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aged 50's-60'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방사선 치료 시 환자 Set-up Line 개선을 통한 암환자 삶의 질 만족도 향상 (Improvement of patient's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patient's set-up line in radiotherapy)

  • 최진혁;안우상;이우석;김대용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185-189
    • /
    • 2018
  • 목 적 : Set-up Line을 유지하면서 치료 중 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삶의 질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8년 1월 본원에 내원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반복되는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불편사항을 조사하였다.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치료 중 씻지 못하는 것에 대부분 불편함을 호소하였고(64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Set-up Line 위에 외과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치료 기간 중 환자분이 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한 환자 총 50명을 대상으로 5점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1점 매우 불만족한다, 2점 불만족한다, 3점 보통이다, 4점 만족한다, 5점 매우 만족한다). 50명 중 40명은 치료를 처음 시작한 환자를 대상으로, 10명은 치료 진행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 과 : 1차 설문조사에 응한 환자의 성별은 여성 68 %, 남성 32 %이였으며, 나이는 50대 이하 34 %, 50~60대 38 %, 60대 이상이 28 %로 나타났다. 치료부위는 유방 57 %, 흉부 13 %, 골반부 10 % 등으로 나타났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 후 2차 설문조사한 결과 치료를 시작한 환자 40명 중 여성 25명, 남성 15명으로 조사되었고, 치료부위는 유방 22명, 골반부 18명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기준의 만족도에서 1-3점이 5명, 4-5점이 35명(1점 2명, 2점 2명, 3점 1명, 4점 17명, 5점 18명)으로 매우 만족 45 %, 만족 43 %로 나타났다. 치료를 진행 중에 적용한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10명 중 여성 9명, 남성 1명으로 조사되었고, 치료부위는 유방 8명, 골반부 2명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기준의 만족도에서 1점이 1명, 5점이 9명으로 90 %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 방사선 치료 시 정확성도 중요한 만큼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 후,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88 %, 치료 진행 중 적용한 환자의 90 %가 만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진행 중 적용한 환자에게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모든 환자에게 적용이 어렵다면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암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을 판단된다.

  • PDF

Clinical Outcomes and Cost-Effectiveness of Osteoporosis Screening With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 Chiao-Lin Hsu;Pin-Chieh Wu;Chun-Hao Yin;Chung-Hwan Chen;King-Teh Lee;Chih-Lung Lin;Hon-Yi Sh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2호
    • /
    • pp.1249-125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and cost-effectiveness of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for osteoporosis screening. Materials and Methods: Eligible patients who had and had not undergone DXA screening were identified from among those aged 50 years or older at Kaohsiung Veterans General Hospital, Taiwan. Age, sex, screening year (index year),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 of the DXA and non-DXA groups were matched using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for propensity score analysis. For cost-effectiveness analysis, a societal perspective, 1-year cycle length, 20-year time horizon, and discount rate of 2% per year for both effectiveness and costs were adopted in the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ICER) model. Results: The outcome analysis included 10337 patients (female:male, 63.8%:36.2%) who were screened for osteoporosis in southern Taiwan between January 1, 2012, and December 31, 2021. The DXA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than the non-DXA group in terms of fragility fractures (7.6% vs. 12.5%, P < 0.001) and mortality (0.6% vs. 4.3%, P < 0.001). The DXA screening strategy gained an ICER of US$ -2794 per quality-adjusted life year (QALY) relative to the non-DXA at the willingness-to-pay threshold of US$ 33004 (Taiwan's per 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The ICER after stratifying by ages of 50-59, 60-69, 70-79, and ≥ 80 years were US$ -17815, US$ -26862, US$ -28981, and US$ -34816 per QALY, respectively. Conclusion: Using DXA to screen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for osteoporosis resulted in a reduced incidence of fragility fractures, lower mortality rate, and reduced total costs. Screening for osteoporosis is a cost-saving strategy and its effectiveness increases with age. However, caution is needed when generalizing these cost-effectiveness results to all older populations becaus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mainly of women.

율동적 동작(Dance movement) 훈련이 노년기 여성의 생리,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in Korean Elderly Women)

  • 전미양;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3-852
    • /
    • 1996
  • Regular long term dance movement could be one of ways to induce improvement of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foc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in Korean elderly women. Thirty four subjects, aged between 65 and 75years who have normal cognition, sensory function, cerebellum function, cardiovascular func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nteen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E-elderly university in Kyung Gi province, and Seventeen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N-welfare facility in Seoul City. Seventeen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for 12weeks dance movement program.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by the author. The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50minutes of dance, 3times a week for 12weeks. During 50minutes workout, there were 15minutes of warm-up dancing, 25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10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at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The body weight, body fat, lean body mass, muscle strength(grip strength, leg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resting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articipants in dance movement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subjective feeling following 12 week's regular dance movement.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f change, X²-test, t-test, and ANCOVA test using SPSS PC/sup +/ program. Subjective feeling was categorized into cognito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body weight (F=15.52, p=.000), body fat (F=18.33, p=.000) and lean body mass (F=7.28, p=.011)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2) The leg strength (F=30.96, p=.000), muscle endurance (F=9.06, p=.005), agility(F=44.92, 000), flexibility(F=6.84, p=.014)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rip strength(F=.43, p=.515)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3) The heart rate(F=26.96, p=.000), systolic (F=10.40, p=.000) and diastolic(F=3.99, p=.005) blood pressure at 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4)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ore of depression (F=3.49, p=.071) was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5) Score of life satisfac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llowing 12weeks of dance movement training (p<0.05). 6)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following the training were positive. "I feel good" was the most frequent among cognitopsychological responses and "I feel lightness of body" was the most freque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training can improve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of Korean elderly.

  • PD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Cervical Cancer among Rural Community Women in Northeast Thailand

  • Mongsawaeng, Cholticha;Kokorn, Nawaporn;Kujapun, Jirawoot;Norkaew, Jun;Kootanavanichpong, Nusorn;Chavenkun, Wasugree;Ponphimai, Sukanya;Kaewpitoon, Soraya J;Tongtawee, Taweesak;Padchasuwan, Natnapa;Pengsaa, Prasit;Kompor, Pontip;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85-88
    • /
    • 2016
  • Background: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malignancy among women worldwide, and women of reproductive age in Thailand. However, information on the behavior regarding cervical cancer in rural community Thailand is sparse. Objective: To assess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cervical cancer (CC) among rural community women in Nakhon Ratchasima, Thailand, using predesigned structured questionnaires.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8 villages of Non Sung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during January to April 2015. Bloom's taxonomy was used as a framework for the study. 265 women aged between 30-60 years old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All participants completed predesigned questionnaires with 4 parts: demographic data,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cervical cance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in the age group of 41-50 years old (42.6%) with senior secondary school level of education (32.1%), marriage status (85.0%), agricultural employment (59.6%), and family income between 6,000-10,000 baht per month (54.3%). Some 63.4% and 68.7% participants had high knowledge and moderate level of attitudes regarding CC, while 41.1%, 48.7%, and 10.2% had neem regularly, irregularly or never screened for CC, respectively. The main reasons for not screening were were shyness (44.4%) and no time (55.6%). Vaginal discharge and itching were the common signs and symptoms of participants who were screened at a health promotion hospital of sub-district. Conclusions: CC is still a health problem in the rural community. Therefore,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particularly for those who have never undergone screening.

Intentions to Undergo Lung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Men

  • Cam, Nhung Bui;Lee, Yoon Young;Yoon, HyoJoong;Suh, Mina;Park, Boyoung;Jun, Jae Kwan;Kim, Yeol;Choi, Kui So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93-6298
    • /
    • 2015
  • Opportunistic screening for lung cancer is commonly conducted in Korea in accordance with physician recommendations and screenee's preferences. However, studies have yet to thoroughly examin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the risks posed by lung cancer scree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changes in intentions to undergo lung cancer screening in response to being informed about exposure to radiation during low-dose computed tomography (LDCT) tests and to identify factors with the greatest influence thereon among Korean men. We conducted sub-group interviews among men chosen from the 2013 Korea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KNCS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of men aged 40 to 74 years and women aged 30 to 74 years. From 4100 participants in the KNCSS, 414 men who underwent any cancer screening test within the last 2 years were randomly selected for inclusion in this study. Via face-to-face interviews, their intentions to undergo lung cancer screening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being informed about exposure to radiation during LDCT testing. Of the 414 participants, 50% were current smokers. Aft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benefits of the test, 95.1% stated an intention to undergo screening; this decreased to 81.6% after they received information on the harms of the test. The average decrease in intention rate was 35.3%. Smoking status,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were not associated with lowered intentions to undergo lung cancer screening. Participants who were older than 60 years old (OR=0.56; 95% CI= 0.33-0.96) and those with less concern for radiation exposure (OR=0.56; 95% CI=0.36-0.89) were less likely to lower their screening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educate both non-smokers and former smokers on the harms of lung cancer screening.

한국 성인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mong Korean adults)

  • 안서은;전신영;강민지;신상아;위경애;백현욱;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4호
    • /
    • pp.313-324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성인 614명의 3일치 식사조사 자료를 한국인 상용식품의 항산화 비타민 함량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항산화 비타민(비타민 A (${\mu}g$ RE, ${\mu}g$ RAE), 레티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비타민 E)의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항산화 비타민 섭취밀도에 따라 대상자를 3분위로 나누어 대사증후군 및 그 위험요인의 오즈비를 계산한 결과, 남성에서 레티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낮았으며, 여성 대상자에서도 레티놀의 섭취 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중간 및 높은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낮았다. 또한 남성 대상자에서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고혈당의 오즈비가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여성 대상자에서는 비타민 A (${\mu}g$ RE)의 섭취밀도가 높은 그룹의 복부비만 오즈비가 섭취밀도가 낮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 성인에게서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항산화 비타민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 또는 개입연구가 실시되어 인과관계를 더욱 명확히 파악하게 된다면, 대사증후군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식생활 관련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년전과 비교한 한국청년의 미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ile of Korean Youth compared with twenty years ago)

  • 범승균;정지혜;김태영;이경은;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2-168
    • /
    • 2012
  • 연구 목적: 일반적으로 치아는 미소 지을 때 가장 많이 노출되며, 미소 시에 나타나는 치아와 연조직과의 관계 등은 심미적인 보철 수복에 있어서 중요한 지침이 된다. 본 연구는 20년 전 한국 청년들의 미소와 현재 한국 청년들의 미소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신체적인 발육 상태가 정상적이고 전신적 또는 유전적 질환이 없으며, 안모가 양호하고 치아의 결손이 없으며 교정 및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교합상태가 비교적 정상적인 20-29세 사이의 청년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Cephalometer에 사용되는 두부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F-H plane이 지면에 평행하도록 한 후, 35 mm 카메라(400D. Cannon, Japan), 120 mm 렌즈 그리고 삼각대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midsagittal plane에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맞추고 상악 중절치 절단과 렌즈와의 거리를 930 mm로 하여 안정위 및 full smile 시의 안모 정면 사진을 3회씩 촬영하였다. 1991년 윤 등이 촬영한 대학생 240명 중 무작위로 선택한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의 미소사진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 및 V-ceph 6.0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Hulsey의 미소 계측 방법을 참고로 하여, 상순의 형태, 상순과 치아와의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평행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접촉 관계, 미소시 나타나는 치아 등을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치과의사 10인이 남,녀 각 2회씩 미소에 대한 미적평가를 시행하여 미소평점을 기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는 형태의 미소가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인 반면 입 꼬리가 아래로 처지는 형태의 미소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 요인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 박은옥;최수정;이효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1호
    • /
    • pp.1-1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IDF 기준에 의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0년 제5차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670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SAS 9.2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시 복합표본설계를 이용하여 표본추출한 자료에 적용하는 SAS 명령어를 사용하였으며, 표본 추출률을 반영한 설계가중치, 무응답률, 사후 층화, 극단 가중치 처리단계를 거쳐 최종 산출된 개인가중치를 모두 적용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생활습관, 가족력 등에 따른 모집단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추정치와 집단간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비 추정치와 이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8.8%였다. 인구학적 특성별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살펴보면, 남성 16.8%, 여성 20.7%였다. 20대 연령은 4.5%, 70대는 43.1%로 연령이 많을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인 경우 38.0%, 대학교 졸업은 12.9%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 전문관리직인 경우에 12.8%, 농업 및 단순 노무직인 경우 20.4%, 무직인 경우 21.8%로 직업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차이가 있었고, 미혼인 경우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5.5%로 가장 낮고, 이혼 또는 별거인 경우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40.6%였다. 알코올 의존문제가 있는 경우 23.6%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보였고, 체질량 지수가 25이상인 경우에 대사증후군은 43.7%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살펴보면, 여성의 교차비가 1.59(1.20-2.11), 20대 연령집단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50대의 교차비가 3.95(2.11-7.37), 60대는 5.62(2.98-10.61), 70세 이상은 10.56(5.25-21.25)으로 나타났다. 초졸 학력에 비해 고졸학력의 교차비가 0.52(0.37-0.74), 사무직이 전문직과 비교하여 2.14(1.27-3.60), 기혼자에 비해 이혼하거나 별거중인 군의 교차비가 1.72(1.15-2.59), 알코올 의존문제가 있는 경우 교차비가 1.86(1.16-2.98), 비만군이 정상 체중군과 비교하여 14.08(10.62-18.70)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 외에 다른 요인들에 의한 대사증후군 유병위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IDF 기준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파악하고, 교차비를 산출하여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인구집단에 더 적합한 진단기준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단면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므로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은 시간적 전후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 전향적 조사 자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생활습관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할 것을 제안한다.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Patterns of Ceremonial Foods for Middle-aged Residents in Ganghwa)

  • 김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465
    • /
    • 2008
  • 강화 지역의 전통음식, 시절식과 12달 동안의 절기식 및 출산시, 삼칠일, 백일, 돌, 화갑, 혼례 등의 통과 의례 음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화에서 20대 전후부터 거주하여 30년 이상 계속 거주한 50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기식은 정월대보름(87.5%), 추석(84.4%), 정월초하루 설날(79.8%), 동지(77.4%)로 주로 농사와 관련된 명절이 우세한 것으로 보였다. 통과 의례 음식 중 돌상은 86.4%가 차렸으며, 백설기, 수수팥떡, 송편, 인절미, 과일, 잡채 등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이 낳은 산모에게 쌀밥과 미역국을 대접하는 경우가 367명(96.1%)이었다. 생일상을 집에서 차리는 경우는 256명(67.0%), 차리지 않는 경우는 126명(33.0%)이었다. 차리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는 38.2%, '귀찮아서'는 19.4%로 57.6%를 차지하였다. 폐백상차림은 육포(닭), 대추, 밤이 기본적인 음식이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경우는 120명(31.4%)이었다. 제사를 장남집에서 모신다고 한 경우는 53.4%이었으며, 제사가 필요한 이유는 관습대로 지키는 것보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더 많았다(p<0.05). 제사 음식은 주로 천주교는 친정어머니(66.7%)에게서 배우고, 불교는 37.9%, 유교는 54.5%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워 종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임신 중 금기 식품은 개고기, 게장, 꽃게, 닭고기, 오리고기, 토끼고기, 팥죽, 팥밥, 커피, 모난 것, 물렁뼈가 있는 것, 불결한 모양, 비늘 없는 생선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의례 행사가 많이 변형되고 쇠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지역의 축제나 전시회, 품평회,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한 홍보 활동 등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야 하겠다.

  • PDF

대전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로 내원한 돌발성 난청 환자 특성 분석 -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 (A Clinical Analysis on Outpatients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at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1 -)

  • 최윤영;변정아;백종찬;황미리;안재현;정현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46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utpatients who visited for treatment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 of Daejeon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1st, 2013 to December 31th, 2021.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tpatients who visited for treatment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 of Daejeon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January 1st, 2013 to December 31th, 2021. according to year, season, gender, age, clinical symptoms, number of visits and initial degree of hearing loss.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cal records of 194 patien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showed a gradual increase from 2014 to 2021 and spring was highest in season. Acc ording to gender, women visited more than men and the age group that visited the most was middle-aged, including 40s and 50s. 2. Patients experienced 13 symptoms and the average number was 4.06. In the analysis of the major symptoms according to gender, hyperacusis and headache were found to be more common in female. 3. The average of initial hearing loss was 52.54dB and was higher in male. The loss was relatively higher in 60s or older than in the younger age group. Conclusions : If treatment and management methods that reflect these symptoms are develop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greatly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