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2초

Trends in Nursing Research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South Korea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 Choi, Jun-Hwa;Choi, Eun-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1호
    • /
    • pp.25-4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South Korea. Methods: The period for data search was set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The major search terms used were advance directives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he 492 records identified in the initial search, 461 articles were excluded for various reasons. A total of 31 records were included in the final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ixteen studies had nursing students as study subjects, while nine studies had nurses as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employed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s as their research design. The major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studies were as follow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nd nurses' attitude toward life support care. Most of the studies reviewed concluded that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ignificantly impacted both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perceptions of a good death. Conclusion: To date, Korea still lacks extensive nursing research concerning life support ca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for nursing ethics and life support care,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a specialist course. Furthermor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support systems and policy measures. In particular, since nurses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providing life support care, nurses' roles should be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한국 중년층의 사전연명의료의향 의도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Advance Directive Intent among a Korean Group in their Middle-Age)

  • 정영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5-72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verif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dvance directive intent among a Korean group in their middle-ag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1 and 30, 2017, from 398 people. The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consisted of elderly parents' care burden,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s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dvance directive efficacy, and advance directive int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and Mplus 7.4.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χ2=223.79(df=109, p<.001), CMIN/df=2.05 CFI=.96, TLI=.96, RMSEA=.05, SRMR=.06. Elderly parents' care burden and health statu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with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β=.17, p=.001; β=.21, p<.001) and advance directive efficacy(β=.11, p=.040; β=.19, p=.002), respectively.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 directive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dvance directive intent(β=.15, p=.007; β=.48, p<.001). Elderly parents' care burden and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dvance directive intent through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β=.01, p=.041; β=.05, p=.036) and advance directive efficacy(β=.06, p=.049; β=.16, p=.006), respectively. The variables accounted for 26.1% of advance directive intent of the Korean group in their middle-a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based on variables affecting advance directive intent for individuals in their middle-age.

연명의료 중단과 진료비채무에 관하여 - 대법원 2016.1.28. 선고 2015다9769 판결 -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edical Expenses Obligation - The Supreme Court of Korea 2016.1.28. 2015Da9769 -)

  • 이재경
    • 의료법학
    • /
    • 제18권2호
    • /
    • pp.139-161
    • /
    • 2017
  • 이 글은 대법원 2016.1.28. 선고 2015다9769 판결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 사건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이전의 판례에서 대법원은 객관적 요건으로 회생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와 주관적 요건으로 환자의 동의가 충족되면 의료계약이 해지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환자의 동의는 의료계약 해지에 관한 동의가 아니다. 환자의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는 법률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사실행위이다. 만약 연명 의료의 중단에 관한 환자의 추정적 의사가 의료계약의 해지의 의사라면, 의료계약은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 제기시에 종료하여야 한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의료계약이 일부 해지되었다고 하면서도 진료비채무는 연명의료 허용에 관한 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면제된다고 하였다. 이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연명의료의 중단이 허용되면 의료급부 제공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부분 진료채무가 면제된다. 급부의 불능은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는 때에 확정된다. 따라서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은 때부터 연명의료에 대한 진료비채무가 면제된다고 한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다만 그 근거는 의료계약의 일부해지가 아니라 일부불능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경남;강은희;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29-43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좋은 죽음 인식, 삶의 의미에 대한 태도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P시에 있는 1개의 간호학과 재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01일부터 5월 11일까지 2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의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266, p<.001), 좋은 죽음 인식(r=.373, p<.001), 삶의 의미(r=.122, p=.037)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의미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294, p<.001), 좋은 죽음 인식(r=.230,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좋은 죽음 인식은 생명의료 윤리의식(r=.30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생명의료 윤리의식(${\beta}=.16$, p=.004), 좋은 죽음 인식(${\beta}=.32$,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를 16.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는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반복적 연구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자기결정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elf Determination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김현숙;장혜경;신성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34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fo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201 elderly were recruited from a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Korea.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8, 2015. Four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Life Satisfaction Index-Z (LSI-Z), Attitude on Do Not Resuscitate (DNR), and Self-determination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ata analysis was done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factors predicting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educational level, DNR experience i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DNR attitude. These factors explained 44% of the self-determination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iming at changing elderly's DNR attitude positive ways so that they can enhance self-determination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Further study is needed with more elderly population in extended areas.

청소년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olescents)

  • 이인숙;김경자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2-9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LST) i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85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tests,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WLST and respect for life (r=-.188, p=.010). Knowing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β=-0.30, p<.001), experience of WLST education (β=0.21, p=.003), experience of respect for life education (β=-0.16, p=.021), and experience of death (family or acquaintance) (β=-0.13, p=.039) explained 16.7% (F=8.39, p<.001) of the variance in attitudes toward WLST. The respect for life did not affect attitudes toward WLST (β=-0.07, p=.347).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WLST in adolescents is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for sound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WLST in adolescents.

일개 도시주민의 품위 있는 죽음 태도에 대한 예측 요인 (Predictive Factors for City Dwellers' Attitudes toward Death with Dignity)

  • 조계화;안경주;김균무;김연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193-204
    • /
    • 2012
  • 목적: 본 상관관계 연구는 품위 있는 죽음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일개도시 성인 남녀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는 한편,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일개 대도시 중 3개 마을의 성인남녀 총 291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 문항에는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품위 있는 죽음 척도에 대한 태도 등을 포함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명치료중단 및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r=0.49, P<0.001)를 보였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연령, 종교, 연명치료중단의 적절한 프로세스 및 사전의료의향서(Advanced Medical Directives) 등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의 중요한 예측 변수들로, 총 분산의 49.3%를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연명치료중단 및 사전의료의향서 프로세스 상에서 간호사의 적절한 역할 등 새로운 의학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 김미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3-39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nd to 27th, 2019.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63 nurses who were working for at least 6 months from 7 long-term care hospitals in B and K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 WIN v 21.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good death (r=.46, p<.001) and perception of patients' rights (r=.32, p<.001).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awareness of good death (β=.35, p<.001) and their own view of death (β=.24, p=.001), which explained about 27.0% of the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establish values for deaths, and cultivate legal and ethical knowledge related to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dition, since the severity of a patient's condition va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hospital, a study is needed on the relevance of variables considering the hospital environment.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od death cognition, self esteem,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 박효진;양현주;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71-7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2.87±0.2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t=-2.9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좋은 죽음 인식(r=.27, p=.001), 자아존중감(r=.36,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r=-.27, p<.001)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β=.26, p<.001), 자아존중감(β=.29, p<.001),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β=-.30, p<.001), 종교(β=.20, p=.004)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Factors Influenc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tiary General Hospital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wareness of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 제남주;화정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92-103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