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mushroo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계란껍질 첨가배지(添加培地)가 팽이버섯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자실체(子實體)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ddition of Eggshell to Sawdus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김광포;김한경;김영호;차동열;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26-231
    • /
    • 1995
  • 팽이버섯은 최근(最近)에 생산(生産)과 소비(消費)가 촉진(促進)되어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급증(急增)하고 있는데 이에 소요되는 재배용(栽培用) 톱밥배지(培地) 제조시(製造時)에 부화장(孵化場) 부산물(副産物)인 계란껍질의 첨가효과(添加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지재료(培地材料)의 화학적(化學的) 성질 중 계란껍질은 전탄소(全炭素) 20.7%, 전질소(全窒素) 0.81%이고 인과 칼슘함량은 2,530 ppm과 44.37%로 톱밥보다 많았다. 2. 배지재료 배합시 계란껍질을 첨가하면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초발용소요일수(初發茸所要日數)는 무처리구(無處理區)와 차이가 없었으나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계란껍질을 15% 첨가할 때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이 23% 정도 증수(增收)되었다. 그러나 20% 이상 첨가시는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3. 팽이버섯 품질(品質)은 계란껍질 $5{\sim}15%$ 첨가시 버섯 대길이 12.8 cm, 대직경 3 mm, 갓직경 9 mm로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슷하였으나 유효경수(有效莖數)는 무처리구(無處理區)보다 11% 많았다. 4. 톱밥배지 제조시(製造時) 계란껍질을 15%까지 첨가(添加)하면 배지(培地)의 물리성(物理性)이 개선(改善)되고 인과 칼슘함량이 높아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향상(向上)되었다.

  • PDF

고품질·다수성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아삭골드'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brown variety of Flammulina velutipes 'Asakgold' for high quality and yield)

  • 이관우;서보민;김승덕;전종옥;김민자;김주형;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2
    • /
    • 2023
  • 본 연구는 갓이 작고 대가 길며 개체수가 많은 고품질, 다수성 갈색 팽이버섯을 육성하고자 수행되었다. 팽이버섯 신품종 '아삭골드'는 갓 색이 연한 갈색이며, 고품질 품종인 '금향2호'와 다수성 품종인 '갈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은 연한 갈색을 나타내며 갓 형태는 반구형이다. 병재배 시 배양기간은 4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9일, 생육일수는 15일로 총 재배기간이 64일이 소요되어 대조품종 '여름향1호'와 비슷하였다. 갓직경 6.4 mm, 갓두께 4.3 mm 으로 대조품종과 비슷하였으나, 대직경은 3.2 mm, 대길이는 111.2 mm로 대조품종 대비 대가 가늘고 긴 형태를 나타내었다. 1,100 ml( 75) 병당 유효경수는 495개로 대조품종 362 개 대비 37% 많았으며, 병당 평균수량은 214 g으로 대조품종 185 g 대비 16% 높게 나타났다. 베타글루칸 함량은 28.69%로 대조품종 '여름향1호' 대비 약 1.6배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팽이버섯 신품종 '아삭골드'는 품질이 우수하고 베타글루칸 함량이 많으며 다수성인 품종으로 농가 보급이 확대되어 기존 품종을 대체한다면 농가의 소득향상과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Breeding of Flammulina velutipes Strains Adaptable to Elevated-temperature

  • Kong, Won-Sik;Cho, Yong-Hyun;Jhune, Chang-Sung;Yoo, Young-Bok;Kim, Kwang-Ho
    • Mycobiology
    • /
    • 제32권1호
    • /
    • pp.11-16
    • /
    • 2004
  •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needs low temperature during its cultivation. To save on farm costs, especially during summer, a strain adaptable to a higher or elevated-temperature must be developed. At the start of breeding program, parental strains which could endure high temperature were obtained. Seuenty four dikaryotic strains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emperature. They also had different fruiting temperature. Finally we selected three brown strains ASI 4048, 4057 and 4072, and collected their spores. These selected strains can germinate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32^{\circ}C$, which were dramatically higher than the other strai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w white strain adapted to mid-temperature by backcross mating was developed. Molecular markers were applied to select white fruitbody producing strains without cultivation. They showed a specific band which co-segregated with brown fruitbody forming strains in $BC_1F_1$ progenies. Selected white strains were tested under several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s.

한국의 전통적 기능성 식품의 이용에 대한 역사적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untional Food)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5-255
    • /
    • 1996
  • Natural substances, exploited in our daily life, have been applied to drugs to treat diseases and developed to functional foods by appropriate preparations, and these foods give beneficial effects on physical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unctional foods was studied with refer ring to old ancient writings published in the front-end of Chosun dynasty. The utilized vegetables were march mallow, turnip, radish, Chinese cabbage, lettuce, spinach, cucumber winter buds, flesh of a cabbage, eggplant, taro, burdock, Parsley, watershield plant, crown daisy, bamboo shoots, garlic, scallion, onion, acorn, bark of a tree, white goosefoot leaf, leaf of bean, pine mushroom, bracken. yam, mugwort, tea, ginseng, peppermint, fruit of the Maximowiczia chinensis, smartweed and pepper. The utilized fruits were chestnut, Chinese date, pine nuts, walnut, gingko nut, citrus. crab apple, pear, peach, grape, pomegranate, plum, Chinese quince, fig and watermelon. The utilized cereal were rice, barley, bean, buckweat and Job's-tears. The utilized sweetenings and seasonings were honey, wheat-gluten, sugar, oil, salt, soy sauce and vinegar. Our ancestors had a balanced diet using the various foods, and especially had a fundamental concept of "Foods have the efficacy of a remedy".edy".uot;.

  • PDF

고온기 팽이버섯 병재배 배지제조시 저온수 이용 효과 (Effects of Using Cold Water on Mixing Sawdust Media for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전창성;김승환;원향연;권재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40-144
    • /
    • 2005
  • 여름철 팽이버섯 병재배시 톱밥배지에서 발생하는 균사생장 억제증상의 원인을 구명하고 그 경감대책을 확립하기 위하여 톱밥배지 배합시 물온도를 $24^{\circ}C$(상온수)와 $6^{\circ}C$(저온수)로 하고, 배지제조후 살균전 경과시간을 0, 3, 6, 9시간으로 달리하여 팽이버섯의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제조 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온도가 상승하고, pH는 6.5에서 5.2~5.6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때 톱밥배지 내에서 세균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물온도 $24^{\circ}C$에서는 $6^{\circ}C$보다 6시간 이후의 세균밀도가 1.9~4.1배 높았다. 톱밥배지에서 분리한 세균과 대치배양시 팽이버섯균의 생장이 억제되었다. 또한 배지제조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내의 전질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의 함량도 종류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배지배합시 $24^{\circ}C$물 처리구는 $6^{\circ}C$물 처리구에 비하여 팽이버섯 병재배사에서 균배양기간 및 버섯발생기간이 각각 1~2일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실체 수량도 저온수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9시간 경과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정지되었다. 배지제조후 경과시간에 따라 팽이버섯 발생기간은 1~3일이 지연이 되었으며, 자실체 수량은 6시간이 경과된 배지에서 7~12%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 시험은 여름철 고온기의 팽이버섯 재배시 배지제조에 $6^{\circ}C$이하의 저온수를 사용하여 배지내 미생물 증식을 억제시키고, 입병작업을 마치는 즉시 고압살균 함으로써 배지의 성분을 안정화시켜 버섯의 안정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 단포자 분리주의 유전적 변이성 (Genetic Variability of Flammulina velutipes Monosporous Isolates)

  • 공원식;김동현;김영호;김경수;유창현;변명옥;김광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11-120
    • /
    • 1997
  •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Curt. ex Fr.) Singer]의 새로운 우량균주를 육성하고자 단핵균주를 분리하여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계통내 교배 시험한 결과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모균주에 비해 균사생장의 변이가 적고, 균총의 색이 모두 백색이며 RAPD 밴드로 본 변이가 적었던 반면,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균총의 색이 백색, 갈색, 연갈색으로 분리되고 RAPD 밴드에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또한 백색 재배종의 교배형은 A1A2B1B2 교배형이었으나, 갈색 야생종의 교배형은 백색종과 교배형이 다르게 나타나 A3A4B3B4교배형으로 결정하였다.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간 자식교배에 의하여 육성한 이핵균주는 모본보다 자실체 수량이 적고 수량의 변이 폭이 컸다.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를 서로 교배한 결과 자실체의 색깔에 변이를 나타내었는데 백색 자실체를 형성하는 교배균주 중에는 모본보다 수량이 많은 이핵균주도 있었다. 따라서 갈색 자생종의 자식교배로 현재 재배되는 순백계와는 다른 새로운 백색계통을 육성할 수 있었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of Main Cordyceps species in Korea

  • Hong, In-Pyo;Nam, Sung-Hee;Sung, Gyoo-Byung;Lee, Kwang-Gil;Cho, Soo-Muk;Seok, Soon-Ja;Hur, Hyeon;Lee, Min-Woong;Guo, Shun-X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09
  • The caterpillar-shaped Chinese medicinal mushroom (DongChongXiaCao) looks like a worm in the winter and like a grass in the summer. The fruiting body has been regarded as popular folk or effective medicines used to treat human diseases such as asthma, bronchial and lung inflammation, and kidney disease. The fruiting bodies of Cordyceps militaris, C. pruinosa and Paecilomyces tenuipes that formed on the living silkworm (Bombyx mori) host were used in this examin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luble sugar,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in the fruiting-bodies. Soluble sugars such as glycerol, glucose, mannitol and sucrose were mainly found in the fruiting bodies of C. militaris, C. pruinosa and P. tenuipes.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29.23 mg/g in C. militaris, 8.61 mg/g in C. pruinosa and 24.00 mg/g 1in P. tenuipes on dry weight basi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4.09 mg/g 1in C. militaris, 34.60 mg/g in C. pruinosa and 17.09 mg/g in P. tenuipes.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fatty acids was above high more than 30% regardless of species.

Chemical Components of Paecilomyces tenuipes (Peck) Samson

  • Hong, In-Pyo;Nam, Sung-Hee;Sung, Gyoo-Byung;Chung, In-Mo;Hur, Hyeon;Lee, Min-Woong;Kim, Mi-Kyung;Guo, Shun-Xing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15-218
    • /
    • 2007
  • The caterpillar-shaped Chinese medicinal mushroom (DongChongXiaCao) looks like a worm in the winter and like a grass in the summer. The fruiting body has been regarded as popular folk or effective medicines used to treat human diseases such as asthma, bronchial and lung inflammation, and kidney disease. The fruiting bodies of Paecilomyces tenuipes that formed on the living silkworm (Bombyx mon) host were used in this examin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soluble sugar,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and contents of the bioactive ingredient including adenosine and D-mannitol in the fruiting-bodies. The moisture content was 57.56%. Soluble sugars found were glycerol, glucose, mannitol and sucrose, and the contents exceeded $24\;mgg^{-1}dry$ weight.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7.09\;mgg^{-1}dry$ weight. Arginine, glycine, proline and tyrosine were main amino acids.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fatty acids was high. Adenosine was more abundant in fruiting bodies than corpus.

볏짚버섯속 ASI1 9003(버들송이)과 ASI1 9016(차신고)의 배양 및 재배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production in two strains of the genus Agrocybe ASI19003(A. cylindracea) and ASI19016(A. chaxingu))

  • 정종천;석동권;김승환;전창성;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2008
  • 본 시험의 볏짚버섯속(Agrocybe) 2균주 ASI19003(A. cylindracea; 버들송이)와 '차신고'로 불려지는 ASI19016(A. chaxingu)의 배양생리 및 재배적 특성 비교에서 종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ASI19003이 28, ASI19016이 30 이었으며 배지산도는 고체배지 평판배양의 경우 ASI19003과 ASI19016 균주 공히 pH 5.5~7.0 범위에서 잘 자랐다. 그러나 액체배지 정치배양에서는 ASI19003이 pH 5.5에서, ASI19016이 pH 5.0에서 잘 자랐으며 ASI19016 균주의 경우 액체배지의 pH 6.0~7.5 범위에서는 균사생장이 매우 저조한 특이적 현상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으로는 ASI19003이 lactose, ASI19016 균주가 fructose에서 잘 자라고, 질소원으로 ASI19003이 asparagine > alanine > glycine, ASI19016이 ammonium tartrate > asparagine > glycine > alanine 순이었다. 봄재배 시 ASI19003은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13일로 ASI19016의 29일과 17일보다 총재배기간이 6일 빨랐으며, 850 $m{\ell}$ PP병당 자실체 수량도 ASI19003이 114 g으로 ASI19016의 100g보다 15%가 많았다. 한편 여름재배 시 ASI19003은 배양기간이 29일, 초발이소요일수 11일로 ASI19016의 30일과 12일보다 총재배기간이 3일 빨랐다. 그러나 버섯 생육기에 온도가 상승하면 ASI19003 균주는 자실체 색이 옅어지고 조직이 물러지는 등 상품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ASI19016은 고온기에 오히려 버섯 발생이 빨라지고 자실체의 갓 색깔도 짙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봄, 가을과 겨울철에는 다수성인 ASI19003(버들송이)을, 여름철 고온기에는 상품성이 좋은 ASI19016(차신고) 균주를 재배품종으로 선택함으로써 버들송이류 버섯의 상품성을 연중 내내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

톱밥 배지(培地)에 대(對)한 영양첨가(營養添加)가 팽이버섯의 생장(生長)및 배지(培地)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to the Substrate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Curt. ex Fr.) Sing. and Chemical Changes of the substrates Produced during Growth of the Fungus)

  • 장학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44
    • /
    • 1976
  •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Curt. ex Fr.) Sing.] 톱밥 재배(栽培)에 있어서 배지(培地)의 각종(各種) 영양급원(營養給源)의 첨가효과(添加效果) 및 배지(培地)의 물리적(物理的) 향상(向上)을 위(爲)한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하는 한편 재배과정중(栽培過程中) 일어나는 배지(培地)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팽이버섯의 영양요구(營養要求)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포플러 톱밥에 미강(米糠), 밀기울 및 우분(牛糞)을 첨가비(添加比)를 달리하여 혼합(混合)한 배지(培地)에서 팽이버섯을 병재배(栽培)한 결과(結果), 포플러 톱밥 10에 미강(米糠) 3을 혼합한 처리구(處理區)에서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이 84.4g/병(배지(培地)280g)으로서 가장 높았고 비교적(比較的) 수량(收量)이 높았던 포플러 톱밥 10에 미강(米糠) 3, 2 및 밀기울 3을 혼합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배지(培地)의 전질소(全窒素), 당류(糖類)와 가량(加量)의 함량이 높았다. 2. 톱밥 배지(培地)의 추출액(抽出液) 배지(培地)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탄소(炭素) 및 질소(窒素) 등(等) 영양요소(營養要素)가 부족(不足)한 톱밥 단용구(單用區)나 우분첨가구(牛糞添加區)에서 극(極)히 저조(低調)하였으며, 톱밥 배지상(培地上)에서는 이들 처리구(處理區)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 속도(速度)는 빨랐으나 균사밀도(菌絲密度)는 현저(顯著)히 떨어졌다. 3. 가비중(假比重) 및 수분함량(水分含量)을 달리한 포플러 톱밥10+미강(米糠) 3 혼합배지(混合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수분함량(水分含量) 72%, 가비중(假比重) 0.2에서 촉진(促進)되었으나 자실체(子實體) 수량(收量)은 가비중(假比重) 0.3, 수분함량(水分含量) 67%에서 가장 높았다. 4. 포플러 톱밥에 첨가(添加)되는 미강량(米糠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배지(培地)의 무게 감소율(減少率)은 커지며, 회분함량(灰分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종균(種菌) 접종(接種) 75일(日) 후(後) 무게 감소율(減少率)은 $17.8{\sim}28.8%$ 범위(範圍)였으며 회분(灰分)은 $10.1{\sim}13.2%$가 증가(增加)되었다. 5. 전재배기간중(全栽培期間中) cellulose는 $11{\sim}14%$, lignin은 $3{\sim}4%$의 절대량(絶對量)의 감소(減少)를 보여 포플러 톱밥에 첨가(添加)되는 미강량(米糠量)에 따른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가용성(可溶性) 당(糖)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 전질소(全窒素)는 시료(試料)에 대(對)한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며 절대량(絶對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극(極)히 미소(微小)한 함량변화(含量變化)를 보였으며 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 아미노태(態) 질소(窒素) 및 acid hydrolysable는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字實體) 발생기간중(發生期間中)에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7.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하는 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한 액체배양(液體培養)에서 peptone, yeast extracts 등(等)의 유기태(有機態)가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촉진(促進)된 반면(反面) 무기태(無機態) 질소원(窒素源)이 첨가(添加)된 Richard' solution과 Czapek-dox solution에서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저조(低調)하였다. 또한 유기태(有機態) 질소원(窒素源)의 함량(含量)이 높은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더욱 양호(良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