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 Energy Resource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3초

기상요인이 일천궁의 증발산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Evapotranspiration Change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 서영진;남효훈;장원철;김종수;이부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6-3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라이시미터를 이용하여 일천궁의 증발산량을 관측하였고, 그 자료를 분석하여 기상요소와 증발산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맑은 날이 지속된 4일간 라이시미터에서 관측된 증발산량은 일사량의 약 40%에 해당하는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증발산량 변화의 형태는 일출이 시작됨과 동시에 증가하였고 일몰과 함께 급격히 감소하여 일사량은 일천궁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고 야간의 강한 풍속은 증발산량을 증가시켰으며, 일사량과 풍속이 증발산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600W/m^2$ 이상의 일사량에서는 일천궁의 증발산량 증가가 없어 일천궁을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 잎 표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라이시미터는 야외에서 증발산량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고, 추후 식물의 수분생리 및 적정 재배환경 구명에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용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전자파적합성 성능 평가 연구 (A Study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Fuel Cell)

  • 최영주;남태호;이은경;이덕권;이정운;이승국;문종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3-29
    • /
    • 2017
  •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 및 풍력에너지는 자원의 제어가 쉽지 않아 불규칙적인 전력을 생산하여 계통연계 시 불안정하다. 하지만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우, 제어가능한 자원인 수소에너지를 기반으로 일정한 주파수와 전력을 생산하며 계통연계 시 좀 더 안정적이다. 이와 같은 연료전지 시스템을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능이 중요하며 그 중 전자파적합성 성능 평가 방법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 항목 중 전자파적합성의 국제규격과 국내 인증 기준 KGS AB934 PC53과 비교 분석하여 전원주파수 자계내성 시험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 평가를 실시하여 성능 평가 보조 지표로 활용 가능한 정량적 데이터 확보에 대해 연구하였다.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and protease on nitrogen utilizati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growing pigs

  • Kim, Yong Ju;Kim, Tae Heon;Song, Min Ho;An, Ji Seon;Yun, Won;Lee, Ji Hwan;Oh, Han Jin;Lee, Jun Soeng;Kim, Gok Mi;Kim, Hyeun Bum;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5호
    • /
    • pp.659-66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CP) and protease on nitrogen (N) utilizati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growing pigs. A total of six crossbr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barrows were individually accepted in 1.2 m × 0.7 m × 0.96 m stainless steel metabolism cages. The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27.91 ± 1.84 kg) randomly assigned to six diets with six weeks (6 × 6 Latin square desig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with a temperature of 23 ± 1.5℃, a relative humidity of 83 ± 2.3% and a wind speed of 0.25 ± 0.03 m/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rranged in a 2 × 3 factorial design with two levels of CP (15.3% or 17.1%) and three levels of protease (0 ppm, 150 ppm, or 300 ppm). The average daily gain and gain to feed ratio (G:F) tended to increase (p = 0.074) with increasing amounts of protease. The low CP level diet reduced (p < 0.050) urinary and fecal N concentrations, the total N excretion in feces, and increased (p < 0.050) N retention. Different protease levels in the diet did not affect (p > 0.05) at N intake, but supplementation of the diets with 300 ppm protease decreased (p < 0.050) the N concentration in urine and feces and tended to increase (p = 0.061) the percentage of N retention retained of the total N intake. The dietary CP level did not affect (p > 0.050)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c energy (ME), but diet supplementation with 300 ppm protease showed higher (p < 0.050) ATTD of DE and ME than in the protease-free diet. Therefore, a low protein diet with protease could improve the utilization of nitrogen, thereby reducing the negative effect of N excretion into the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or increasing growth performance compared to a high protein diet.

남해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발달특성 (Development of the Holocene Sediments in Gamak Bay of the South Sea, Korea)

  • 김소라;이광수;최동림;김대철;이태희;서영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2호
    • /
    • pp.131-146
    • /
    • 2014
  • 남해대륙붕 가막만의 현생퇴적층 음향특성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와 퇴적물을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의 입도는 주로 $6.3{\sim}9.7{\Phi}$의 분포를 보인다. 퇴적물은 니질과 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만으로 갈수록 입도가 감소한다. 고해상도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가막만의 층서는 하부 경계면인 음향기반암 위로 2개의 퇴적층서(GB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층서는 중간 반사 경계면(최대해침면)에 의해 구분된다.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는 음향기반암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아래 약 20 m에서부터 최대 40 m 깊이에서 나타나며,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하부층인 GB I은 수로를 피복하는 형태로 발달하고 있으며 무층리 반사 특징을 보인다. 이는 후기 해침동안 퇴적된 해침퇴적계열(TST)로, 조간대환경 퇴적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대해침면은 평균 해수면 아래 약 15 m에서부터 28 m 깊이에서 나타나며, 탄성파 단면상에서 편평하고 연속적인 반사면으로 나타난다. 최대해침면 위에 놓여있는 GB II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음향특성, 그리고 평행한 반사 층리로 구성되며, 해수면이 현재의 위치에 도달했던 지난 6,000년 이후에 퇴적된 고해수면 퇴적계열(HST)로 해석된다. 특히, GB II 퇴적층은 고해수면 반사 경계면에 의해 2개의 층(GB II-a and II-b)으로 세분화되며 이는 바람, 해수 유동량, 그리고 조류에 의해 구분된 것으로 생각된다.

EMERGY 분석법에 의한 득량만의 환경용량 산정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Deukryang Bay by EMERGY Analysis)

  • 엄기혁;손지호;조은일;이석모;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29-636
    • /
    • 1996
  • 득량만의 양식업에 대한 EMERGY분석결과 연안해역에 대한 영속성 에너지원의 EMERGY 유입은 $54.60\times10^{18}sej/yr$, 비영속성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유입은 $1.50\times10^{18}sej/yr$ 그리고 재화와 용역에 의한 유입은 $13.55\times10^{18}sej/yr$이고,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이 전체 에너지원의 $78\%$를 차지하고 있어 환경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1차 산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Net EMERGY yield ratio는 4.63으로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음을 나타내고, EMERGY investment ratio는 0.28로 주 경제로부터 유입된 에너지의 약 3.6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자연환경으로부터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4년 득량만의 환경용량은 영속성 에너지원에 근거하여 유입된 EMERGY량이 모두 현재의 EMERGY 생산비대로 생산이 된다면 득량만 전체에서는 어류; 1,140ton/yr, 갑각류; 110ton/yr, 패류; 1,553ton/yr, 해조류; 9,074ton/yr이며 1994년 생산량은 환경용량의 $80\%,\;92\%,\;80\%,\;84\%$를 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면적이 6,617ha(전체면적의 $17.67\%$)인 양식장만을 고려하여 유입된 EMERGY가 전부 패류의 생산에 이용된다면 패류양식장의 생산용량은 1,195ton/yr로 산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