer and breast cancer screening. The most commonly reported barriers for women who never underwent screening were: fear of results (63.8%); no support from surrounding environment (59.7); cost of the test (53.4%); and religious belief, i.e. Qadaa Wa Qadar (51.1%). Conclusions: In the absence of regular systematic screening for breast cancer in Jordan, the uptake of this preventive service is very low. It is essential for the country of Jordan to work on applying regular systematic mammography screening for breast cancer.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programmes targeting breast cancer screening. Other areas that could be targeted in future initiatives in this field include access to screening in rural areas and removal of current barriers.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의미 기반 채널 파워 할당 기법 (Optimal Channel Power Allocation by Exploiting Packet Semantics for Real-time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

  • 홍성우;원유집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71-1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층 통합 최적화 기법을 통한 새로운 파워 할당 기법을 소개한다. 각각의 패킷이 QoS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항상 패킷 손실의 감소가 QoS의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패킷이 QoS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하여 이를 바탕으로 파워를 할당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다이내믹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파워소모를 최소화하면서 QoS를 극대화하는 적절한 파워 값을 발견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널리 공개된 비디오 클립을 사용하였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network simulator version 2)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위해 클라이언트 단에 디코딩엔진을 삽입하여 원본 영상과 전송된 영상을 비교, PSNR을 도출하였다. 패킷 세만틱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파워를 할당한 결과 기존의 기법에 비해 QoS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이 보다 중요한 패킷에 대한 차별적인 보호 기법이 적용된 결과임을 각 프레임 손실에 대한 조사로 알 수 있었다. 해당 기법의 적용을 통해 I 프레임의 경우 손실이 최대 29%에서 2%이내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같은 결과를 나타낼 때, 파워 소모를 최대 약 20%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환경시료은행 시료 채취, 분쇄, 저장과 개선방안 고찰 (Sampling and Cryogenic Pulverization and Storage of Environmental Samples and Improvement of Operating Procedure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 이장호;이종천;김명진;한아름;이유진;바데 라빈드라;김민성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23-839
    • /
    • 2012
  •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SBs) are playing pivotal role in monito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ecosystem based o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collected regularly and stored in cryogenic condition. In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was established in 2009 an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sampling, and cryogenic milling and storage had been prepared during 2007-2010. Since then, the tentative SOPs for the seven kinds of specimens (shoot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leaves of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an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egg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var. domestica), muscles and organ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Freshwater Bivalve (Unio (Nodularia) douglasiae)) have been put to test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s well against the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The SOPs were improved by reflecting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nd the following discussion regarding the selection of specimen (Feral Pigeon suffering from a control management), sample size (a problem of decreasing number of sampling trees related to increasing sampling time) and period (a problem related to a bud growth), and sampling methods etc.. In addition, barcod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men information,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cryogenic storage to regul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he liquid nitrogen level were also developed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control of the samples. Lastly, the safety guide and emergency protocol were augmented to guarantee a safe work environment with the cryogenic facility. These improvements of the SOP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NESB.

경기 북부 지역 학교 급식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Northern Gyeonggi)

  • 민경찬;이명호;박혜원;박영심;신용칠;조규봉;이경익;정광옥;신임숙;윤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ooks employed in school foodservice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school foodservice quali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using a 5-point scale metho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PSS Package Program(Ver 12.0) to determine percentages and frequency. Among the employees, 99.2% were women, and 75.9% were employed by contract. All of the subjects worked in elementary schools with self operated foodservice system and 57.6% of them served food in the classroom. The total number of diners served by these foodservice programs was 1,391.6±307.6 an average of 135.0±18.2 diners per cook. Among the foodservice employees, 82.2% had completed high school academic courses, and 98.4% had never changed jobs. Their overall degree of job satisfaction degree was relatively high at 3.05±0.85, but the wage and welfare system(2.45±0.86), and the merit rating methods(2.25±0.87) ranked among the lowest in the job satisfaction surve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agers and the coworkers marked relatively higher at 3.02±1.03, compared with other aspects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work environment, the scaled score was 2.38±0.85. Finally the ranking of achieving job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3.28±0.93),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3.58±0.78) showed u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간호사의 행복감과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ppiness and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 김선영;권영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2-120
    • /
    • 2020
  • 본 연구는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행복감, 임파워먼트와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인천과 충청도 소재 2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164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빈도와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ne-way ANOVA와 사후분석으로 Scheffé test, 그리고 다중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사의 행복감은 평균 3.07±0.36점, 임파워먼트는 평균 3.37±0.43점, 간호업무성과는 평균 3.40±0.44점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은 임파워먼트(r=.58, p<.01), 간호업무성과(r=.58, p<.01)와 임파워먼트는 간호업무성과(r=.77, p<.01)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파워먼트(β=.65, p<.001), 임상경력(β=.19, p<.001), 교육 수준(β=.12, p<.05), 행복감(β=.12, p=.05)이었으며, 전체 변인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총 설명력은 6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충분한 인적, 물적 자원 제공과 더불어 간호사의 행복감 및 임파워먼트를 향상할 수 있는 조직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임상경력 및 교육 수준에 맞춘 임파워먼트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간호사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업무환경 개선을 제언한다.

미국 국방획득인력의 교육·훈련체계 및 관련동향 (The Study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ersonnel in the Military Acquisition Field in US)

  • 김명현;이영우;김경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23-229
    • /
    • 2020
  • 오늘날 과학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고 있으며, 과거 세계의 전쟁사를 보면, 군사 과학 기술에서 우위를 가진 국가나 민족은 언제나 승자였다.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전쟁 양상을 크게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군의 작전 운용 개념과 조직체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안보환경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선진국은 자국의 안보를 위해 국방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기체계의 탐색개발부터 양산, 배치, 군수지원에 이르는 획득 전순기에 걸쳐 업무를 수행하는 국방획득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것이다. 이 분야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국방획득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에 대한 업무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난 1990년에 국방획득부차관 지시로 획득인력에 대하여 교육과 훈련, 경력개발에 관한 법을 공표하여 시행해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체계 시행이후 획득인력의 업무수준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미획득인력에 대한 주요 교육요구내용에 대하여 Desk Guide와 미의회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최근의 동향에 대해서도 작성하였다., 특히 충격에너지를 약 6.8 kg·m/㎠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관통능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