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Context

검색결과 967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xperience of Miners Relocated to Alternative Positions due to Silicosis in the Andean of CODELCO, Chile, 2010

  • Delgado, Diemen;Aguilera, Maria De Los Angeles;Delgado, Fabian;Rug, An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3권2호
    • /
    • pp.140-145
    • /
    • 2012
  • Objectives: To understan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mine workers that have experienced job relocation due to silicosis at the Andina Division of Corporaci$\acute{o}$n Nacional del Cobre (CODELCO), Chil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local, business and public policies for the care of workers with silicosi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a practical case study of 5 workers.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means of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The method of analysis was phenomenology. Results: The corporal axis was the most commented upon. It included awareness of the illness, body pains, fatigue, and antagonistic mood disorders (sadness, or the difficulty in finding meaning in life). As far as 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evidence of strong relationships with family, coworkers and friends, as well as extended family. Over all, the experience of relocation was positive with periods of impatience and uncertainty. The job reassignment provided a new and pleasant context for the relocated workers and in the process improved their perception of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A multidisciplinary team should attend mine workers relocated because of silicosis by addressing the mental and physical aspects of their disease, along with the integral participation of close family members. It is suggested that this investigation be maintain over time to record the personal experiences in the medium-term, adding new cases with the intention of shedding more light on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As a preventive measure, continual workshops are needed on the proper use of respiratory protection in addition, a group of monitors is required.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편(鍼灸篇)의 의사학적고찰(醫史學的考察) - 「내경편(內景篇)」에 나타난 침구법(鍼灸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ongUiBoGam(東醫寶鑑) ChimGu Chapter(鍼灸篇) based on the NaeGyeong Chapter(內景篇))

  • 오준호;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9-141
    • /
    • 2004
  • DongUiBoGam(東醫寶鑑) is Joseon's classic medical text tha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medical history of Korea. However, the context of the treatments of accupuncuret&moxibustion in the book are hardly studied.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treatments of accupuncuret&moxibustion in DongUiBoGam(東醫寶鑑), and it starts with studying the accupuncuret&moxibustion part of DongUiBoGam(東醫寶鑑)'s NaeGyeong Chapter(內景篇) for starter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uld be known. 1. In DongUiBoGam(東醫寶鑑)'s NaeGyeong Chapter(內景篇), it is written that it quoted many various books, but actually, most of the parts are quoted from LouYing(樓英)'s YiXueGangMu (醫學綱目). 2. LouYing(樓英)'s YiXueGangMu(醫學綱目) is a work of the Ming Dynasty, which is when China's study of accupuncure&moxibustion was completed and many books on accupuncure&moxibustion were published. 3. However, in DongUiBoGam(東醫寶鑑), it mainly quotes from YiXueGangMu(醫學綱目), instead of these professional acupuncture&moxibustion texts. This is because this book is a comprehensive medical text with various medical theories, which share the same flow with DongUiBoGam(東醫寶鑑), and at the same time, it organized the treatments of accupuncure&moxibustion in a big scale in various ways.

  • PDF

주거변화의 일상사적 담론과 한국 주거의 근대화과정 (Discourse of "Alltagsgeschichte" 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 전남일;홍형옥;양세화;손세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81-1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housing during the past one century. To following up the changes of everyday lives of common peoples, magazines, news papers, tourist's records and gossip items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from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In this study arguments on 'modernity' of korean housing was focused on some issues, thus, separation, differentiation, individualization, as well as privatization. Concrete discourses are; firstly, spatial isolation of housing and urban place each other, secondly, functional division of inner spaces of housing, and lastly, guarantee of privacy sphere. Historical changes of housing showed some meaningful phenomena. Before modernization housing was place of reproduction and consume at the same time. However after modern urban space came into existence and work and rest were separated, housing gained only mono function. Thus, housing have only one meaning as private place for nuclear family, that is "Home, Sweet Home." Instead of past multi-functional rooms, functional prescribed rooms, for example, dinning room, were newly born. In the past,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 was not clear. For examples, everyday experiences of family were extended to the street and in the house in most cases spaces were shared. But after modernization the scale of individual spaces become larger and private life can be secured. Consequently, history of everyday life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demonstrates the structural context between the micro and macro dimension in the fields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everyday lives and macro history response each other and create new perception of time-space structure in the modern housing.

사용자경험 기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연구 : 분광광도계 (Cas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pectrophotometer based on User Experience)

  • 정성원;정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2-40
    • /
    • 2012
  •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문가인터뷰, 경험관찰 분석법 등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휴리스틱가이드라인에 의해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적 측면만 고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분광광도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인터페이스의 역할 재정의, 시간 효율성 제고, 보안성 확보,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충분한 정보전달의 4가지 요소가 필수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in wiki-based online learning)

  • 임규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5-74
    • /
    • 2012
  • 위키는 웹 2.0이 지향하는 패러다임을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온라인 도구로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 비판적 사고력, 협력적 문제 해결 등과 같은 협력학습의 특징을 온라인 공간에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정제된 지식을 생산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위키에 대한 불안이 위키 활동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 위키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시 전후에 설문 및 참여도 분석, 성취도 점수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5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위키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제안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이들은 각각 위키 활동 참여도를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BSG 8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과 품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oductivity vs. Quality of Software Development : An Empirical Study of the ISBSG Release 8)

  • 구철모;박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93-107
    • /
    • 2010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성과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 성과 크게 두 측면으로 조사되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생산성과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적은편이다. 본 연구는 20개국에서 13년 동안 수행된 프로젝트의 성과를 대상으로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영향요인은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개발 형태, 개발 플랫폼, 개발 기술, 개발 언어, DBMS, 방법론, 방법론 획득 방식, CASE 툴, 총 개발투입 시간, 인적자원 참여 수준, 최대 팀 사이즈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펑션 포인트, 코드 라인 수, 소프트웨어 결함(치명적, 중요, 작은)각 품질과 생산성을 대표하는 변수로 측정되었고 제시된 영향요인과 관련이 있음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성과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각각 틀리며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개발에 참여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두 가지 측면에 요인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간호교육과정틀에 관한 소고 -돌봄과학과 보건정책 중심으로- (A Reconsidering on Setting for Philosophy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Nursing Education)

  • 김명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66
    • /
    • 1995
  • The goals of nursing education, and the bases for evaluating them depend on the goals of nursing practic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oming twenty first century and the meet changing societal demands and health nee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While hospitals will still be in significant components of the health care system, will no longer be central focus or dominant influence. Health care services will be more usually delivered at community base. The nursing education required by that new approach must provide for reconsidered about a concept of caring as nursing curriculum. The changes in health care delivery that have occured, now being proposed, for nursing education undergoing its own changes. So the philosophy and objectives of education meed to reconsidering about the caring concept and general nursing. Nurse educators must prepare students to practic in condition of constant change. At the same time nurse educators must emphasize preparation about that. The practice of science of caring in nursing draws on a basic knowledge of the behavioral knowledge, biophysical processes, pathological processes, nursing skills and procedures and various treatment regimes and problem solving to help decision making in nursing situations. The concept of care is probably one of the least understood ideas used by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people, yet it is probably one of the most improtant concepts to be understood by nursing. Human caring and human relationships are closely interrelated. Humn caring remains an essential dimension of professional work and the science of caring as essental to the discipline of nursing. It is expected that the objectives of nursing education will be accomplished when the cours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are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One recurrent education goal with some consistency is that of equipping the student with the necessary skills to live effectively and productivly in the world of tomorrow. In the new vision we are developing, professional education must also include exposure to liberal arts, encourage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a moral context for advanced professional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a contextual health policy and caring science educational model.

  • PDF

단어통사론을 위한 계산 모형 (A Computational Model for the Word-Syntax)

  • 김동주;김한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9권6호
    • /
    • pp.11-23
    • /
    • 2002
  •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기존의 전산모형은 선형적인 것들로 단어 내부구조 분석보다 형태소 분리 문제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선형적 전산모형을 구문 분석 과정과 통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구문 단위 요소의 형성을 위해 형태소 분석 결과를 묶어야만 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직관성을 얻기도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리와 구문 요소 형성뿐만 아니라 단어의 구조 분석까지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단어통사론적 시각에 따른 전산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형태소 분리와 변형 문제를 다루기 위해 2단계형태론의 형식화를 도입하고, 품사 문맥을 반영하기 위해 기능성 구분문자를 제안한다. 그리고 형태소의 통사적 결합 검사를 위해 GLR에 기반한 변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서의 서지기술형식 BIBFRAME과 그 활용에 대한 고찰 (Deployment of BIBFRAME as a New Bibliographic Framework in Linked Data)

  • 박옥남;오정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5-263
    • /
    • 2014
  • 미국국회도서관에서 서지레코드의 웹 접근성을 확보하고 웹 환경으로의 통합을 목적으로 새로운 서지기술형식인 BIBFRAME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BIBFRAME 모델 및 경과를 소개하고, BIBFRAME 클래스와 속성어휘를 살펴보고, MARC21과 BIBFRAME 어휘간 매핑, MARC 목록레코드의 BIBFRAME 전환사례를 제시함으로써 BIBFRAME 활용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BIBFRAME은 서지개체를 저작-인스턴스 관계로 구분하고 데이터의 시맨틱을 이해할 수 있는 RDF/XML과 식별자를 사용하며, 주석 개체를 제시하여 이용자 및 외부 기관에서 생산한 정보를 서지데이터상에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지데이터의 링크드 데이터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이용자의 정보탐색가능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텐트 모델에 상관없는 적용 및 다양한 자료유형의 수용을 보완하기 위한 계속적인 테스트가 요구되며 복잡한 구조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BIBFRAME 모델 및 어휘 수정 그리고 가이드라인 구축이 요구된다.

유비쿼터스 블로깅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Ubiquitous Blogging)

  • 권오병;최윤형;정동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1-23
    • /
    • 2008
  • 오늘날 블로깅은 개인이 스스로의 동기로 정보를 제공하고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인간 간 관계성을 구축할 수 있는 유력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블로깅 행위는 관심 있어 하는 상품이나 상점과 같은 대상물을 지나가는 사람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인근의 대상물로부터의 신속한 응답은 현존 블로깅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한데, 이것은 블로깅을 하는 사람과 대상물 사이의 이격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생산자와 같은 대상물의 소유자가 아닌 대상물 자체와 즉각적이며 상황인식적으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필요한 개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상물 및 그 대상물의 소유자의 관점에서 일하는 인공적 블로거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유비쿼터스 블로깅의 기능성이 소개되고 관련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