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en building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목조문화재 흰개미 서식환경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Termite Inhabitation Environment on Wooden Cultural Heritages)

  • 서민석;조창욱;김수지;김영희;홍진영;이정민;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7-393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라 다양한 생물종에 의한 목조문화재의 피해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생물에 의한 부후와 곤충 종에 의한 생물피해는 목조문화재의 외형적인 변화와 구조적인 문제점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목조문화재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풍화되고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물리적, 환경적 요인 뿐 만 아니라 흰개미라는 목재 가해 곤충에 의해서도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전라남도, 전라북도, 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목조문화재를 중심으로 흰개미의 서식 실태와 건물의 내 외부 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설비되어 있는 건축물과 비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구비되어있지 않는 목조건축물들의 온도, 습도, 함수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람이 활동하는 건축물일수록 온도는 높지만, 습도와 함수율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흰개미와 같은 목부재를 가해하는 곤충들의 서식 조건에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조문화재 흰개미 피해 조사는 대상 문화재와 주변 서식환경 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화학적 방제방법을 제시하는 것과 함께, 건축물의 난방 설비, 거주 유무, 주기적 관리 방법 등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제방안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법 (Termite monitoring and control managements for wooden building)

  • 이규식;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41-52
    • /
    • 2001
  • The wooden building is mainly damaged by the termite which have an effect of the structure by making emptied inner part of wood. One class, Japanese termite, inhabits throughout Korea and is often detected. So the deterioration by termite attacking the wooden building needs to be controlled. Termites are over 2,800 species in the world, usually they inhabit in the tropical or subtropical region and don’t over winter in dormant condition. So their activity and distribution are chiefly restricted by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ermite inhabiting in Korea is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 which known to have an optimal temperature range at $12~30^{\circ}C$ and minimum temperature at $6^{\circ}C$ for activation. These temperatures correspond to the mean temperature($5.6^{\circ}C$~$25.8^{\circ}C$) from March to November and the activity time of termitein Seoul. In addition,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industrial development, the climate of Korea is getting warm.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in Korea has been $1.1^{\circ}C$ for the past seventy five years, so it is expected that the damage of wooden building by termite will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wooden building from damages by termite, it needs not only development of new pest control methods, but also studies on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activity and growth of termit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larg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he wooden building in the open air,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methods of fumigation,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 treatment of wood materials, soil termiticideinjection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 PDF

해인사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 방안 (Monitoring of Termite in Haeinsa Temple and Control method)

  • 정소영;이규식;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3호
    • /
    • pp.77-93
    • /
    • 2002
  •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pest control for the preven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from damages caused by insects, especially termites. Those are as follows; physical control, chemical control, biological control, and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Korea, we primarily use mvestigation of monitoring, fumigation, treatment of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s, soil termiticide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As damages by termites were detected at Eunghyanggak and Saundang of Haeinsa temple in June, 1998, we carried out monitoring with wooden device, in order to investigate damages of wooden building by termite and paths of termite inva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onitoring from1999 to 2002, we found that termites were inhabiting continually at forests around Haeinsa and that wooden buildings such as Saundang, Cheonghwadang were damaged by termites. So we thought that control methods such as soil termiticide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would be effective. Especially, to investigate efficacy of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we carried out efficacy test of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in Jongmyo during 17 months(2000.7.~2001.11.). The result of efficacy test showed that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eliminated termite colonies gradually(over 12 months from installation of colony elimination system to elimination of termite colony).

  • PDF

목조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한 충해 방제방안 (Pest control managements for pre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이규식;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1호
    • /
    • pp.5-55
    • /
    • 2000
  • The cultural properties are damaged by various cau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he condition of preservation, and the period of time. Especially, biodeterioration makes lots of damages in organic properties than inorganic ones. The damages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by insects usually are caused by the three orders; Isoptera, Coleoptera, and Hymenoptera.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state of 141 buildings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in 1999, some of them were damaged by many kinds off actors; wasp, powder post beetle, cigarette beetle, termite, decay, and physical crack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s of damages were related to species-specific habits of insects.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pest control for the preven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from damages caused by insects. Those are as follows; physical control, chemical control, biological control, and integrated pest management. When insects and fungi were detected at the wooden buildings, the fumigation is best treatment to stop biodeterioration. And then, wood materials also need to be treated with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s to avoid a reinfestation, because the fumigant is volatile. The six commercial chemicals which are applied to the insecticidal and antiseptic treatment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were purchased to test their abilitie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results of efficacy of them in laboratory, chemical D showed excellent efficacy in all items, including antiseptic and termiticidal items. The goal of these pest controls is to protect wooden buildings from insects and microorganisms. The most effective method used currently is chemical control(fumigation, insecticidal and anticeptic chemical treatment), but it has to be treated periodically to control pest effectively. Recently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methods such as bait system or biological treatments are replacing traditional barrier treatments using large amounts of chemicals. Especially, termite is a social insect which makes a colony. Although a building with fumigation treatment is safe for a while, once attacked building has a risk of damage by reinfestation of termite. Therefore, to control termites from damaged building, the entire colony including reproductives(queen and king) and larvae around buildings must beeliminated. Bait system can be used as a preventive measure in early detection of them through termites colony monitoring and baiting. It would be the most effective for termite control if bait system would be used together with the chemical controls.

  • PDF

수계에 인접한 목조건축물의 생물분포 모니터링 연구 - 여주 신륵사를 중심으로 - (Monitoring on Biological Distribution Around Historical Wooden Buildings Adjacent to River - With the Case Study of Silleuksa Temple, Yeoju City?-)

  • 김시현;이현주;이민영;정선혜;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7-274
    • /
    • 2017
  • 여주 신륵사는 남한강과 인접하여 습도가 높고 안개일수가 많으며 산림과 인접하여 생물피해가 우려되는 곳이다. 이에 문화재 보존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신륵사 목조건축물의 생물분포와 주변 산림의 흰개미 분포를 3년 동안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문화재 가해곤충인 구멍벌이 지속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계절과 연차별 곤충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상지의 입지특성과 당해 연도의 기후 변화가 함께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배후 산림에서는 전체적으로 흰개미 군체가 확인되었고, 분포 양상은 매년 다르게 나타났다. 미생물 조사 결과 건물의 출입 여부에 따라 종별 분포와 오염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목재부후균도 분리 동정되었다. 따라서 보존환경과 생물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목재가해생물종의 추가적인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극초단파(Microwave)를 이용한 흰개미 탐지기술 적용연구 (Study on the Adaption Technique for Detection of Termites using Microwave)

  • 김대운;정선혜;이상환;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3
    • /
    • 2010
  • 국내에 서식하는 지중흰개미는 목재 내부에 공동화 현상이 발생되어 붕괴가 일어나기 직전까지도 외관상 특별한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흰개미의 활성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은 현재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극초단파 탐지 장비(Termatrac, Australia)를 이용하여 목조 문화재의 비파괴 진단 기술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소나무의 경우 16cm(민감도 5, 6), 느티나무와 Douglas fir의 경우 17cm(민감도 5, 6)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국내 대부분의 목조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조사 결과 전국 목조건축물 231동 중 33.8%가 흰개미에 의한 손상을 입었으며, 7.8%인 총 18개 건물에서 흰개미 가해가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목조 문화재의 비파괴 분석법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화재방제구역에 따른 목조문화재 생물손상 및 생물위험도 평가 (Biological Damage and Risk Assessment of The Wood Cultural Properties in Fire Prevention Area)

  • 김대운;정용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04-111
    • /
    • 2015
  • 목조건축물 주변 화재방제구역에서 벌채된 후 방치된 20기의 그루터기를 3년간 조사한 결과 흰개미 군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송광사 경내 전체 31개 목조건축물 중 4개 동에서 흰개미에 의한 손상이 진행중인 것이 확인되어 서식지가 화재방제라인을 넘어 사찰 내부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극초단파 탐지장비를 이용한 조사를 통해 현재까지도 내부 손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정비되지 못한 화재방제구역은 오히려 목조문화재의 잠재적인 위해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방화선 구축사업으로 인해 발생된 목재 및 그루터기의 효율적인 제거 방안이 요구된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 방재를 위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 장형순;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5-32
    • /
    • 2008
  •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cultural property is very important management and historical duties. The reason can't be measured values with monetary scale of our contemporary. Therefore, this paper was considered fire-safety as one of terrible threat-disasters about the wooden buildings. This research deal with 47 cases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 by whole investigation(field survey and interview) in Gangnung province. The most buildings have basic fire extinguisher; ABC powder. A few buildings are rarely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s; outdoor fire hydrant, heat sensor, ground sprinkler, CO2-hose-reel. But these state is very insufficient for the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Specially as particular attention in province, forest fire of regional characteristic have close relation with cultural property fire. The majority of factor against forest and building fire is to provid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CCTV, Fence, Sensor, Alarm and paid guard man against incendiar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the organic cooperation such a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est Servic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gional citizen.

  • PDF

Ontology-based Recommendation System for Maintenance of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

  • Lee, Jong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49-5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한국 건축 유산 유지 보수를 지원하기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음을 포함한다: 1) 건축 유산의 수리 정보를 표현하는 온톨로지 디자인, 2) 수리 사례 DB 구축, 3) 수리 방법 추천 시스템 개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유산 온톨로지를 참조하여 한국 목조 건축문화유산의 정보를 표현하는 온톨로지를 디자인 하였다. 둘째, 국립 문화재 연구소와 문화재청에서 제공하는 수리 내용 및 전문가 인터뷰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리 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셋째, 우리는 가장 유사한 현상과 원인을 가진 한국 목조 건축문화유산의 수리 방법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수리 지식을 공유하고 건축문화유산 수리를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데 기여한다.

목조건축유산 화재와 방재에 관한 연구: 당진지역 목조 공소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or Wooden Architecture Heritage: Focusing on the Wooden Catholic Secondary Station in Dangjin)

  • 이상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목구조로 형성된 건축유산의 소방안전대책이 갖는 문제점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당진지역에 현존하는 목구조로 형성된 천주교 공소의 건물 구조, 주변 환경 등 문화유산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천주교 공소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와 안전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구조 공소가 갖는 역사성과 장소성, 지역의 정체성을 갖는 중요한 문화유산 임에도, 화재 등 안전에 대한 취약성 및 소방 활동을 위한 화재 인지 및 초기 화재 대응에 어려움 등 방재시스템의 문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좀 더 강화된 방화 등에 방재 체제가 필요하며, 목구조 공소의 특성에 적합한 소방 시설을 설치하고 방화활동에 주체를 확보하여 건축유산인 공소의 방재체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도출되었으며, 또한 공소는 대부분 농촌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산불과 같은 자연재난에서 목구조 공소 방재 활동을 강화하고 화재 시 대응방안과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