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low fores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화성 둔대리의 고려전기 생활유구에서 출토된 숯과 목재의 수종 (Charcoal and Woods Excavated From Tuntaeri, Hwasung, Korea(Early Koryo period))

  • 박원규;권웅원;박희현;박상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7-93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wood and charcoal segments, which were excavated in 1994 at the Seohaean highway construction site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 Tuntaeri, Hwasunggun. We identified the objects excavated at the fire places of the Tuntaeri dwelling sites (early Koryo period ; A. D. $11\~12C$) ; charcoal pieces and 1 wood segment, which was used for the handle of a metal hook. Chestnut(Castanea crenata), deciduous oaks(Quercus spp.) and maple(Acer app.) were identified from the charcoals, whereas the wood segment as willow species(Salix spp.). These species seem to represent warm and wet climate in the middlewest Korea during $11\~12C$.

  • PDF

댐 건설 기간 수위변화가 하반림 일대 습지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탄강댐을 사례로- (Effects of Water Level Change on Wetland Vegetation in the Area of Riparian Forest for Dam Construction Period -Focused on the Hantan River Dam-)

  • 박현철;이정환;이관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76-8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effects of water level change on changes of landscape, vegetation community, and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forest. Hantan river dam, study area, has been constructed in the area of Chansoo-myeon, Pocheon-si and Yeoncheon-eup, Yeoncheon-gun, Gyeonggi-do, which is a dam for flood control only in flooding season. Landscape changes were notable after the construction of coffer dam, and the changes were caused by water level increase in areas of riparian forests which consisted of mainly withered willow as a dominant species in the flooding season. It changed vegetation communities of riparian forest from Phragmites japonica and Salix koreensis to Phragmites japonica. Species diversity index was lowest in 2010 when the coffer dam was constructed and showed an increasing trend later. Thus, this study is well in agreement with a previous report that plants of the genus Salix wither by muddy water during flooding and also suggests, controlling water level of river and prediction of water level change's effe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any facilities are planned.

골채채취 후 수변환경 변화와 사주 내 식생이입 (Riparian Environment Change and Vegetation Immigration in Sandbar after Sand Mining)

  • 공학양;김세미;이재윤;이재안;조형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of hydrology, soil characteristics, riparian vegetation communities, and geomorphology in sandbars before and after sand-min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nd-mining at upstream of Guemgang and Bochungcheon streams in Korea. Sand-mining events affected the mining area. They supplied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during flood. Sediment deposition caused soil texture change and expansion of vegetation area. However, riverbeds were stabilized after the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aerial photographs, the vegetation area was significantly expanded in both dam-regulated streams and dam-unregulated streams after sand-mining. Willow shrubs advanced in disturbed area at an average of 10 years after sand-mining. It took willows trees 10.6 years to become dominant communities. Therefore, it took a total of 20.6 years for new riparian forest to form in sandbar after sand-mining. Our results confirmed that stream flow condition were dependent on vegetation recruitment in dam-regulated streams and dam-unregulated streams. For willow recruitment in unregulated streams, calculation of water level below dimensionless bed shear stress is important because low water level variation is a limiting factor of vegetation recruitment.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내(造林地內) 시비(施肥)와 클론이 지상부(地上部) 및 토양중(土壤中) 탄소축적(炭素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Clone on Aboveground and Soil Carbon Storages in a Willow (Salix spp.) Bioenergy Plantation)

  • 박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77-185
    • /
    • 1997
  • 지상부 및 토양중 탄소축적에 미치는 시비의 효과와 클론간(5개의 버드나무 클론과 1개의 잡종 포플러 클론)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재에너지 공급을 위해 1987년 미국 뉴욕주립대 연습림에 조성된 버드나무(Salix spp.)조림지를 대상으로 1992년과 1993년 겨울에 분석용 지상부와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탄소축적량을 측정하였다. 시비구에 매년 N(336kg/ha), P(112kg/ha) 및 K(224kg/ha)를 시비하였으며, 조림지에 식재된 모든 공시목은 매년 벌채되었다. 시비처리된 버드나무 클론SV1의 지상부 탄소축적량은 5.4t/ha/yr(6년생뿌리)와 6.8t/ha/yr(7년생뿌리)로써 전체 클론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클론에 대한 부위별 평균 탄소함량은 수간목부에서 57.1~57.5%, 수피에서 54.0~55.4%, 그리고 생지에서 55.6~56.5%로 분포하였다. 시비처리에 의한 지상부 탄소축적량의 증가가 1992년에 전체 클론 중 2개 클론(SA2, SA22)에서만 있었으며(시비와 클론간 교호작용(交互作用)), 1993년에는 대조구와 시비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심별(0-10, 10-20, 20-40cm) 토양중 탄소축적량은 대조구와 시비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클론간 토양 탄소축적량은 1992년 0-10cm 토심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클론에 의한 영향보다는 토양중 자갈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클론과 시비간 교호작용(交互作用) 때문에 지상부 탄소축척에 대한 시비처리효과의 평가는 각 클론내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Salix viminalis cv. Q683 Biomass for Bioethanol Production

  • Kim, Hak-Gon;Song, Hyun-Jin;Jeong, Mi-Jin;Sim, Seon-Jeong;Park, Dong-Jin;Yang, Jae-Kyung;Yoo, Seok-Bong;Yeo, Jin-Ki;Karigar, Chandrakant S.;Choi, Myung-S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43-149
    • /
    • 2011
  •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biomass of Salix viminalis cv. Q683 as a resource of bio-energy was evaluated. The chemical analysis of S. viminalis cv. Q683 leaf biomass showed components such as, extractives (2.57%), lignin (39.06%), hemicellulose (21.61%), and cellulose (37.83%), whereas, its stem was composed of extractives (1.67%), lignin (23.54%), hemicellulose (33.64%), and cellulose (42.03%). The biomass of S. viminalis cv. Q683 was saccharified using two enzymes celluclast and viscozyme. The saccharification of S. viminalis cv. Q683 biomass was influenced by enzymes and their strengths. The optimal enzyme combination was found to be celluclast (59 FPU/g substrate) and viscozyme (24 FBG/g substrate). On saccharification the glucose from leaf and stem biomass was 7.5g/L and 11.7g/L, respectively after 72 hr of enzyme treatment. The biomass and enzyme-treated biomass served as the feedstock for ethanol production by fermentation. The ethanol production from stem and leaf biomass was 5.8 g/L and 2.2 g/L respectively, while the fermentation of the enzymatic hydrolysates yielded 5 g/L to 8 g/L bioethanol in 72 hours.

Evaluation of Drought Tolerance for Biomass Production of Salix gracilistyla Miq.

  • Hyun Jin Song;Seong Hyeon Yong;Hak Gon Kim;Kwan Been Park;Do Hyeon Kim;Seung A Cha;Ji Hyun Lee;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4호
    • /
    • pp.246-253
    • /
    • 2023
  • Salix gracilistyla is widely distributed along riversides in Korea and very good for biomass production by SRC because of its excellent germination ability, but it is necessary to measure drying tolerance for cultivation. The drought tolerance of S. gracilistyla was tested using cuttings, and growth and physi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The growth inhibition of S. gracilistyla was observed from the day irrigation was stopped,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to less than 10% on the 25th day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Over 50% of the seedlings turned brown 25 days after watering was stopped. The chlorophyll content of S. gracilistyla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25 days of stopping of irrigation. RWC values were unchanged until day 12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but decreased rapidly until day 21, but there was a slightly decreasing trend after that. RWL levels increased slightly during irrigation stops. The proline content of plants subjected to drought stress was 0.91-2.63 mg/0.05 g, 2.7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The sugar content of the drought stress treatment group was 29.77 to 350.66 mg/0.05 g, which increased 12.24 times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S. gracilistyla was found to have a drought tolerance almost comparable to tha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growing on the l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ource utilization S. gracilistyla, a native willow tree of Korea, and the mass production of biomass by SRC.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내 벌채에 의한 년간 토양양분 수탈 (Annual Removal of Soil Nutrient by Stem Harvest in a Willow (Salix spp.) Plantation)

  • 박관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4-391
    • /
    • 1998
  • 목재에너지 공급을 위해 1987년 미국 뉴욕주립대 연습림에 조성된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를 대상으로, 매년 벌채되는 지상부 biomass와 양분의 양을 측정하여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을 평가하였다. 5개의 버드나무 clone과 1개의 잡종 포플러가 식재되었으며, 식재지의 시비구에 매년 N($336kg\;ha^{-1}$), P($112kg\;ha^{-1}$), K($224kg\;ha^{-1}$)를 시비하였으며, 조림지에 식재된 모든 공시목은 매년 벌채되었다. 식재 후 7년동안(1987-1993) 식재지로부터 벌채에 의한 연평균 N, P, K, Ca, 그리고 Mg의 수탈은 각각 30-70, 4-10, 14-40, 19-59 그리고 $3-5kg\;ha^{-1}$이었다. 시비구에서 높은 biomass 생산과 양분수준 때문에 대조구보다는 시비지역의 수목에서 양분수탈이 높게 나타났다. 비록, 벌채로 인한 양분수탈이 대조구보다 시비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시비처리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 수준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것으로 사료 된다. 시비없이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은 장기간에 걸쳐 토양양분의 결핍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식재 clone중 clone SV1의 양분 유효도가 가장 높았다.

  • PDF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갯버들의 생장특성 (Investig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gracilistyla Clones for Promoting Woody Biomass Resources)

  • 이현석;안찬훈;강준원;이위영;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16-24
    • /
    • 2018
  • 본 연구는 갯버들의 생장 특성을 기반으로 단기순환벌채림(Short rotation coppices)을 조성하고, 바이오매스 생산 및 자원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수집단 및 개체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갯버들이 서식하는 7개 집단에서 시료를 수집하여 2개의 시험지(춘천과 용인)에 집단별로 시험구를 설치하고, 우수집단 및 개체선발에 있어서 각 요인이 미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다. 수고와 근원경은 시험지, 수집집단 및 연간생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식재 3년 후 지상부의 수확량은 춘천시험지에서는 영월집단이 개체 당 평균 4.8 kg(dw)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집단별 전체 평균의 2배 이상의 수확량으로 보여진다. 용인시험지에서는 홍천과 원주집단의 수확량이 개체 당 평균 3.3kg(dw)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 시험지에서 수확량이 높게 나타난 집단은 일치하지 않았으나 수집 집단(Pop)과 시험지(Nur)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서, 각 시험지별로 수확량이 우수한 집단을 제시할 수 있었다(F value = 3.51, 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발된 집단의 영양계 검정을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 자원화를 위한 우수 자원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온성 액체/DMF 혼합용매 전처리 후 기계적 해섬을 통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제조 (Preparation of Lignocellulose Nanofiber by Mechanical Defibrillation After Pretreatment Using Cosolvent of Ionic Liquid and DMF)

  • 한송이;박찬우;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268-277
    • /
    • 2017
  • 본 연구는 리그노셀룰로오스의 주성분 용해에 우수하다고 알려진 이온성 액체인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EMIM]Ac)와 셀룰로오스와 친화성이 있는 유기용매인 dimethylformamide (DMF)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갯버들 목분을 처리한 후, 디스크밀 해섬에 의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무처리샘플과 DMF 및 [EMIM]Ac가 10과 30% 포함된 혼합용매로 목분의 고형분량을 15%로 선정하였다. 전처리물의 X선 회절도로부터 모든 샘플이 셀룰로오스 I의 패턴을 나타냈으며, 상대결정화도는 [EMIM]Ac가 30% 포함된 혼합용매로 2시간 처리한 전처리물이 가장 낮았다. 무처리 및 DMF와 [EMIM]Ac가 10% 포함된 혼합용매로 처리한 전처리물의 평균결정크기는 약 3.2 nm였으며, [EMIM]Ac가 30%까지 포함되고 처리 시간이 경과할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용매의 사용을 통한 전처리물의 목재세포벽 구조의 완화로 해섬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처리 시간 및 해섬 시간이 경과할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