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pellet Boil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목재 펠릿 난로와 보일러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과 블랙카본의 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and Black Carbon from Wood-pellet Stove and Boiler)

  • 박성규;유근정;김대근;김동영;장영기;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7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simulating domestic utilization conditions of a wood pellet stove and a wood pellet boiler in order to determine emission factors (EFs) of macro-pollutants, i.e., carbon monoxide,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mmonia, particulate matters (total suspended particulate, $PM_{10}$, $PM_{2.5}$, black carbon) and trace pollutants (i.e., ten differ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composite pollutants EFs for the pellet stove were: for TSP 4.58 g/kg, for $PM_{10}$ 3.35 g/kg, for $PM_{2.5}$ 2.48 g/kg, CO 119.23 g/kg, NO 14.40 g/kg, $SO_2$ 0.17 g/kg, TVOC 37.73 g/kg, $NH_3$ 0.02 g/kg and emissions were similar to the pellet boiler appliance: for TSP 4.73 g/kg, for $PM_{10}$ 3.41 g/kg, for $PM_{2.5}$ 2.63 g/kg, CO 161.51 g/kg, NO 13.67 g/kg, $SO_2$ 0.19 g/kg, TVOC 45.22 g/kg, $NH_3$ 0.02 g/kg.

Pilot 순환유동층 연소장치에서의 목재펠릿과 아역청탄 혼소 특성 (Characteristics of Co-Combustion of Wood Pellet with Sub-Bituminus Coal in A Pilot CFB Combustor)

  • 김동원;박경일;이종민;배용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36-447
    • /
    • 2019
  •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has an advantage that can burn a variety of fuels from low-grade fuel to coal. In this study, for the design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ing wood pellets, a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test device using no external heater was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combustion rate with wood pellet, combustion fraction and heat flux by combustor height were measured and pollutant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bustibility, the effect on primary and secondary air ratio were also studi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corrosive nanoparticles on the combustion of coal with wood pellets, it was confirmed that coal is mostly composed of Ca and S, whereas wood pellets are mostly composed of K, Cl, and Na.

홈 네트워크 기반의 펠릿 활용 난방 보일러 제어시스템 (The Control System of Wood Pellet Boiler Based on Home Networks)

  • 이상훈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2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세계적 추세에 따라 탄소 중립적 에너지원인 우드펠릿(wood pellet)을 사용하는 난방보일러 제어시스템 구현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은 공중전화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도 제어 가능한 홈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및 관리시스템 구현도 포함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온도조절기능, 연료공급기능, 점화기능, 화력조절기능, 그을음제거기능 등을 수행하는 보일러 주제어부와 주제어부와의 RS-485 통신링크를 통해 각 방의 개별 온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 모듈 및 보일러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공중전화망 및 이동통신망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현된 시스템은 기본동작시험과 원격제어시험을 통해 난방면적 $172m^2$에서 열효율 93.6%, 난방출력 20,640kcal/hr, 연료소모량 5.54kg/hr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능지표는 기존 개발된 펠릿보일러에 비해서 우수한 결과로써 기존 보일러에서는 적용하지 않았던 3단계의 점화과정과 그을음제거 기능과 함께 $C_dS$ 센서를 통한 불꽃감지기능 및 셔터개폐의 미세 조정을 통한 화력조절기능을 새롭게 적용한 결과이다.

제로카본 그린홈 구현을 위한 하이브리드 열공급 시스템의 열성능 분석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heat Supply System for Zero Carbon Green Home)

  • 주홍진;이경호;곽희열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53-59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rmal performance of the renewable hybrid heat supply system with solar thermal system and wood pellet boiler for Zero Carbon Green home of apartment houses. The hybrid heat supply system was set up at Korea Institute Energy Research in 2011. The system was comprised of the wood pellet boiler unit with heat capacity designed as 20,000kcal/hr, a $0.15m^3$ hot water storage tank for space heating, a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3.74m^2$ of aperture area at the $20^{\circ}$ install angle, a $0.3m^3$ hot water storage tank. Thermal performance tests for one-house of apartment house were carried out by hot water load and heating load in winter season through the hybrid heat supply system. As a result, hot water energy supplied by the hybrid heat supply system was 11kWh in a day. Solar thermal energy portion was 2.99kWh which is 27% of the total hot water energy supply. wood pellet boiler supply portion was 8.017kWh which is 73% of the total hot water energy supply.

목재 펠릿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 심봉석;김혁주;박화춘;김종진;최규성;강새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4.1-104.1
    • /
    • 2010
  • We investigat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in a combustion equipment with adjusting amount of flue gas. Maximum temperature in a combustion chamber was $850^{\circ}C$. Higher heating Value of a domestic wood pellet tested is 19.1 MJ/kg and water content was 8.3%. Amount of flue gas causes big effect on burning characteristics in $450{\sim}600^{\circ}C$. Wood pellet does not burn in low temperature atmosphere less than $450^{\circ}C$ and low flue gas flow rate. We made burning the pellet that is made in Korea, USA, Chile and Canada. Color of foreign pellets are bright brown and they made by mainly sawdust. Korean pellet is a dark brown color because it contains bark.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elementary analysis and techn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burning experiment, burning times of each countries's pellet are similar.

  • PDF

우드펠릿 보일러에서 2단 연소용 공기 공급방식이 질소산화물 및 일산화탄소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pply Patterns of Overfire Air on Generation of NOX and CO in a Wood pellet Fired Boiler)

  • 정광성;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5권3호
    • /
    • pp.35-41
    • /
    • 2019
  • 본 연구는 석탄 연소에서 우드펠릿 전소 보일러로 설비를 개조하여 실제 운영 중인 125 MW급 영동화력 1호기 보일러를 대상으로 2단 연소용 공기의 공급위치와 비율을 조정하여 NOx 및 CO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2단 연소용 공기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 연료입도가 작아서 낮은 과잉 공기비(1.10)로 연소할 경우 NOx는 약간 감소하고 CO는 급격히 감소하지만, 연료 입도가 커서 높은 과잉공기비(1.33)로 연소할 경우 NOx는 약간 증가하지만 CO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2단 연소용 공기량이 같아도 공급위치가 주연소기 상부로 편중될수록 NOx 및 CO 발생 농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과잉 공기비가 높은 경우 2단 연소용 공기량에 무관하게 NOx 및 CO의 발생은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동식 펠릿 제조장비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a Movable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 조시기;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24권3호
    • /
    • pp.13-19
    • /
    • 2015
  • 본 연구는 숲가꾸기 사업시 솎아내는 나무(소경간벌재), 벌채 수확 후 남긴 잔재물인 가지, 목재가공 후에 남긴 폐기 대상목재, 갱신지 벌채림 및 왕겨 등을 활용하여 펠릿 제조가 가능한 이동식 펠릿 제조 장비를 개발하는 것으로, 초기함수율이 약 32%인 도로변 가지치기 나무를 재료로 최종함수율이 약 10%인 펠릿을 생산할 경우 시간당 생산량은 약 309kg이며, 하루 약 8시간 작업시 약 2ton의 생산량이 가능하고, 펠릿 생산(시간당 약 309kg)에 필요한 평균소요동력은 약 122.4PS이며, 생산비용과 판매비용을 비교하면 1일 작업기준으로 약 268,000원의 수익이 예상되어 향후 사업성이 기대된다.

4단 화격자 목재 펠릿 보일러의 부분부하 연소해석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on Partial-Loa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4-Step-Grate Wood Pellet Boiler)

  • 안준;장준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4호
    • /
    • pp.365-3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4단 화격자로 구성된 목재 펠릿 보일러의 연소실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목재 펠릿의 화염은 화격자에서 연소실 출구까지 신장되는 데 이 현상이 균질 반응에 기반한 수치해석 기법으로 잘 예측되었다. 수치해석으로 구한 유동장을 보면 연소실 상류에서 출구쪽으로 강한 재순환 유동이 형성되는데 이 유동을 따라 화염이 신장된다. 이와 같은 유동 및 연소 형태는 부분부하 조건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을 때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연소실의 체적을 변경하는 것보다 연소실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연소 효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연소실 출구 위치 변경하거나 화격자 개수를 늘이는 방안 또는 격벽과 같은 내부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회유동을 이용한 펠릿연소기의 화염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Flame Stability of Pellet Combustor Using Swirling Flow)

  • 이도형;윤봉석;왕진위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5-41
    • /
    • 2014
  • The wood pellet, which is one of the woody biomass energy, has very high economic efficiency and combustion efficiency during their combustion. The existing pellet burner have many problems such as low combustion efficiency, flame stabilization, ash problem and ignition time etc. We developed cyclonic wood pellet burner aim to 20,000kcal/hr boiler and measured temperature profiles and exhaust ga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lame stability and optimum combustion condition at any air flow conditions. As results, we confirmed the reappearance and the isotrop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burner. At the first air flow inlet condition of excess air ratio ${\alpha}=0.02$, second air flow $490{\ell}/min$ had the best combustion condition when pellet supplied 30g. This result means that we need much air supply only for the swirling of second air flow. So we tested various second air flux at first air excess air ratio ${\alpha}=0.7$ condition. At this condition, we could find out that we don't need much second air and total air flux compared to the former condition. We will continuously test this work of air flow distribution, and swirl effect of first air flow, and ash eli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