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Forest Biomass Arising from Forest Management Operation II - Estimation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

숲가꾸기 사업에서의 산림 바이오매스 발생량 추정(제2보) - 산림면적 전망에 의한 추정 -

  • 안병일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이균식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 김철환 (경상대학교 임산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이지영 (경상대학교 임산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Forest biomass can be used as various types of raw materials such as pulp, wood pellets, solid charcoals and so on. This paper estimates the nation wide amount of forest biomass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for its effective and economic use. Several trend equations are used in projecting the forest areas. In 2009, the forest biomass arising from thinning is estimated be 6,591,575 $m^3$. The estimates of forest biomass in 2015 and 2018 are 6,375,627 $m^3$ and 6,284,779 $m^3$, respectively. Since the forest areas are projected to be declining, the biomass generated by thinning will decrease. This implies that the new alternatives for supplying raw materials for biofuels must be prepared before then.

Keywords

References

  1. Gan, J., Supply of biomass, bioenergy, and carbon mitigation: Method and application, Energy Polciy 35: 6003-6009(2007) https://doi.org/10.1016/j.enpol.2007.08.014
  2. 강창용, 박현태, 바이오매스 이용의 사회경제적 유용성, 농촌경제 29(5): 79-95(2006)
  3. 산림청, 2008년도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2008)
  4. 배정환,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지역별 잠재적 파급효과 추정,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17-220(2006)
  5. 석현덕 외, 목질 바이오매스 열에너지 개발의 경제성 분석과 에너지용 산림폐재의 지속적 확보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5)
  6.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해당연도판
  7. 이홍재 외, Eviews를 이용한 금융경제 시계열 분석, 경문사(2005)
  8. 김의경 외, 제5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개발, 한국산림정책연구회(2005)
  9. 장철수 외, 산림 내 폐잔재의 현지 활용을 위한 한국형 조립식 탄화장치 기술개발 및 실용화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4)
  10. 이돈구 외,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육성전략 수립, 한국임학회(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