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Forage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1초

동계 사료작물 보리와 하계 사료작물 수수, 기장 및 피 작부방식에 따른 생육과 조사료 생산량 비교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 김지혜;박형수;조진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6-290
    • /
    • 2018
  • 동계작물인 보리를 재배한 후 하계작물인 수수, 기장 및 피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료 생산량과 그에 따른 사료가치를 분석하여 보리와 적합한 하계작물의 최적의 작물조합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하계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가 가장 컸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수분 함량은 1차 수확할 때 가장 높았고 호숙기에 수확할 때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2. 보리의 건물수량은 10 a 당 1,343 kg였으며 보리와 하계작물를 작부체계에 따른 건물수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10,018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 역시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건물수량이 더 많았다. 3. ADF 함량은 수수는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 때가 낮았지만 기장과 피는 호숙기가 더 높은 ADF 함량을 보였다. NDF 함량은 3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1차 및 2차 수확할 때가 호숙기에 수확할 때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4. 건물 수량에 대한 조단백질 총생산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약 761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는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할 때가 호숙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가소화양분총량은 3작물 모두 수확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동계 작물(청보리) 재배에 따른 밭토양 양분수지 (Nutrient Balance during Crop (Forage Barley) Cultivation in Winter Season: A Weighing Lysimeter Study)

  • 안진희;이찬욱;옥정훈;박혜진;송요성;이예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1-219
    • /
    • 2023
  • 중량식 라이시미터를 이용하여 사양질과 식질 토양에서 동계 작물인 청보리 재배 여부에 따른 양분 유출과 양분 수지를 평가하였다. 양분 유출과 관련된 지하 배수량은 식질에서 가장 많았으며, 동계 작물 재배 여부에 따른 토양 수분함량을 비교해보면 나지에서는 사양질과 식질 토양 모두 30-40%를 유지하였고, 청보리 재배구는 생육 재생기인 3-4월에 평균 증발산량이 평균 2.1-6.7 mm·day-1이었으며, 토양 수분함량은 18.1-21.8%까지 낮아졌다. 동계작물 재배 시 봄철 생육재생기에 생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산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수분이 지상부로 이동하므로 양분의 지하유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양질 토양에서 청보리의 재배에 따른 양분수지는 비료 공급량에 비해 작물 흡수량이 많아 음의 값을 나타냈으며, 토양에 집적된 양분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동계에 적정량의 비료를 주고 사료작물을 재배하면 경지 이용률을 높이고, 양분수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추파용 호밀에 대한 액상분뇨 시비 연구 I. 생육특성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oes on the Slurry-Application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 I. Agronomic charateristics ,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inter rye)

  • 신동은;김동암;신재순;서성;김원호;김정갑;육완방;정재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5-242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gronomic characteristics, nutritive value and yield (DM, CP) of Winter Rye as affected by different slurry application on the basis of N contents respectively and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even treatments (chemical fertilizer 160kg Nha, cattle sluny 160 . 320 480kg Nha, swine slurry 160 . 320 480kg Nha) and conduct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in Suweon 6om Sep. 1996. to Apr. 199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as influenced by slurry application, was orderly ranked cattle sluny 480kg N1 ha > chemical fertilizer 160kg Nha > swine slurry 480kg Nha. Tiller number was increased with cattle slurry application, especilly, the effect of cattle slurry 480kg Nha was obvious but plot of swine slurry tended not to be regular. Crude protein content of rye increased as slurry application level was increased (p< 0.05),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DF and NDF content of rye. RFV(Re1ative Feed Value) of rye as affected by slurry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Grade 2 in all treatments at harvest, according to the forage quality standard assigned by AFGC. Dry matter yield was shown fiom 4,006 kgha to 8,037 kgha as affected by cattle slurry application, in the case of swine slurry application was shown ffom 4,594 kgha to 6,230 kgha (p< 0.05).

  • PDF

Alfalfa의 재배에 관한 연구 II. 석탄 및 구비의 시용과 근류균접종이 초기생육 , 뿌리혹 형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II. Effectcs of liming , manure application ,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early growth, nodulation and dry matter yield)

  • 김희경;김동암;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5-152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the early growth, nodulation,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and forage yield and quality of alfalfa(Medicago sativa L.) at the Experimental Livestock Farm,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in 1985 and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eedling vigor and nodule formation of alfalfa at early stage were the best in the treatments of liminginoculation( L1) and liming-manure-inoculation(LM1). 2. Seedling establishmen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nodulat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3. The LI and LMI treatments showed the highest winter survival of 94.3 and 83.5%, respectively, but the lowest winter su.rvival of 55.9 and 58.5% was found in no treatment(None) and inoculation( I ), respectively. 4. No differences in crude protein(CP1,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s were found among the treatment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alfalfa among the treatments. The total dry matter yields of 10,618, 11,830, 11,855 and 13,456 kg/ha from the treatments of L, LM, LI and LMI,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e, M and I treatments. 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appears that the dry matter yield of alfalfa could be enhanced by the treatments of liming with Rhizobium inoculation and also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Rhizobium inoculation as a practical method.

  • PDF

콩과목초 잔주의 사일리지용 옥수수에 대한 질소 공급효과 (A Comparison of Legume Residues as a Nitrogen Source for Silage Corn)

  • 김동암;김종덕;이광녕;신동은;정재록;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3-304
    • /
    • 1997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plo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h m 1995 to 1996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gume residues as a N source and N fertilizer on corn (Zea mays L.) silage yield, N uptake, and availability of inorganic N in the soil. Corn was grown following (i)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ii)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ii)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iv) winter fallow. The plots were split into two rates of fertilizer N (0 and 90kg Nlha) in a split-plot experimental plan. Compared with fallow treatment, legumes depleted soil water in the surface 15cm at corn planting by 17 to 26%. As a result, corn emergence was markedly delayed with legume residues by 8 to 11 days. Corn silage DM yiel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legume residues by 2.0 to 3.4 and 1.5 to 2.5 tonlha compared with winter fallow treatment at 0 and 90kg fertilizer Nlha,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n DM yield was found between legume residue treatments. There was an overall tendency for increased corn yields with 90kg fertilizer Nlha compared to Okg fertilizer Nlha, although not all yield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 corn yield response to applied N suggests that a source of N from legume residues was not sufficient for a succeeding corn crop.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N (P

  • PDF

극조숙, 다수성 조사료 및 녹비용 호밀 신품종 "이그린" (A New Early-Heading and High Forage Yielding Rye Variety "Egreen")

  • 허화영;박형호;황종진;김홍식;한옥규;박태일;서재환;김대욱;김수용;김시주;박기훈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20-624
    • /
    • 2009
  • "이그린"은 1995년 조춘 등 10계통을 방임수분시켜 작물과학원 포장에서 타식성 작물의 집단육종법에 의해 선발 육성된 청예용 호밀 품종으로서 2005년~2007년 3개년간 계통명 호밀34호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새로운 호밀품종으로 결정되었는데 그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이그린"의 출수기는 수원 등 4지역 평균이 4월 22일로서 대비품종 "올호밀" 에 비하여 3일 빠른 극조생 품종이다. 2. "이그린"의 초장은 수확시에 118 cm로서 "올호밀" 보다 6 cm 크며 $m^2$당 수수는 968개로서 "올호밀" 과 비슷하다. 3. "이그린"은 내병성 및 내습성이 "올호밀" 정도로 강한 내재해성 품종으로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의 답리작 및 전작지대에서 추파재배가 가능하다. 4. "이그린"의 청예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결과 건물수량이 평균 ha당 8.34 MT로서 대비품종 "올호밀" 보다 8%, 주요 도입품종인 "Koolgrazer"에 비하여 10% 증수되는 청예다수성 품종이다.

추파용 호밀에 대한 액상분뇨 시비 연구 II. 무기물 함량 , N 생산성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Studoes on the Slurry-Application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 II. Effect of mineral content , nitrogen balance and environmental soil)

  • 신동은;김동암;신재순;송관철;이종경;윤세형;김원호;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5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mineral content of Winter Rye, Nitrogen Balanc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O,-N level in infiltration water as affected by different slurry application on the basis of N contents respectively and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even treatments (chemical fertilizer 160kg Nha, cattle slurry 160 . 320 - 480kg Nha, swine slurry 160 - 320 - 480kg Nha) and conduct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in Suweon fiom Sep. 1996. to Apr. 199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Nirogen, Phosphorous, Calcium and Potassium of Winter Rye slightly increased as slurry application level was increased (p$NO_3$-N content ($\mu$g/g) of Winter Rye was shown fiom 780 to 1,462 in all treatments, especially , the swine slurry plo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attle sluny plots (p < 0.05). As slurry application increased, show a marked trend toward surplus N input in all treatment. The pH of the topsoil (0~IOcm) was shown 6om 5.1 to 5.4 except the plot of chemical fertilizer before experiment pH of 5.1, but the pH of the subsoil (10~20cm) tended not to be regular. The content of available ,TEX>$P_2O_5$ inaeased with the increased application of slurry, particularly, the topsoil (O- 1Ocm) were much higher than the subsoil (10~20cm). The $NO_3$-N content of infiltration water (depth:lm) was increased as affected by sluny application.

  • PDF

시화 간척지에서 월동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Winter Forage Crop in Sihwa Reclaimed Field)

  • 김종근;;;김학진;김맹중;정은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28
    • /
    • 2020
  • 본 시험은 간척지에서의 월동 사료작물의 초종 및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월동 사료작물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품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귀리(삼한, 조풍, 태한, 다경 및 하이어리), 청보리(영양, 유연, 유진, 다청 및 연호), 호밀(곡우, 조그린 및 대곡그린) 그리고 트리티케일(신영, 세영, 조영, 신성, 민풍 및 광영)에 대하여 2018년 가을에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시화지구 간척지에 파종하여 각각의 표준 재배법을 이용하여 재배하였으며 2019년 5월에 수확을 하였다. 출현율은 호밀이 가장 낮았으며(84.4%), 청보리, 귀리 및 트리티케일은 비숫한 수준(92.8~98.8%)을 보였다. 분얼수에 있어서는 트리티케일이 가장 적었으며(416 tiller/㎡) 귀리가 가장 많았다(603 tiller/㎡). 출수기에 있어는 호밀이 가장 빠랐고(4월 21일) 트리티케일이 4월 26일이었으며 귀리와 청보리는 5월 초순(5월 2일 및 5월 5일)으로 늦은 편이었다. 초장은 호밀이 가장 컷으며(95.6 cm) 트리티케일과 청보리는 비숫하였고(76.3 및 68. cm) 귀리가 가장 작았다(54.2 cm). 건물함량은 호밀이 평균 46.04%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초종은 35.09~37.5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생산성에 있어서는 초종 및 품종 간 차이가 많았는데 초종별로는 청보리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고(4,344 kg/ha) 귀리는 비숫한 수준이었으며 호밀과 트리티케일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품종에 있어서도 귀리는 다경 및 하이어리가 높았으며(4,283 및 5,490 kg/ha) 청보리는 연호, 유진 및 다청 품종(4,888, 5,433 및 5,582 kg/ha)이 높은 수량을 보였다. 사료가치에 있어서 귀리의 조단백질 함량(6.58 %)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TDN 함량(63.61 %)도 다른 초종에 비해 높았다. RFV에 있어서는 귀리가 평균 11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3개 초종은 평균 92~105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천립중은 트리티케일이 가장 높았으며(43.03 g) 호밀(31.61 g)이 가장 낮았다. 염농도에 따른 발아율 평가에 있어서 0.2~0.4%까지는 발아율이 80% 정도를 유지하였고 그 이상에서는 현저하게 낮아졌다. 발아율과 염농도간의 상관계수는 귀리와 보리가 -0.91 및 -0.92로 높았으며 호밀은 -0.66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척지에서는 청보리와 귀리가 우수한 생산성을 보였으,며 품종간에도 적응성이 달라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을 재배할때는 적응성이 높은 초종과 품종의 선택이 권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