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Lighting Contro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1초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 (An Efficient Control Sy7stem for Intelligent LED Indoor Lighting)

  • 홍성일;윤수정;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35-24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은 스케줄 정의에 의한 조명 스타일과 재실 감지에 의한 조명 스타일에 PIR 센서와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주광강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시켜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점등제어를 하고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재실감지에 의한 실내조명 점등제어는 PIR 센서를 사용하여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고, 창측과 내측의 불필요한 조명 밝기 제어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광의 수준을 측정하여 제어하였으며, 주광 유입량이 많은 경우 창측 조명은 자동으로 어두워지고, 적으면 조명이 자동으로 밝아지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결과, 외부 조명이나 주광이 조금이라도 실내로 유입되면 실내조명의 밝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Bluetooth 무선 통신과 전류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고전력 LED 등기구의 무선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Control System for High Power LED Luminaire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urrent Control System)

  • 이완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72
    • /
    • 2016
  •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은 LED 조명의 효율적인 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IT 기술과 LED 조명을 결합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무선통신, 센서 기술 및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LED 조명 제어 회로는 퍼지 정전류 제어 회로에 온도센서, 조도센서 및 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LED 방열판의 발열 온도 $70^{\circ}C$를 기준으로 LED 등기구 공급 전류를 최적화하여 LED 손상 방지 및 수명을 연장하고 LED 등기구 주위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ON/OFF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Bluetooth 무선통신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을 개발하여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LED 등기구 상태 확인 및 디밍제어등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다중 프로토콜 기반의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 구현 (An Efficient Hybrid Lighting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on Multi Protocol)

  • 홍성일;인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50-55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프로토콜 기반의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 구현을 제안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은 조명기기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 표시부와 데이터 변환 및 처리부, 게이트웨이의 통신부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DB를 설계하였고,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및 스케줄을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명관리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결과, 스마트 기기 및 포터블 PC 등과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조명제어가 가능하였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감 및 전기료 감소, 통신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Case Study on the Role of LED Lighting at the Residential Space

  • Kim, Hye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6-12
    • /
    • 2016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odern people became to require not only more convenient life but also more comfortable and emotional environment, and individually suitable living environment is applied to residents in a residential space. Recently, while the LED lighting was variously attempted in every sector in society, it is needed to express differentiated lighting according to the resident's individual lifestyle in a residential spac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ole of LED lighting suitable for the digitalized lifestyle of the modern people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ie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in summary of the rapidly changed recent trends of LED lighting. First, LED light replace existing light sources due to the advanced new technology in LED industry, and take the spotlight as a new lighting solution with the development of variable color LED bulb and the control technology by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econd, LED lighting can be structurally applicable to every lighting device because of its compact and lightweight units, can produce abundant light environment by expression of variable colors and moods with the easy coloring and dimming control, can be reborn as emotional lighting design. Third, as recently practices are constantly appeared that integrate LED lights in the interior elements, such as object and furniture, and combine advanced LED lighting technology to new materials, the portion of illumination on the indoor environment is further increased after integrating the LED lighting and interior elements make boundaries of lighting and product architecture become blurred. LED lighting is confirmed that is being changed from the external functionality including material, shape, color, and etc. into the contextual emotion design including the lights expression, variable color, brightness control, making image, and etc. as the light source in current smart lighting era.

USN기반 참여형 조명에너지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USN-based Collaborative Lighting Energy)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53
    • /
    • 2013
  • 현재 조명의 효율화 및 제어시스템 개선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조명자체의 고효율화와 조명제어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추구하는 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조명시스템에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 대비 약 50% 이상의 고효율 조명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LED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USN을 활용해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디머 와 스마트 스위치를 적용한 LEMS(Lighting Energy Management System)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킹 장치 및 시스템 S/W를 통해 실내외 조명 및 경관 조명을 포함한 특수 목적 등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제어 한다. 본 시스템은 LED조명의 Digital System Lighting을 통한 USN 원격통합제어기능 및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하여 실내외의 조명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하고, 웹 또는 스위치를 통해 조명 에너지 사용량을 사용자가 측정하여 조명 사용량을 피드백 할 수 있게 하는 참여형 시스템이다.

LED를 사용한 무대 표현 기술 확장을 위한 디지털 의상 플랫폼 (Digital Costume Platform for the Expansion of Stage Representation Technology using LEDs)

  • 오승원;한민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2-59
    • /
    • 2012
  • 최근 LED는 조명, 광고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공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대 의상에 LED 기술을 융합시키는 방법을 다룬다. 우리는 공연 환경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임베디드 시스템, 컨트롤 재킷, 디지털 스킨, 패턴저작도구로 구성된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제안하며, 이것은 LED 조명 효과를 가진 디지털 의상을 만드는데 활용된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LED 빛의 색 변화를 제어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끼 형태의 컨트롤 재킷은 임베디드 시스템과 LED를 연결하는 커넥터 역할을 하고, LED가 디자인된 외피 개념의 디지털 스킨은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의상에 디자인된 LED에 의해 그 자체로 발광체가 된다. 패턴저작도구는 타임라인 기반으로 LED 빛의 색이 변화하는 다양한 패턴들을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디지털 의상은 새로운 형식의 움직이는 조명으로 활용되며 무대 표현 기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는 디지털 의상 플랫폼을 적용한 디지털 의상을 제작하여 실제 공연에서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의상 플랫폼의 안정적인 사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가시광통신 시스템에서 조명/통신 기능을 위한 효과적인 Dimming level control 기법 (Dimming Level Control Technique for Lighting / Communication Functions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이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53-15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통신시스템에서 조명과 통신의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Dimming level control 기법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OOK와 RZ-OOK변조 방식의 경우, 연속적인 Burst Zero Duration이 발생하면 조명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이는 조명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열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시스템의 Dimming level특성을 분석하고, Dimming level을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 Illegal Pulse Insertion(IPI)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Dimming level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기존 변복조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플리커(flicker) 현상과 Dimming level 감소를 해결하여 조명과 통신 양쪽 모두의 QoS를 향상 시킬 수 있다.

PAN 기반의 LED 조명 제어 장치 개발 (The Development of LED Lighting Controller based on the PAN)

  • 엄우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호
    • /
    • pp.145-152
    • /
    • 2016
  • 전통적인 조명이 고효율 LED(Light Emitting Diode)로 빠르게 대체되고,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조명 제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N(Local Area Network)과 PAN(Personal Area Network) 기반의 유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LED 조명을 제어 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장치는 조명 설치의 복잡한 배선 작업과 설치 작업 비용을 절감하고, 필요한 곳만 선택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장치를 설계하여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개발된 LED 조명 제어 장치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IoL Field Gateway: An Integrated IoT Agent using Networked Smart LED Lighting Controller

  • Mariappan, Vinayagam;Jung, Soonho;Lee, Sangwoon;Cha, Jaesang
    • 정보와 통신
    • /
    • 제34권2호
    • /
    • pp.12-19
    • /
    • 2017
  • The LED technology advancement introduce cuttingedge technology on Internet of Things (IoT) to connect the physical world to the digital realm, using digital smart lighting infrastructure called Internet of light (IoL).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IoT agent on networked smart LED lighting controller called IoL Filed Gateway using lighting infrastructure in which a lighting system that can connect to a network and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from a centralized system or via the cloud. The IoL Field Gateway defines new world of smart connected intelligence, lighting can become an integral and responsive part of everyday human life environments. The proposed connected lighting gateway uses the concept of multi-hop ad hoc network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th RF wireless technologies and Wired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his connectivity and intelligence integrated into LED-based luminaires form the backbone of smart buildings and cities and make the Internet of Things (IoT) vision feasible and enables the lighting administrator can control numerous lightings easily and visitors can get visual information from the lightings with their smart devices. The proposed IoL gateway design is emulated on Arduino based HW platform with VLC, RF, and PLC connectivity and evaluated with four sensor interface.

지그비 메쉬 망 기반 스마트 u-LED 전력제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of Smart u-LED Lighting Energy based on Zigbee Mesh Network)

  • 김삼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7-83
    • /
    • 2013
  • 현재, 조명제어와 관리기술의 한계점은 유선으로 인한 시설비 과다, 운영의 어려움, 에너지낭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명기기에 무선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조명 정보 시스템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위한 통신 및 관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ED조명의 전력량 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융합하기 위해 전력 에너지 정보시스템 LEIS(Lighting Energy Information System)을 개발 했다. LEIS는 센서에 의해 지그비 메쉬망을 통해 수집된 전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조명의 사용에너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LEM(Lighting Energy Metering)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전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LEIS 웹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고 LEIS를 통해 에너지를 최적화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나리오 기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