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Lighting Contro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2초

가로등 전용 누전 개폐기의 차단효과에 대한 고찰 (Characteristics of Street Lamp Controller with Earth Leakage Contactor)

  • 이성재;신재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3-283
    • /
    • 2010
  • Smart street light controller is a product with advance micro controller base for energy saving in conventional street lighting systems. Intelligent Street light controller are specially developed for automation and energy saving in conventional street light systems and lighting systems. It is so designed that it operates on sunrise & sun set timings according to longitude of particular location with facilitate to set month wise civil twilight timings to cope up with all seasons. Dimming (Power down) mode selection switch on/off at fixed times with relay or contactor. Night dimming, staggering and intelligent control reduces burn hours and increases the lifetime of lamps with about 30% and low annual operating cost type base are among the most inexpensive wireless technologies available. Low initial costs As PLC wireless, there is no need to establish cable connection.

  • PDF

Bluetooth BLE를 활용한 LED 조명 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 (LED Lighting Monitoring System Using Bluetooth BLE)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67-372
    • /
    • 2017
  • LED 조명은 IT융합 시대로의 진화에 따라 단순조명에서 인간중심화 및 다기능화 시스템 조명으로 발전하였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센서기능, 통신기능 등의 IT기술과 응용소프트웨어와의 융합을 통하여 사용 환경 변화에 따른 조명 제어로 에너지가 절감되고 빛의 세기와 색 조절 등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조명이 요구 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화된 시스템 조명을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의 센서 적용 및 제어가 가능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관제를 위한 유무선 통신 플랫폼 및 관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LED 조명 관제 시스템은 Bluetooth 매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LED 조명 제어, LED 조명 상태 모니터링,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에너지 피크점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한 유무선 통신 플렛폼과 관제시스템을 통해 LED 조명의 수명 연장 및 에너지 절약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구성형 주변장치유닛을 사용한 유무선 LED 조명 통신 (Wired/Wireless LED Lighting Communication Using Reconfigurable Peripheral Unit)

  • 유세훈;공정철;김기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07-41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 통신을 위한 재구성형 주변장치유닛을 제안한다. 조명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장치에서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로는 UART, SPI, IrDA 등의 직렬 통신, DALI나 DMX512와 같은 조명제어 통신이 있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요구사항을 각 IP로 개별 구현하여 만족시킬 경우 비용 및 전력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프로토콜의 신호 형식을 분석하여 UART, SPI, IrDA, DALI, DMX512의 통신 기능을 통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재구성형 주변장치유닛은 개별 구현 방법에 비해 57% 감소된 양의 게이트수를 사용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조명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매핑테이블 기반의 DALI-ZigBee 인터페이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DALI와 ZigBee를 혼용한 다양한 구성의 조명 네트워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LED 조명시스템 플랫폼을 구성하여 유무선 조명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재구성형 주변장치유닛과 DALI-ZigBee 인터페이싱 방법은 유무선 조명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에 아두이노 윤과 클라우드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rduino Yun and Cloud in IoT)

  • 쉬하오;김철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983-988
    • /
    • 2016
  • 사물인터넷이란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은 클라우드를 통해 연결 있다. 새로운 ICT기술로 LED조명과의 결합을 통해 획기적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인간중심, 친환경, 그리고 사용자 요구환경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내장된 다기능 솔루션을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추어 실시시간으로 제공하는 산업간, 기술 융합형 시스템화되 차세대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중심으로 스마트 기기와 클라우드를 활용한 LED조명 제어 시스템구축과 관련하여 무선을 통한 아두이노 윤보드 연결에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로 클라우드를 통해 LED조명이 켜지거나 혹은 꺼지는지를 관해서 개발 하였다. 아두이노 윤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후, 현재 날짜와 시간정보를 리눅스 쉘 명령을 통해 취하고 그 값을 브리지(BRIDGE)를 통해 오는 방법을 사용했다.

재실 감지 센서를 이용한 다용도 스마트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mart Sensor Using Presence Sensor)

  • 차주헌;용흥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3-109
    • /
    • 2015
  • This paper introduces a multi-purpose smart fusion sensor. Normally, this type of sensor can contribute to energy savings specifically related to lighting and heating/air conditioning systems by detecting individuals in an office building. If a fire occurs, the sensor can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residents in the building to a management center. The system consists of four sensors: a thermopile sensor for detecting heat energy, an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objects from the sensor,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 passive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emperature change. The system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rovide the management center with control information for lighting and heating/air conditioning systems. We have also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by applying it to a real environment.

맨체스터 코드의 부반송파 변조를 이용한 가시광통신의 조명제어 (Dimming Control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Subcarrier Modulation of Manchester Code)

  • 이성호
    • 센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1-197
    • /
    • 2019
  • In this study, we propose a dimming control method for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 in which the subcarrier on-off keying (OOK) modulation of Manchester code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VLC transmitter, non-return-to-zero (NRZ) code data is transformed to Manchester code, which is OOK modulated with a subcarrier. Manchester code is used for flicker-free lighting; the duty factor is changed for dimming control, and the subcarrier is used for preventing the adjacent noise light interference. In the experiments, the dimming control was carried out from about 8%-92% of the continuous wave (CW) LED light. This configuration is simple and effective in constructing a VLC system for indo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flicker-free illumination and dimming control capability without adjacent noise light interference.

Illumination Control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Manchester Code with Sync-Mark Signal

  • Lee, Seong-Ho
    • 센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9-155
    • /
    • 2020
  • In this study, we employed Manchester code for illumination control and flicker prevention of the light-emitting diode (LED) used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 In the VLC transmitter, the duty factor of the Manchester code was utilized for illumination control; in the VLC receiver, the spike signal from an RC-high pass filter was utilized to recover the transmitted signal whilst suppressing the 120-Hz noise arising from adjacent lighting lamps. Instead of the clock being transmitted in a separate channel, a syncmark signal was transmitted in front of each data byte and used as the reference time for transforming the Manchester code to non-return-to-zero (NRZ) data in the receiver. In experiments, the LED illumination was controlled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2-84% of the constant wave (CW) light via changing of the duty factor from 10% to 90%. This scheme is useful for constructing indoor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LED light that is flicker-free and presents capability for illumination control.

Modbus TCP를 이용한 선박용 무선 LED 제어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less Lighting LED Controller using Modbus TCP for a Ship)

  • 정정수;이상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95-400
    • /
    • 2017
  • Modbus는 각종 자동화 장비 감시 및 제어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발적 산업표준 통신 프로토콜이다. 그러므로 선박, 빌딩, 기차, 비행기 등 Modbus를 이용하는 모든 장비들과 연결이 가능하여 환경변수의 측정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기존의 Modbus는 Serial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Modbus TCP는 오늘날 인터넷 프로토콜로 가장 많이 쓰이는 TCP/IP를 기반인 Ethernet 통신을 이용하므로 Serial 통신에 비해 빠르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환경에 연결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Modbus TC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Wi-Fi 환경에서 LED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외부 환경요인 확인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LED 제어기 회로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외부 환경요소인 온도, 습도, 전류, 조도 값들은 센서를 통해 제어기로 받아들이며 이 값들은 Modbus 프로토콜을 통해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알리게 된다. Modbus는 TCP 통신으로 Master 기기와 연결 되어 온도, 습도, 전류, 조도 상태 모니터링 및 LED 출력 값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원격으로 RGB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색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제작한 제어기의 구현 확인을 위해 모의 선박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온도, 습도, 전류, 조도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원격으로 RGB 값을 변경 하여 제어기의 LED 조명색상이 변화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Bluetooth와 Smartphone을 이용한 LED 디밍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ED Dimming System Using Bluetooth and Smartphone)

  • 양우석;김혜명;조영식;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64-68
    • /
    • 2015
  • In this paper, LED lighting system is realized by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s and smartphones. A bluetooth module with a lighting control function is manufactured by miniaturizing a development board of TI company and the volume of LED dimming system as a whole is reduced. And a trial product is materialized by designing a hardware composed of the manufactured bluetooth module, LED down light equipped with degree warm white and cool white, and 2-channel LED driver; and LED dimming software. The materialized trial product is controled in terms of the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 source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users can easily control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LED light source by using the scroll bar of the applications of smartphones. In addition, the color temperatures of both warm white and cool white can be controlled, and when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trial product using the manufactured bluetooth module is compared with that of a trial product of TI company, they show the same color temperatures.

Z-Wave Mesh Network 방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용 통합 디밍스위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gration Dimming Switch for Home Network Using Z-Wave Mesh Network)

  • 황기현;설재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98-1206
    • /
    • 2011
  • 본 논문에서 개발한 Z-Wave Mesh Network 방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통합 디밍스위치는 현재 홈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설치가 되고 있는 네트워크 방식의 스위치로써, 조명스위치 사용에 대한 시공자 설비의 편의성,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제공과 동체감지센서 및 광세기 검출센서를 이용한 조명의 효율적 제어를 통한 전력절감 효과가 기대되는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지능형 통합디밍 조명스위치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통합 디밍스위치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시스템을 구현하였고, 부하성능 평가, 조명제어, 통신속도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