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 Height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2초

등고선 지도의 3차원 표현에 관한 연구 (3-D Reconstruction of Contour Map)

  • 박성일;남병덕;이광기;전중남;강문규;박규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1058-1060
    • /
    • 1987
  • This paper shows some results on the reconstruction of a 3-D structural information of contour map image obtained from camera. To extract height, 2 image frames are used, one for ordering of the contour and the other for height calculation. Wire frame method and Phong shading algorithm are used for 3-D reconstruction.

  • PDF

Wind flow over sinusoidal hilly obstacles located in a uniform flow

  • Lee, Sang-Joon;Lim, Hee-Chang;Park, Ki-Chul
    • Wind and Structures
    • /
    • 제5권6호
    • /
    • pp.515-526
    • /
    • 2002
  • The wind flow over two-dimensional sinusoidal hilly obstacles with slope (the ratio of height to half width) of 0.5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Experiments for single and double sinusoidal hill models were carried out in a subsonic wind tunnel. The mean velocity profiles, turbulence statistics, and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at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obstacle height(h=40 mm) of $2.6{\times}10^4$. The reattachment points behind the obstacles were determined using the oil-ink dot and tuft methods. The smoke-wire method was employed to visualize the flow structure qualitatively. The finite-volume-method and the SIMPLE-C algorithm with an orthogonal body-fitted grid were used for numerical simulation. Comparison of mean velocity profiles between the experiments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shows a good agreement except for the separation region, however, the surface pressure data show almost similar distributions.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Blocking Kirschner Wire Techniqu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 이정길;강찬;김상범;이기수;황정모;안병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4-233
    • /
    • 2021
  •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 자동화 진단을 위한 전차선 검측시스템 (Catenary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Automated Diahnosis)

  • 김정연;박종국;이병곤;홍현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0-1026
    • /
    • 2011
  • 전차선은 철도 전기차량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차량이나 외부요인에 의한 전차선의 변형 및 파손을 검지하여 전기철도 시설물 규정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차선 마킹을 위한 라인레이저와 고속카메라 간에 기하학적 구성을 이용하여 3차선 거리측정방식으로 전차선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전차선 거리 측정방법은 이미지 상에 마킹된 전차선 프로파일의 픽셀위치를 삼각함수 기법을 적용하여 카메라와의 전차선간에 각도를 계산하였으며, 카메라는 랜즈 왜곡 및 심도, 원금감 등에 따라 측정대상에 대한 픽셀 해상도가 다르므로 전차선 위치변화에 따른 픽셀당 각도 분해능을 적용하였다. 또한 전차선은 조가선과 급전선등과 같은 다른 전기배선보다 가장 아래에 설비되어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FPGA 상에서 전차선에 마킹된 레이저 프로파일 데이터를 고속으로 추출하여 처리하였다. 개발시스템은 전차선 시설물 평가기준에 따라 전차선 높이, 편위 측정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여 이상구간에 대한 실시간 자동화 진단기능을 수행토록 하였다.

  • PDF

국내·외 스포츠 브래지어 생산실태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s brassieres)

  • 박자영;장정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3호
    • /
    • pp.287-30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materials that could provide basic data about sports brassieres. In this study, 486 sports brassieres were collected online from 31 brands between November 2015 and February 2016. First, the comparison of compression and encapsulation in sports brassieres identified many different styl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brassieres included a cut cup, the front center height of a full cup, round neckline, short front hem, all in one shoulder strap with a patterned racerback design, all in one closure, no wire, and separation cup styles. The characteristics of encapsulation brassieres included a V-shape neckline, mixed round shoulder strap design, back closure, and all in one cup. Second, the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s brassieres sorted the items differentl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roducts included compression brassieres, non-cut cup, the front center height of a full cup, round neckline, short front hem, an all in one shoulder strap with a patterned round design, all in one closure, no wire, and a separation cup.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products included a cut up, racerback shoulder strap design, and an all in one cup. Third,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s brassieres sizes found that six options were available for domestic compression sports brassieres and nine sizes were available for international products. Domestic encapsulation sports brassieres offered five under bust sizes and five cup sizes. International products offered eight under bust sizes and sixteen cup sizes.

모의 GIS내 금속이물의 거동특성 (Mo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le in Model GIS)

  • 김경화;이재걸;곽희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2-15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교류전압 인가시 모의 GIS내에 존재하는 금속이물의 거동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평행평판 전극을 내장한 가스챔버를 설계·제작하고, 전국내 선형 및 구형의 금속이물에 대해 부상전압을 계산 및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금속이물에 대전되는 전하량을 계산하였다.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금속이물의 종류 및 인가전압에 따른 거동양상과 부상시간, 부상높이 등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계인가시 금속이물의 대전 전하량은 금속이물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며, 부상전압은 서형 및 구형 금속이물의 직경에 큰 양형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물의 부상이후 부상전압 부근의 전압에서의 선형 금속이물은 후 전극과 거의 수직인 상태로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거의 수직상태로 움직이는 거동 형태를 나타내었다. 절연파괴전압에 가까운 전압에서는 금속이물은 부상 중에 수회 수직회전을 반복하며, 장시간 부유하였다.

  • PDF

낙석방지망의 효율적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Efficient Design of Rockfall Prevention Netting)

  • 이준대;박수범;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53-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경험에 따라 비합리적으로 설계되고 있는 낙석방지망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표준 단면을 결정하고 비탈면의 경사, 높이, 낙석의 무게, 이격거리 등의 매개변수가 도약높이나 운동에너지, 통과속도 등 낙석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낙석의 무게는 400, 700, 1,000 kg으로 변화하고 20 m 높이를 기준으로 낙석방호시설이 낙석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0.5($63^{\circ}$), 1:0.7($55^{\circ}$)의 경사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낙석의 낙하높이를 3, 15, 20 m를 변경시켜가면서 해석을 실시하여 사면 하부에 발생하는 최대운동에너지의 변화를 분석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낙석방지망의 설계 시 현행과 같이 일률적인 적용에서 벗어나 사면의 경사와 예상되는 낙석의 규모나 무게, 법면의 상황 및 낙석의 모양, 낙석 운동형태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50 km/h급 강체전차선로 설계파라미터 제시 (A Propose of Design Parameters for the Max. Speed of 250 km/h of Overhead Rigid Conductor System)

  • 이기원;조용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4호
    • /
    • pp.740-744
    • /
    • 2017
  • Overhead Line is divided by two systems which are OCS (Overhead Catenary Line) and R-Bar (Overhead Rigid Conductor system). R-Bar has an advantage of maintenance and economic aspect comparing with OCS. R-Bar in Korea has developed for the max. speed of 120km/h, but it is evaluated up to the max. speed of 250 km/h in Europe. There are lots of mountains and underground sections in korea, it is really necessary to develop the R-Bar for a high-speed line. In the study, design parameters for the max. speed of 250 km/h of R-Bar was proposed. A bracket space, stiffness, and especially an installation tolerance of contact wire height at a bracket were considered as a parameter, and a dynamic behavior between a contact wire and pantograph was predicted by evaluated FEM simulation tool. The installation tolerance and bracket space are more important for the high-speed system. The proposed parameters was decided very conservative. Because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antograph in tunnel is more severe than an open route and the simulation tool is not considered the such kind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열적 피로에 의한 전원코드의 발화 특성과 전기화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ctrical-Fire Analysis and Firing Characteristics of Power Cord by Thermal Stress)

  • 최충석;송길목;김향곤;김동욱;김동우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논문집
    • /
    • pp.164-170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firing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fire analysis of power cord deteriorated by thermal stress. The cross section of PVC insulating cord deteriorated by indirect flame decreased through heat convection. PVC insulating cord deteriorated by direct flame was bumpy shape. The exothermic peak of normal cord was shown at ($526.7^{\circ}C$), but the peaks or on(heat treatment temperature) ($150^{\circ}C$) cord was shown at ($299.6^{\circ}C$) and [$502.2^{\circ}C$]. The exothermic peaks according to high tempera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amorphous carbon. In the FT-IR analysis, the absorption peak of normal cord indicated double bond of oxygen and carbon in benzene ring at 1720.0$cm^{1}$. As the HTT was high, the height of characteristic peak decreased and the peak of carbonyl group was shown at about 1625.7$cm^{-1}$. The characteristic peak of single bond(O-H) was shown at about 3479.2$cm^{-1}$. In case of the internal part of wire covering deteriorated by over current, the characteristic peak were shown at about 3417.3$cm^{-1}$ and 1600.2$cm^{-1}$.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e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ire pattern through the internalㆍexternal analysis of wire covering deteriorated by heat.

  • PDF

고추수확기의 탈실장치 개발 (I) - 탈실장치의 소형화와 회수율의 제고 - (Development of a Pepper Removal Mechanism for a Red-Pepper Harvester (I)- Size Reduction of the Pepper Removal Mechanism and Improvement of Pepper Recovery Ratio -)

  • 이종호;박승제;이중용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177-188
    • /
    • 1997
  • A pepper harvester using a pair of counter rotating helically wound cylinders as a pepper removal mechanism has been developed. Pepper harvesting by machines under the customary cultivation practice was expected to lower land productivity, that most farmers were concerned about. As one way to compensate for loss in land productivity by machine harvest, experts on pepper cultivation suggested change of both varieties and plant density per area. From the view of machine design, their suggestion implied that distance between rows should be narrower and height of the pepper removal mechanism could be shorter. Experiments to improve perfect pepper recovery ratio and to reduce size of the pepper removal mechanism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be a economically feasible harvester, minimum pepper recovery ratio was required to be greater or equal to 80%. The research goal was achieved by both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wire-helices from 30 cm to 18 cm and increasing rotational speed of the wire-helices up to 425 rpm. The best perfect pepper recovery ratio was 82.3%. Validity of experiment design and interpretation on statistical analysis we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pepper removal mechanism properly, a pepper removal theory based physics was judged to be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