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근골격계질환 장애여성의 융복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the Converg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Women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of life in Jeon-nam Area)

  • 민제호;한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97-504
    • /
    • 2015
  • 융복합 시대에 접어들면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상용화된 융복합 콘텐츠가 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 장애여성들의 삶의 질 개선 방안을 위하여 융복합 연구가 전남지역에서 실시되고, 이 활동들이 장애여성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추후 지속적으로 이들에게 필요한 기초 자료와 실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5년 1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여성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다. 이들 중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융복합 콘텐츠 사용중인 20-80대 장애여성을 선별하여 총 125명에게 16주동안 융복합 사업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융복합 사업 시행 후, 대부분의 근골격계 통증이 감소되었으며 우울 수치가 줄어들고 삶의 질의 향상을 보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적 안목과 지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후속 연구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도 비교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Wage Workers with Acquired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Degree of Disability)

  • 김승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46-558
    • /
    • 2021
  •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장애정도에 따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8차(2015년) 조사에 참여한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187명,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606명이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 모두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중 공식적 네트워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일수록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중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사회참여 활동이 증가할수록 조직몰입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경우 건강할수록, 정규직일수록, 자격증이 많을수록 조직몰입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및 경증 중도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사회적 자본 확대와 함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A Strategies for Using Smartphone as a Social Real Life T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Park, Sa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55-262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활성화된 사회 환경 속에서 발달장애 학생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사회 실생활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발달장애 학생, 정보사회, 스마트폰 사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주제 관련 선행연구 문헌들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발달장애 학생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사회통합 능력 향상 지원 방안을 기술한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기술한다. 셋째,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 실생활 적응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요구 영역을 기술한다. 이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학생이 정보사회에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익히고 배워 이용함으로써 주변 사람들과 상호교류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직업재활과 사회통합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교육적으로 지원,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통합치유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Integrated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명숙;정차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657-666
    • /
    • 2022
  • 본 연구는 통합치유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능력 및 성적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지역의 여성장애인 성폭력상담소에 의뢰된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8명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에 따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치유프로그램은 첫째,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t=-4.183, p<0.001)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표현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t=-5.103, p<0.001)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성적 자기결정능력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t=-26.346, p<0.001)를 유도함으로써 통합치유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치유를 위해 통합치유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Do age, gender, and subjective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e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physically active?: a secondary analysis

  • Hyunseok Cho;Sukhee Ahn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by age and gender.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2020 Third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2021). The participants were 2,796 people who performed regular physical activity at least once a week. The variables selected were disability-related factors (degree of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ies, and type of disability),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living alone, and mean monthly family income), and health-related factors (amount of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depression, chronic disease,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 test, the t-test,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In total, 58.0% of participants were male, and 42.0% were female. For age groups, 14.4% were children/adolescents (0-19 years), 42.6% were adults (20-59 years), and 43.0% were seniors (≥60 years). The mean score for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was 5.0±2.15 out of 10. Adults and seniors whose level of physical activity met or exceeded recommendations had higher subjective health. Moreover, men had better subjective health than women in seniors.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ose who had higher self-esteem, were not depressed, did not have chronic diseases, and had better subjective health. Conclusion: Gender significantly influenced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adolescents and seni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 in adults, and health-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 in all age groups.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interventions to promote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Disabled Women)

  • 양정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8-21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조사시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1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건강하고 우울감이 덜한 여성장애인일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련 요인에서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가 높고, 부부 갈등과 배우자 음주가 적을수록 결혼안정성이 긍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손가락 비율을 이용한 장애인 특성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person with disability using ratio of the lengths of the second to fourth digits)

  • 김성진;신현욱;이병순;최지원;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45-1154
    • /
    • 2012
  • 태아기의 성 호르몬의 차이가 두 번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 길이의 비율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생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이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손가락 비율 비교 및 장애인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장애인과 일반학생 모두에 있어 남자의 손가락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여자보다 낮아, 남녀별 성차가 있다는 일반적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남자와 여자 장애인 모두에서 나이대별 손가락 길이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인도 성장과정에서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자와 여자 지적 장애인 모두에 대하여 장애등급별 손가락 길이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바, 이로부터 손가락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장애여부와 관계가 있다는 점에 근거하면 현재의 장애등급 구분은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Serum albumin levels and their correlates among individuals with motor disorders at five institutions in Japan

  • Ohwada, Hiroko;Nakayama, Takeo;Kanaya, Yuki;Tanaka, Yuk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57-63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The level of serum albumin is an index of nourishment care and management. However, the distribution and correlates of serum albumin levels among individuals with motor disorders have not been reported until now. Therefore,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orrelates of serum albumin levels among individuals with motor disorders. SUBJECTS/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on 249 individuals with motor disabilities (144 men, mean age: 51.4 years; 105 women, mean age: 51.4 years) was conducted at five institutions in Ibaraki Prefecture, Japan in 2008.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SULTS: The mean serum albumin levels were $4.0{\pm}0.4g/dL$ for men and $3.8{\pm}0.5g/dL$ for women. Overall, 17 (11.8%) men and 25 (23.8%) women had hypoalbuminemia (serum albumin level ${\leq}3.5g/dL$); these proportions were greater than those among healthy Japanese adults (${\leq}1%$). Low serum albumin level was related with female sex, older age, low calf circumference, low relative daily energy intake, low hemoglobin (Hb), low blood platelet count,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 $HbA_{1c}$, and high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The strongest correlates, based on standardized betas, were Hb (0.321), CRP (-0.279), and HDL-C (0.279) level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valence of hypoalbuminemia is higher in individuals with motor disabilities than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at inflammation is a strong negative correlate of serum albumin levels. Therefore, inflammation should be examined for the assessment of hypoalbuminemia among institutionalized individuals with motor disabilities.

의료빅데이터 기반 여성 장애인 건강권 보장 분석 (Analysis of Guaranteeing Health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Medical Big Data)

  • 박민희;김민경;박종배;조영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17-31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정보의 빅데이터화를 통해 건강권에 대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국민 대상의 국가건강검진 중 암 검진에 수검율을 조사하고 여성 장애인의 수검 요인을 분석해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이 가능한지 살펴본다. 국가암검진 중 30대 이상 여성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자궁경부암 수검 요인을 건강행태적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Quality of Life Scal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

  • 정소연;서홍란;김정인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107-134
    • /
    • 2016
  •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삶의 질이라는 개념이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이라고 하는 Felce와 Perry(1995)의 모형에 기초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은 장애인복지분야의 3명의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에 대해 평가를 받았으며 그 평가와 피드백에 기초하여 수정 보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3개 장애인이용시설과 거주시설의 협조를 받아 430명의 성인발달장애인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상관 및 기술 분석을 통해 개별문항의 분포적 특성과 문항간 상관성이 검토되었으며, 그 결과와 이론적 타당성에 기초하여 각 하위요인별로 4문항씩, 총 20개의 문항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척도의 Cronbach의 ${\alpha}$값은 .87이었다. 또한 개념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확인적요인분석 결과는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이 척도의 모형적합도가 만족스러운 수준임을 입증하였다. 한편 척도의 기준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척도의 하위요인별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기준(criterion)을 선정한 후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통해 각 하위요인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는데, 모든 분석에서 유의미한 상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그리고 척도의 활용 방안 등이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