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 resistance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33초

조경용 포장 중간층에 사용가능한 PP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연구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P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Binder Course in Landscape Paving)

  • 전형순;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2013
  • The mechanical properties appeared at the concrete mixed with Polypropylene fiber($1kg/m^3$, $3kg/m^3$, $5kg/m^3$) are compared with normal concrete and wire mesh one and evaluated. Achieved slump test to search effect that PP fiber gets to workability, even if the mixing amount of fiber increases, confirmed that slump value is no change almost. The no difference can be caused by hard mixture, but because of the big softness of fiber there is no effect greatly up to PP fiber mixing amount $5kg/m^3$ even with soft mixture. Compressive strengths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concretes with PP fiber and without the fiber are appeared almost alike. If examine load resistance ability by PP fiber mixing amount increase, it could know that the increase of fiber mixing amount improves load resistance ability and the toughness index is increased. While normal concrete is broken at the same time with crack, fiber mixed concrete stand in flexure load continuously after crack occurrence. In compare with wire mesh embeded concrete, wire mesh mixed concrete stands in some degree in flexure load by wire mesh crack occurrence and the test piece was broken at the same time. But, it could know that the PP fiber mixed concrete resist continuously to flexure load in bigger displacement.

세라믹 브라켓의 종류 및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각도에 따른 마찰 저항 차이 (Frictional resistance of different ceramic bracket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second order angulation between bracket slot and wire)

  • 최윤정;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7-217
    • /
    • 2006
  • 사회 문화적 발달과 함께 심미적 요구가 증가되면서 교정 환자 수의 증가와 함께 교정 치료 중의 심미성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 치료 중 심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세라믹 브라켓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라믹 자체의 취성(brittleness), 대합치의 마모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 높은 마찰 저항이 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 저항을 알아보고 그 개선방안을 찾는데 지침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로는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금속 슬롯이 삽입된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과 금속 슬롯이 삽우되지 않은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과 금속 브라켓을 이용하였으며, $.019{\times}.025$ 스테인리스 와이어를 브라켓 슬롯에 대해 $0^{\circ},\;10^{\circ}$의 각도를 부여하여 만능시험기상에서 이동시켜 그때의 정적, 동적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인 평균 마찰력은 금속 브라켓, 금속 슬롯이 삽입된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 순으로 증가하였다.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사이의 각도가 $0^{\circ}$일 때가 $10^{\circ}$일 때에 비해서 낮은 마찰 저항을 보였으며,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 사이의 각도가 $10^{\circ}$일 때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동적, 정적 마찰 저항은 금속 브라켓이나 금속 슬롯이 삽입된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에 비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통해서 금속 브라켓에 비해 세라믹 브라켓, 특히 금속 슬롯이 삽입되지 않은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 저항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브라켓 슬롯과 와이어간의 각도가 증가하면 마찰 저항도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세라믹 브라켓의 개발과 함께 교정 치료 시 과도한 치관 경사를 막음으로써 마찰 저항을 줄이고 심미성을 유지하면서 치료의 효율을 높이도록 해야할 것이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티타늄합금의 와이어 방전가공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of titanium alloy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 김종업;왕덕현;김원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0-933
    • /
    • 2001
  • Titanium Alloys used in this experiment has an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specific strength, and is the new material developed for medical supplies living goods. In this study the rolled titanium alloy is done by annealing, solution heat-treatment and aging and then is worked by wire EDM. With changing the process conditions, the process properties of surface hardness, surface roughness, shape of process surface and the analysis of ingredients are measured through experiment repeating main cut and finish cut. It is confirmed to gain good measure values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rocessing of wire EDM. In this experiment the phenomena of processing is studied and the appropriate process condition is proposed.

  • PDF

동피복 강 선재 인발 공정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pper Clad Steel Wire Drawing Process)

  • 김현수;김병민;조형호;조훈
    • 소성∙가공
    • /
    • 제14권2호
    • /
    • pp.147-15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al drawing die for the clad wire drawing process. Cu-clad wire, which has the advantages of the high strength of a steel core and the electro-conductivity, corrosion resistance of a copper layer, is widely being used in the field of the telecommunications, electric-electronic and military technology industries. It is important to obtain uniformly coated rate when producing clad wires. Drawing process of clad wire will be influenced on damage and coated rate of core and sleeve for process variables such as semi-die angle and reduction in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nite-element result obtain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to the effect of the various forming parameters, which included the semi-die angle and reduction in area. The coated rate will be predicted with observation of copper coated rate variation according to total reduction in area and the optimal pass schedule will be set up through proper reduction in area and semi-die angle variation.

나노구조 용사코팅층의 형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Formation of Nanostructured Coating Layer)

  • 김영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90-95
    • /
    • 2005
  • The wire-arc process is a low-cost thermal spray method simply utilizes electrical energy to melt the feedstock wire. It is more userful for field applications, especially to coat large surface area. In this paper, a special Fe-based alloy coatings by using the wire-arc process were developed. Nanoscale composite coatings were achieved either during spraying or through a post heat treatment. As-sprayed Fe-based alloy coatings had been an amorphous matrix structure, after heating to $700^{\circ}C$ for 10 minutes a solid state transformation occurred in the some fraction of amorphous matrix which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nanostructured recrystallized phas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field emo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were applied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of the coatings. Additionally hardness and bend resistance of the Fe-based alloy coatings were examined, an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artially stabilized zirconia(PSZ) coatings by using the plasma spray process.

  • PDF

내열성 에나멜 바니쉬 (Heat-resistant Enamel Varinish)

  • 김양국;배헌재
    • 공업화학
    • /
    • 제4권2호
    • /
    • pp.264-272
    • /
    • 1993
  • 소형화되는 전기, 전자 제품의 효율성과 신뢰성를 제고시키기 위해서 주요 부품인 마그네트 와이어의 내열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그네트 와이어의 내열성은 주로 에나멜 바니쉬로부터 형성되는 고분자 피막의 물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내열성 에나멜 바니쉬의 설계와 도막 형성과정이 와이어의 물성과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아울러 내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완성 와이어의 물성 평가방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PDF

2회선 배전계통에서 가공지선 접지 및 피뢰기 설치환경에 따른 뇌과전압 해석 (Analysis of Lightning Overvoltage with Earth of Overhead Grounding Wire and Installation Types of Arrester in Double Circuits Distribution Systems)

  • 정채균;김상국;이종범;정영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97-499
    • /
    • 2003
  • This paper analyses the lightning overvoltage with earth of grounding wire and installation types of arresters in double circuits distribution systems. First, the model for analysis is selected severer case between upper line and lower line when the direct lightning surge strikes on the overhead grounding wire. The lightning overvoltage is variously calculated with earth distance between overhead grounding wires. This paper also analyses the effect of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arrestors and the earth resistance of overhead grounding wire. From these results, authors examine the rationality of BIL that is applied in distribution system.

  • PDF

금속선 강화에 따른 열 가압 도재의 파절저항 (The fracture resistance of heat pressed ceramics with wire reinforcement)

  • 조득원;동진근;오상천;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1-198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높은 심미성을 나타내지만 낮은 파절 강도로 인하여 구치부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전부도재 고정성 국소의치의 파절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취성 재료인 도재에 인장강도가 높은 금속선을 삽입하고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lithium disilicate(ingot No.200 : IPS Empress 2, Ivoclar Vivadent, Lichtenstein)와 0.41 mm 직경의 Ni-Cr 금속선(Alfa Aesar, Johnson Matthey Company, USA)을 사용하여, 금속선의 수와 배열을 달리한 4개의 실험군 시편을 제작하였다. 모든 시편은 폭 4 mm, 두께 2 mm, 길이 15 mm의 직육면체로 제작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한 가닥, 두 가닥, 세 가닥의 금속선을 도재 시편의 장축을 따라 배열하였으며, 실험군 4는 세 가닥의 금속선을 도재 시편의 장축에, 다섯 가닥의 금속선을 도재 시편의 횡축에 배열하였다. 대조군에는 금속선을 삽입하지 않았으며, 대조군 및 각각의 실험군의 시편은 각 군당 12개로 하였다. 결과: 만능 시험기(Z020, Zwick, Germany)를 이용하여 파절시점까지 하중을 가한 후, 굴곡계수, 굴곡강도, 파절시점까지의 변형률,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 파절된 시편의 도재와 금속선의 계면을 횡절단 및 연마하여 주사전자현미경(JSM-6360, JEOL, Japan)으로 100배상에서 관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재에 금속선을 삽입한 결과, 금속선을 삽입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 있는 굴곡계수 및 굴곡강도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변형률의 유의성 있는 증가(P<.001)를 관찰할 수 있었다. 2. 금속선을 삽입한 시편의 파절 양상은 하중점 부위에서 도재만 파절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3. 금속선을 삽입한 도재의 파절된 시편을 횡절단 및 종절단하여 100 배상에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하중 시 도재의 파절 원인이 될 수 있는 도재 내부의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도재와 금속선 사이의 gap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금속선 삽입의 결과, 취성 재료인 도재의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형률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치부에서 금속선 강화 도재의 사용을 위해서는 굴곡계수 및 굴곡강도의 향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더미스터 온도센서를 이용한 나노유체의 대류열전달계수 측정 장치 (Measuring Apparatus for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Nanofluids Using a Thermistor Temperature Sensor)

  • 이신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2호
    • /
    • pp.103-110
    • /
    • 2016
  • 나노유체의 대류열전달 성능을 평가하는 센서로서 가는 백금 열선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센서의 강도가 약해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고 측정실험에서 센서에 대한 엄밀한 교정과정을 생략하거나 정밀도 높은 기구들을 사용하지 않으면 비현실적인 대류열전달계수가 얻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 열선 대신 더미스터 센서를 채택한 새로운 나노유체 대류 성능 평가장치를 제안하였고 그 작동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순수 엔진오일에 대한 두 센서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더미스터 센서의 실용적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장치는 개발된 나노유체의 채택 여부를 판단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y of textur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ld drawn AGS alloy wire

  • Zidani, M.;Bessais, L.;Farh, H.;Hadid, M.D.;Messaoudi, S.;Miroud, D.;Loudjani, M.K.;Helbert, A.L.;Baudin, T.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2권4호
    • /
    • pp.745-752
    • /
    • 2016
  • An investigation has been done to study the evolution of the microstructur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lMgSi alloy destined for the transport of electric energy, in function of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cold drawing process. We identified that drawing of aluminum wire causes development of a fibrous texture of type <111> and <100>. We notice also that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mechanical resistance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of the deformation level. Characterization methods used in this work is: The Electron Back Scattered Diffraction EBSD, X-Ray diffraction, Vickers microhardness, Tensile test, Measuring electrical resistivit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Energy Diffraction Spectrum (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