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class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6초

요류검사 시스템의 구현과 요류파라미터의 유용성 평가 (Implementation on the Uroflowmetry System and Usefulness Estimation of the Uroflow Parameters)

  • 한봉효;정도운;김우열;배진우;손정만;김재현;박준모;정문기;전계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293-296
    • /
    • 2002
  • In this study, the object is a development on uroflowmetry system to detect a voiding symptom conveniently in home or hospital. The hardware was composed of mechanism and system circuit part, the software was divided into firmware and PC program part.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an ability of classification and fitness. First, the following parameters was calculated in each flow curve pattern. The parameters are MFR, AFR, VOL, VT, FT, and TMF.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arameters was examin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for extracted parameters between normal and abnormal group. In the next work, the following experimentation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voiding symptom. Analysis of congregate rate was examined to find out classification possibility about each symptom of BPH, voiding difficulty, detrusor failure and hyperreflexia, unstable bladder. The uroflow data with the above symptom was divided into normal and abnormal group using fuzzy classifier. and that was performed appending the other group again. Fuzzy classification result using MFR and AFR was superior by 89.6 % more than grouping evaluation including VOL.

  • PDF

산업설비 기본설계 단계의 주요업무 분석을 통한 정보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Engineering Basic Design)

  • 이두희;송영우;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43-547
    • /
    • 2006
  • 최근 해외 건설시장에서 플랜트의 발주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기업만의 독자적인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국내 건설기업들은 상세설계 분야에서는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반면에 고부가 가치의 기본설계 분야에서는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기본설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플랜트 산업의 설계단계의 업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관리방안 제시를 위해 기본설계단계의 주요업무를 정의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관리되어야 할 콘텐츠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관련주체를 간의 업무 흐름과 연관성을 반영하여 콘텐츠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분류체계는 문서, 도면, 기술자료, 이미지 등의 형태로 발생하는 정보들을 실무 사용자들이 원하는 시기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관리방안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작업계획달성률 향상을 위한 작업제반요건 분류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traints Analysis Classification for PPC Improvement)

  • 한정훈;김대영;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2-255
    • /
    • 2008
  • 건설공사 관리의 목표는 계획된 품질을 적정 비용과 공기로 완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건설공사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공정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공정관리 방식은 마일스톤에 의한 결과위주의 관리방식으로 작업간의 상호연관성과 변이발생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등 여러 한계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공정관리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재고 최소화, 낭비 최소화, 관리 능률 향상, 변이 관리 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린 건설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린 건설 관리 기법 중 하나인 라스트 플래너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라스트 플래너 시스템에서 핵심 단계인 주단위 예상작업계획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제반요건 분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정 계획 수립 시 사전에 건설공사의 저해요소를 제어하여 작업의 신뢰도 향상 및 작업계획 달성률을 높일 수 있는 작업제반요건을 식별 및 분류하여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자연친화적 하천사업 및 통합적 유역 관리를 위한 새로운 수환경 분류법 및 자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New Classification Criteria and Database Code of Water Environ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Work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shed)

  • Noguchi, Masato;Kang, Sang Hyeok;Kim, Joon Hyun;Nishida, Wataru;Fujisaki, Nobuhito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103-112
    • /
    • 1998
  • 일본에서는 자연친화형 하천사업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바람직한 수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하천내외의 생태계에 대한 수질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지표를 사용한 수질 분류 방법을 개발하여 나가사키현의 혼묘하천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수질 분류를 위하여, 수정된 오염물 지표 분류법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단순한 방법이지만, 가장 많은 종에 대한 3가지 지표만으로 수질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하천유역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생태계 자료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자료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전한 수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각종 생태계 자료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사용하여 수질자료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의식을 고양하며, 하천관리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는, 자연친화적 하천복원사업에 있어서 시민들의 의식 및 행동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PDF

산업안전 분야 NCS기반 자격설계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 산업안전, 산업보건, 비파괴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CS based qualification plan development procedure of industrial safety field - Focused on the industrial safety, industrial health, nondestructive section-)

  • 이신재;양욱;윤영주;최서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14
    • /
    • 2015
  • The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validity of industrial safety field's neo-qualification composition by suggesting reengineering procedure of NCS based industrial safety field's qualifying occupational plan. Industrial safety fields are first classified into great classification which are environment energy safety, and then into sub-classification which ar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industrial health management, and nondestructive test. NCS based neo-qualification plan is deveopled into progress as following steps; First, planning NCS neo-qualification system. Second, presenting work education combined program certification standard. Third, developing NCS based neo-qualification assessment standard. Fourth, developing work education qualification prototype problem. The process of qualification plan was composed with Worksheet 14 and with 4phase being completing summary of each section, cer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 and development of prototype problem. As a result, Industrial safety manager was redesigned into Industrial sfety manager and Construction Safety Manager, and Occupational Health Care Manager was redesigned into Occupational Health Care Manager and Industrial Health Manager. This study, in conclusion, suggests development of qualifying occupation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ment of future industrial safety field's specialized neo-qualifying occupation.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with AI: An Industry and Job Code Study

  • Byung-Il Yun;Dahye Kim;Young-Jin Kim;Medard Edmund Mswahili;Young-Seob J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1-2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인구 조사에서 산업 및 직업 코드를 자동 분류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을 제안한다. 산업 및 직업 코드의 정확한 분류는 정책 결정, 자원 할당 및 연구를 위해 매우 중요하지만, 기존의 방식은 사람이 작성한 사례 사전에 의존하는 규칙 기반 방식으로 규칙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이 많이 소요되며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통계 기관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규칙 기반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모델을 학습하고 평가하여 산업에서 86.76%의 일치율, 직업에서 81.84%의 일치율을 달성한 앙상블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분류 확률 결과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개선 작업도 제안하였다.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전이 학습 기술을 활용하여 사전 학습된 모델과 결합하는 앙상블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개별 모델과 비교하여 앙상블 모델의 성능이 더 높아짐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이 인구 조사 데이터 분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잠재력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으로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달성하며 기관 직원의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환자중심 간호업무 향상을 위한 간호업무 측정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Nursing Activities and Workload Analysis in a New Open Hospital)

  • 이영신;권영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3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activity and to analyze the time of nursing workload in a new open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nurses working in 6 general nursing units by 4 trained observers.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an observation recording sheet and a classification sheet of nursing activity. The classification sheet was constructed to be adaptable to each hospital system based on the instrumen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The direct nursing activities consisted of 6 sections, 33 subsections and the indirect nursing activities consisted of 14 sections, 53 subsections. The direct nursing activities included medication, measuring and observation, care of therapies, care of physical comfort, laboratory and treatment. The indirect nursing activities included preparation of medical utensils,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assessment, recording, phone communication, professional interaction related to patients, personal time, assigning work to staff, patient eaucation and training, interaction with lab, transfer of administration of utensils, checking physician's order, dietary service, management of pollution and contagion, guide direction. Nurses spent 127.6min for direct nursing activity during day duty. It was 24.5% of total nursing activity. Within that activity medication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time(40.09%), followed by communication and education with patient(24.76%), measuring and observation (16.93%), laboratory and treatment (12.85%), care of therapies(3.21%) and care of physical comfort (2.16%). The time breakdown for indirect nursing activities is as follows ; the preparation of medical utensils 22.3%,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assessment 20.29%, recording 20.27%, phone communication 8.14%, professional interaction related to patients 7.33%, personal time 7.24%, with the remaining timeshared by staffing, patient education and training, interaction with lab, transfer of administration of utensils, checking physician's order, dietary service, management of pollution and contagion, guide direc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ing time and the work allocation characters of the nurses(including nurse's experiences. nurse-patients ratio, nurse-rooms ratio, and character of nursing unit)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rect-indirect nursing times between nurse's career yea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rect nursing time between assigned patient numbers. The nurses assigned larger number of patients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in direct nursing care than that of the small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rect nursing workload between the assigned patient numb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rect-indirect nursing time between an allocated patient's room numb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time between working places. The nurse in the medical unit spent more time in direct nursing care than her counterpart in the surgical uni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rect nursing time between two group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spent less time in the direct nursing care than in the previous studies even though the hospital system has been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they spent much more time for the coordinating role within the interdisciplinary team and for the overlapping paperwor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patient oriented job description and more efficient usage of modernized utilities be made.

  • PDF

교육시설 BTL 사업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구축 (A Model of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being applied to Historical Data in BTL Project for Educational Facilities)

  • 김성겸;조창연;손재호;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9-502
    • /
    • 2007
  • 정부는 기존의 품셈에 의한 예정가격 산정 방식을 폐지하고, 실적계약 단가를 근거로 하는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를 도입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BTL 교육시설물 예정가격 산정방법의 경우 표준화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내역서 작성지침의 부족으로 인하여 단가 산정에 정확한 근거 마련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L로 발주된 교육시설물의 내역서를 바탕으로 BTL 교육시설물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일반 시설물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는 교육시설물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공사비 항목 및 유지보수비 항목의 체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Oil Pipeline Weld Defec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Shang, Jiaze;An, Weipeng;Liu, Yu;Han, Bang;Guo, Yaod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3호
    • /
    • pp.1086-1103
    • /
    • 2020
  •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image-based weld defects is a difficult task due to the complex texture of the X-ray images of the weld defect. Several depth learning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welds were proposed and tested. In this work, four different dep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on the 1631 image set. The concavity, undercut, bar defects, circular defects, unfused defects and incomplete penetration in the weld image 6 different types of defects are classified. Another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train a CNN model "RayNet" for the dataset from scratch. In the experiment part, the parameters of convolution oper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which the experimental part performs a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parameters in the convolution operation, compares the size of the input image, gives the classification results for each defect, and finally shows the partial feature map during feature extraction with the classification accuracy reaching 96.5%, which is 6.6% higher tha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other existing fine-tuned models, and even improve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also proves that the model trained from scratch also has a good performance on small-scale data sets. Our proposed method can assist the evaluators in classifying pipeline welding defects.

빅데이터 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공공문서 분류체계의 적용사례 연구 (Case Study on Public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That Utilizes Text-Mining Technique in BigData Environment)

  • 심장섭;이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5-1089
    • /
    • 2015
  • 과거의 텍스트마이닝기법은 텍스트 자체의 복잡성과 텍스트 내에 산재한 변수의 자유도 때문에 분석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의미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어렵게 알고리즘을 구현했다고 하더라도, 기계적으로 텍스트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텍스트를 사람이 직접 읽어 분석 하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요구 되었다. 그러나 최근 하드웨어와 분석 알고리즘의 발전과 함께 빅데이터라는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앞에서 설명한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고,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분석이 현실세계에서 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고 있다. 만약, 텍스트의 탐색 수준에서 벗어나 마이닝을 통하여 분석이 가능하다면 텍스트 분석에 소비되는 인적, 물적 자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분야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창조적인 일에 더 많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적 자원이 수작업으로 하는 공공분야 문서 분류의 결과값과 빅데이터 환경에서 텍스트마이닝기반의 문서내 단어 빈도수(TF-IDF)와 문서간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를 활용한 공공분야 문서분류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