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Pellet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3초

식물유 및 오존산화 식물유를 첨가한 낙엽송 목재펠릿의 생산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by Larix Kaemferi Carr Sawdust with Adding Vegetable Oil and Ozonized Vegetable Oil)

  • 이응수;강찬영;서준원;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59-3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종 중 낙엽송(Larix kaemferi Carr)을 대상으로 하여 콩기름, 폐콩기름, 오존산화 콩기름, 오존산화 폐콩기름을 첨가하여 제조된 목재펠릿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발열량, 회분, 겉보기밀도, 내구성, 흡습률, 원소분석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펠릿제품의 함수율은 7.66~9.48%로 나타나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인 10% 이하를 만족시켰고, 제조된 각 펠릿의 발열량 측정결과 품질기준(1급) 4,300 kcal/kg을 모두 넘었으며, 기름을 첨가한 모든 펠릿이 대조구보다 높은 발열량을 나타냈다. 회분은 0.34~0.42%로 품질규격 1급인 0.7% 미만의 범주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펠릿 모두가 겉보기 밀도 품질 기준 1급(640 kg/$m^3$)을 만족시켰다. 내구성은 콩기름을 첨가한 펠릿, 오존산화 폐콩기름을 첨가한 펠릿이 품질 기준1급(97.5% 이상)을 만족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의 흐름을 보았을 때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무첨가 펠릿보다 내구성이 좋게 나타났다. 흡습률은 24시간 후 흡습률 시험에서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모두 무첨가 펠릿보다 낮은 흡습률을 나타냈으며, 5일 경과 후에도 무첨가 펠릿 보다 첨가제를 첨가한 펠릿이 모두 흡습률 감소 현상을 보였다. 원소분석은 황의 함유량이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0.05%) 이하를 만족시켰고, 질소 함유량 역시 목재펠릿의 품질기준 1급(0.3%) 이하를 만족시켰다.

숲가꾸기 사업에서의 산림 바이오매스 발생량 추정(제2보) - 산림면적 전망에 의한 추정 -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Arising from Forest Management Operation II - Estimation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

  • 안병일;이균식;김철환;이지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4호
    • /
    • pp.25-32
    • /
    • 2009
  • Forest biomass can be used as various types of raw materials such as pulp, wood pellets, solid charcoals and so on. This paper estimates the nation wide amount of forest biomass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for its effective and economic use. Several trend equations are used in projecting the forest areas. In 2009, the forest biomass arising from thinning is estimated be 6,591,575 $m^3$. The estimates of forest biomass in 2015 and 2018 are 6,375,627 $m^3$ and 6,284,779 $m^3$, respectively. Since the forest areas are projected to be declining, the biomass generated by thinning will decrease. This implies that the new alternatives for supplying raw materials for biofuels must be prepared before then.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에 관한 과학적 근거에 따른 통설적 접근 (Forest Biomass Utilization for Energy Based on Scientifically Grounded and Orthodox)

  • 이승록;한규성
    • 신재생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145-174
    • /
    • 2024
  • Addressing climate change necessitates evidence-based policies grounded in science. The use of forest biomass for energy production is based on a broad scientific consensus at the international level. However, some environmental groups in South Korea are opposing this system of energy product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aim to reduce unnecessary confusion and foster an atmosphere conducive to meaningful evidence-based policies. We have classified the issue into eight categories: biological carbon cycle, carbon debt, nature-based solutions, air emissions, cascading principles and sustainability certification, forest environmental impacts, climate change litigation, and the behavior of environmental groups and public perception. Consequently, the following key points were derived: (1) the actions of some environmental groups seem to follow a similar pattern to denialist behavior that denies climate change and climate science; (2) the quality of evidence for campaigns that oppose the use of forest biomass for energy production is low, with a tendency to overgeneralize information, high uncertainty, and difficulty in finding new claims.; (3) most of the public believes that forest biomass energy is necessary, and the governments of major countries are aware of its importance. Significantly, Forest biomass for energy is based on an overwhelming level of scientific consensus recognized internationally.

주박을 활용한 펠릿화의 효율적인 방법 연구 (Research of Effective Method for Pellet Using Jubak)

  • 김대년;이중복;김덕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7-247
    • /
    • 2010
  • 본 연구는 주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전분발효 부산물을 펠릿(pellet)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술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박을 펠릿화하고 재생청정에너지인 폐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술을 정제하고 남은 지게미를 주박(酒粕, 술지게미)이라 하고 흔히 부드러운 것을 단단하게 뭉친 알갱이를 펠릿이라 한다. 현재 펠릿화는 폐목재를 분쇄후 성형, 가공하여 목재펠릿을 만들어 상용화하고 있다. 목재펠릿은 성형, 가공하는데 비용이 주박보다 많이 들고 열량도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목재소에서 나온 나무(톱밥)와 주박을 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 나무는 약 1850 Kcal이고 주박은 약 1989 Kcal가 측정되었다. 나무는 일반 목재소 세 곳에서 채취한 것이고 주박은 막걸리, 약주 및 청주의 술지게미를 실험에 사용한다. 주류업체에서도 술을 정제하고 남은 주박을 처리하는데 많은 곤란과 비용이 든다. 또한 주박을 해양에 투척하여 처리해 왔으나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더욱 처리에 곤란을 겪게 된다. 최근 주박을 토양개량제(비료)로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장점은 농산물을 재배해서 주류제조시 발생되는 주박을 펠릿화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남은 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제품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환경으로 방출되는 모든 것을 가능한 한 0(zero)으로 하는 활동인 제로-이미션(zero-emision)이 된다. 이는 단순히 배출량만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이 가장 큰 이점이 된다. 주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박을 종류별로 주박과 목재를 섞는 방법으로 열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열량이 높은 순서로 막걸리 주박과 약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두 번째 막걸리 주박과 청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세 번째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의 비율을 1:1, 1:0.5, 1:0.2로 섞어서 열량을 측정하였다. 열량이 높은 순서는 세 번째(2015Kcal), 두 번째(1995Kcal), 첫 번째(1868Kcal)의 순이었다. 가장 열량이 높은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을 섞은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다. 주박 펠릿의 장점은 친환경적인 소재이고 지속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더욱이 주박 펠릿은 발열량이 높고 다른 바이오매스 원료에 비해 청정하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동화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리하다. 가격면에서 화석연료에 비해 안정적이고 체적 또한 작아 이송의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펠릿의 경우는 목재펠릿이 제품화되어 있지만 주박을 이용하여 제품의 펠릿화를 통한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전 세계 전무한 상태로 폐자원을 재사용하는 효율성이 제시된다. 향후 과제로 주박을 이용한 펠릿 연료원의 기술이 개발되고 기계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면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획기적인 미래형 에너지시스템이 될 것이다.

  • PDF

폐기물 및 RDF에 대한 연소특성 및 반응속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mbustion characteristic and kinetic study of wastes and RDF)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76-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RDF와 목재펠릿 그리고 폐목재, 폐섬유, 폐비닐 각각 폐기물로 반응속도를 분석하기 위해 열중량 감량 분석, 비등온 실험, 삼성분, 화학적 조성 분석, 발열량, 활성화 에너지(E) 기울기를 실험하고 값을 구하였다.고형연료의 각각의 삼성분을 비교하였을 때 RDF가 목재펠릿 보다 수분함량이 적게 나왔으며 발열량을 통해 각각의 폐기물 고형연료에서 연소반응 속도을 비교하여 보면 폐비닐의 연소반응이 제일 크게 나타났다. RDF와 목재펠릿을 비교해보면 회분의 차이는 목재펠릿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활성화에너지로 비교하게 되면 RDF의 효율이 다른 4가지의 연료보다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DF는 승온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320{\sim}720^{\circ}C$ 사이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Differences in fine dust emissions based on bedding type and quantity in horse stables

  • Ji Hyun Yoo;Jong An Lee;Jae Young Choi;Sang Min Shin;Hyeon Ah Kim;Mi Young Won;Yong Jun Kang;Hee Chung Ji;In Cheol Cho;Jin Hyoung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917-925
    • /
    • 2023
  • Efforts for developing the domestic horse industry in South Korea are evident through the various national policies. Proper management of stables for ensuring the health of horses is essential to sustain the growing equine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fine dust emissions in stables based on the type and quantity of bedding used for horse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pertaining to bedding use in stables. The stables accommodated 12 horses. Sawdust, wood shavings, wood pellet, and straw were chosen as treatments. Three different quantities (approximately 3, 6, and 9 cm in height) were applied for each type. Fine dust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three time points, with each measuring period lasting for approximately three weeks. Measurements included PM2.5 and PM10 fine dust levels. The initial analysis revealed that, sawdust with 9 cm bedding had the highest dust levels; approximately 54.6 ㎍/m3, for PM2.5 and 95.3 ㎍/m3, for PM10. Sawdust bedding at the highest quantity (9 cm)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initial fine dust emis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dding materials with smaller particle size, such as sawdust and wood shavings, tend to produce finer dust. Initially, the fine dust emissions decreased in all bedding types and quantities,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moisture content of bedding owing to horse manure production. However, emissions increased subsequently due to ammonia production.

낙엽송 반탄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고밀도 고형연료 생산 (Production of High-density Solid Fuel Using Torrefeid Biomass of Larch Wood)

  • 송대연;안병준;공성호;이재정;이형우;이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81-38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반탄화된 낙엽송 칩을 분쇄한 후 그 입자를 이용한 펠릿성형에서 함수율과 입자크기의 영향을 반탄화 조건($220^{\circ}C$-50분, $250^{\circ}C$-50분, $250^{\circ}C$-120분)에 따라 조사하였다. 반탄화 후 함수율은 0.69~1.75%로 반탄화 처리전의 5.26%보다 낮았으나, 회분이나 발열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반탄화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헤미셀룰로오스의 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탄화 낙엽송 칩에 포함된 탄소함량은 반탄화 처리 전 낙엽송 칩과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수소와 산소함량은 감소하였다. 반탄화 낙엽송 칩에 포함된 리그닌과 글루칸 함량은 반탄화 정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헤미셀룰로오스는 감소하였다. 반탄화 칩을 분쇄하여 입자크기분포를 비교한 결과 높은 반탄화 조건은 낮은 반탄화 조건에서보다 1 mm 이하의 미세분 함량이 높았고 $500{\AA}$ 이상의 macropore가 생성되었다. 반탄화 분쇄 입자를 이용한 펠릿성형 과정에서 입자크기와 관계없이 반탄화 분쇄 입자의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투입된 반탄화 분쇄 입자가 받는 압력은 감소하였으며 펠릿길이는 증가하였다.

화력발전 시스템 및 설비 개선 실증을 위한 열물질정산 공정모델 개발 (Process Modeling of the Coal-firing Power Plant as a Testb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Equipment)

  • 안형준;최석천;이영재;김범수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8
  • Heat and mass balance process modeling has been conducted for a coal-firing power plant to be used as a testbed facility for development of various plant systems and equipment. As the material and design of the boiler tube bundle and fuel conversion to the biomass have become major concerns, the process modeling is required to incorporate those features in its calculation. The simulation cases for two different generation load show the satisfying results compared to the operational data from the actual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ed process conditions, the hypothetical case using wood pellet has also been simulated. Additional calculations for the tube bundle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tube material and design.

신재생연료 혼소를 통한 미분탄 화력 발전소의 CO2 저감 방안 도출 (Approach to Reduce CO2 by Renewable Fuel Cofiring for a Pulverized Coal Fired Boiler)

  • 김태현;최상민;양원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3년도 제46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19-20
    • /
    • 2013
  • The cofiring of renewable fuel in coal fired boilers is an attractive option to mitigate $CO_2$ emissions, since it is relatively low cost option for efficiently converting renewable fuel to electricity by adding biomass as partial substitute of coal. However, it would lead to reduce plant efficiency and flexibility in operation, and increase operation cost and capital cost associated with renewable fuels handling and firing equip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at varying percentage of biomass in fuel blend to the boiler biomass, and estimate operation and capital cost. Wood pellet, PKS (palm kernel shell), EFB (empty fruit bunch) and sludge are considered as a renewable fuels for a cofiring with coal. Several approaches by the cofiring ratio are chosen from past plant demonstrations and commercial cofiring operation, and they are evaluated and discussed for CO2 reduction and cost estimation.

  • PDF

목질계 연소부산물 혼입 모르타르 물성 평가 (Properties of Mortar mixed with Lignocellulosic Combustion By-products)

  • 정영동;김민수;박원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77-78
    • /
    • 2023
  • This paper experimentally examined the recycling of combustion by-products emitted from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using lignocellulosic biomass fuel. Physical and chemical analyzes were performed on Bio-SRF and three types of wood pellet combustion by-product samples (fly-ash, F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substituted with 5, 10, and 20% of FA compared to the cement weight was found to be excellent, and its recyclability was confirmed as a substitute for existing admix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