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liam Faulkn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윌리엄 포크너의 『성역: 오리지널 텍스트』: 매트릭스의 역할 (William Faulkner's Sanctuary: The Original Text as a Matrix)

  • 정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3-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포크너의 "성역: 오리지널 텍스트"가 개작되어 발표된 "성역"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이 작품이 개작되고 버려진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독립적인 별개의 작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의 실험적 작품 활동이 활발하던 시기에 집필된 이 작품은 그 시기와 이후의 작품들의 주제와 인물 창작의 면에서 기반(matrix)의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잊혀져왔다. 이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초기 작품들의 인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과 작품들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주제의 틀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 자체로도 진지한 작업의 결과물이며 그가 구상한 요크나파토파 카운티의 첫 구상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호러스 벤보우의 어린 시절을 중심사건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 찾아서 이 작품이 가지는 중요성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1920년대에 작가로서의 입문과정을 거치면서 작가는 혼돈된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삶과 인간 군상을 만들어갈 때 작가에게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며 호러스가 지닌 인간의 약점이 ?틴과 다알과 젊은 베이야드 사토리스 등의 인물을 창조해나가는 원형이 되었다고 본다.

From the Isolation into the Community: The Dammed in Faulkner's Light in August

  • Han, SangJoon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311-335
    • /
    • 2014
  • Those who are damned in Light in August (1932) include Lena Grove, Joe Christmas as well as Gail Hightower. Through these characters, William Faulkner criticiz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fter Civil War, religious fundamentalism, and racial discrimination which were great social issues in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society. The main characters are commonly isolated from the community through their grandfather's influence instead of father, which lets Americans understand that their faults originated from the beginning of America. Although they tend to approach to the community from their isolation, the damned are refused from the community. However, Faulkner would not lose his hope even on the ground of Christmas's death. By evoking from Hightower and Bunch their responses for good, Lena can draw Hightower into the community, and create her home with Bunch as a final victor. Even in the community being rampant with racial hatred, which most of Americans can not but face with, Faulkner can provide us with a ray of hope through these three characters.

'육체의 복수' -포크너의 『압살롬, 압살롬!』에 나타난 성적, 인종적 타자의 귀환 (Revenge of the Flesh: The Return of Sexual and Racial Otherness in Faulkner's Absalom, Absalom!)

  • 권지은
    • 영어영문학
    • /
    • 제58권4호
    • /
    • pp.701-721
    • /
    • 2012
  • This paper aims to revisit William Faulkner's Absalom, Absalom! by focusing on the corporeal body and its role in dismantling the Southern ideology of white patriarchy. The latter, which is represented by Thomas Sutpen and his attempt to establish a white male dynasty, is a symbolic space in which the corporeal body turns into a symbolic one through the process of inscribing social ideologies on it. However, this symbolic space is also a contending site between the two bodies. The symbolic body of Sutpen cannot entirely erase its corporeal traces, and therefore the corporeal body, which is buried but nonetheless existent, threatens to undermine rules and premises of the symbolic order. Given that, this paper approaches Faulkner's critique of the Southern white patriarchal ideology from the tension that the corporeal body and the symbolic body create. The 'flesh' roughly corresponds to racial and sexual otherness, namely black flesh and the homoerotic desire of male body. Although they-as the matter of race and that of gender - function in different levels of signification, they still share a common purpose in revealing the logical paradox within Sutpen's symbolic order. The idea of pure whiteness that Sutpen subscribes to is a concept that prerequisites the existence of blackness. Likewise, his idea of male homosociality based upon patriarchal legacy stands precariously on the verge of disintegrating into homoetoricism. As internal otherness that Sutpen's symbolic order cannot fully incorporate, the corporeal body functions to indicate the limitation of Sutpen's Design and its body-signification process.

윌리엄 포크너의 『어느 수녀를 위한 진혼곡』: 템플의 도덕적 성장 (William Faulkner's Requiem for a Nun: Temple's Moral Growth)

  • 정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5-11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포크너의 "어느 수녀를 위한 진혼곡"에서 템플이 전편인 "성역"에 비해 도덕적으로 성장했는지를 재고해보는 것이다. "성역"에서 템플은 포파이에 의해 옥수수 속대로 강간당했지만 법정에서 위증을 하여 그 결과 억울하게도 리 굿윈이 잔인하게 처형된다. 그러나 8년의 시간이 흐른 뒤 "진혼곡"에서는 템플은 가우언 스티븐스의 아내이자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지만 과거의 악몽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옛 애인인 레드의 동생, 피트와 도망가려고 한다. 템플의 아기를 돌보는 흑인 유모 낸시는 자신도 과거의 트라우마를 지니고 있지만 템플과 그녀의 가정을 지켜주기 위해 아기를 살해하고 그 죄로 인해 법정에서 사형 언도를 받는다. 조금의 주저함도 없이 사형언도를 받아들이는 낸시와의 대면을 통해 템플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 과거의 무게와 과거의 현재성을 자각한다. 과거는 결코 과거가 아니라 현재라는 고통스러운 인식과 함께 죄와 벌에 대한 정신적, 도덕적 성찰로 이어진다. 실제의 집필기간이 20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작가 자신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시간에 대한 개념 역시 성장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ading Against the Grain: Whiteness, Class, and Space in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 Sa, Mi Ok
    • 영어영문학
    • /
    • 제64권2호
    • /
    • pp.239-252
    • /
    • 2018
  • Many critics on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have read Addie Bundren as the disrupter of patriarchal power. By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usefulness of language, which is the symbolic power of patriarchy and having an affair with the preacher Whitfield outside her wedlock, Addie directly challenges patriarchal power. From a quite different vantage point, however, we can read Addie as the faithful protector of the norm of whiteness in the South in light of the social hierarchy. As a former school teacher, Addie is from middle class before her marriage. By her marriage to Anse, who is a lower-class white, Addie has class anxiety that her social status in the stratum of whiteness could be degraded from a middle to a lower-class white, "white trash," which means that she is not white enough to be considered as the normative whiteness. Especially, Addie's anxiety increases due to the fact that her lazy husband is reluctant to work and relies on her neighbors, causing her family to be entrapped at the bottom in the stratum of whiteness. Therefore, she decides to take revenge on her husband after giving birth to her second child Darl by asking Anse to bury her dead body in her familial burial site in Jefferson. By rendering her family to suffer the hardship during her funeral procession, not only does she succeed in taking revenge on Anse on the surface, she regains her social status as a middle-class white by being buried in Jefferson fundamentally.

고딕소설 속에 나타난 숭고미의 표현 - 윌리엄 포크너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를 중심으로 (The Expression of Sublime in Gothic Novel - William Faulkner's A Rose for Emily)

  • 류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7-145
    • /
    • 2016
  • 우리는 무엇인가를 보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은 익숙하지만 숭고하다는 표현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사실 아름답다는 것과 숭고하다는 것은 다른 의미이며 숭고의 대상은 따로 존재한다. 숭고론은 롱기누스를 시작으로 버크, 칸트에 이르기 까지 개념과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공포의 대상으로부터 숭고미를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공포감 속에 숭고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딕소설로 분류되는 "에밀리를 위한 장미"에 표현된 숭고미를 고찰해보았다. 작품 속에 묘사된 에밀리의 칙칙한 철회색 머리카락과 붉은 피를 상징하는 빨간 장미, 그리고 그녀의 검은 옷은 어둡고 엄숙한 분위기의 숭고미를 표현하며, 떠난 호머를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에밀리의 모습, 마지막으로 숨진 채 누워있는 호머의 모습 자체는 공포의 분위기를 일으킴과 동시에 비극적 숭고함을 보여준다. 고딕소설 뿐 아니라 모든 문학 장르에서 숭고함의 표현은 찾아볼 수 있으므로, 앞으로 여러 문학 분야에서 숭고미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판옵티콘 메커니즘으로 살펴 본 제퍼슨 사회: 『팔월의 빛』을 중심으로 (Jefferson Society as Panopticon Mechanism: Focused on Light in August)

  • 정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80-1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포크너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남부 신화에 대한 재고라는 측면에서 그 신화의 실체 혹은 신화라는 허상에 대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타자에 대한 폭력, 혹은 작가로서의 고뇌를 다 아우를 수 있는 공통점을 찾고자한다. 특히 "팔월의 빛"에 나타난 제퍼슨 사회가 미셸 푸코가 말한 판옵티콘 메커니즘과 평행을 이루며 타자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푸코는 인간 본성의 기저에 깔려있는 감시와 처벌의 담론을 문학 작품의 장으로 옮겨 적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남부신화를 구성하는 감옥의 체계와 법체계를 초월하는 린치의 문제까지 한 사회가 저지르는 집단적인 반도덕적 행위에 대한 고발은 작가로서의 그의 양심과 도덕성에 대한 고뇌의 산물인 점을 파악한다.

Narrator as Collective 'W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Rose for Emily"

  • Kim, Ji-W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141-156
    • /
    • 2011
  • This study purposes to explore the narrative of fictional events complicated by a specific narrator, taking notice of his/her role as an internal focalizer as well as an external participant. In William Faulkner's "A Rose for Emily," the story of an eccentric spinster, Emily Grierson, is focalized and narrated by a townsperson, apparently an individual, but one who always speaks as 'we.' This tale-teller, as a first-hand witness of the events in the story, details the strange circumstances of Emily's life and her odd relationships with her father, her lover, the community, and even the horrible secret hidden to the climactic moment at the end. The narrative 'we' has surely watched Emily for many years with a considerable interest but also with a respectful distance. Being left unidentified on purpose, this narrative agent, in spite of his/her vagueness, definitely knows more than others do and acts undoubtedly as a pivotal role in this tale of grotesque love. Seamlessly juxtaposing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collective 'we' suggests an important subject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s blurred out for Emily, for whom the indiscernibleness of time flow proves to be her hamartia. The focalizer-narrator describes Miss Emily in the same manner as he/she describes the South whose old ways have passed on by time. Like the Old South, Emily is desperately trapped in the past, since she has not been able to adjust to the changes brought on by time. In the end, the tragic story of Emily Grierson which takes place in Jefferson plainly seems to serve as an introduction to mature Faulkner.

  • PDF

미국'남부문학'은 현존하는가?-『머쉰 드림』에 나타난 미완성의 기억과 기억의 물질성 (Is "Southern Literature" Alive?: Machine Dream's Incomplete Memories and Their Materiality)

  • 유제분
    • 영어영문학
    • /
    • 제59권4호
    • /
    • pp.545-567
    • /
    • 2013
  • Keeping in mind the hybridity and plurality of Souther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s the traits of Southern literature in Jayne Ann Phillips's first novel, Machine Dream. The novel's frequent use of memory and oral reconstruction of a family history accompanied by the feeling of loss in the process of depicting the South's past typically signifies "The Southern" which reminds us of the works of William Faulkner, Katherine Ann Porter, and Eudora Welty. Nevertheless, Phillips's South is more fragmented and her narrative is more evasive and varied than any of her Southern predecessors. The South of the twentieth century from the period of Depression until 1972 is reconstr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memories and desires of the four members of Hampson family in this novel, either as a place of nostalgia or as the place of trauma or as the place to survive only in memory. The oxymoronic title of the novel, "machine dreams" signifies that dream and memory of the South cannot remain independent in its epistemological entity but exist as a mixture of materiality of every day life in the modern South. The hybridity of this dream and of the South is what defines itself as Southern. Yet Phillips retains feeling of loss and lament enough to create a modern Southern novel rooted in Southern Literature. Thus, the title itself works an antinomic signifier of both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dream of the South and of Southern Literature.

나시서 벤보우에 관한 상호텍스트적 연구 (An Intertextual Approach to Narcissa Benbow in Sanctuary, Sartoris and "There Was a Queen")

  • 신영헌;강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00-309
    • /
    • 2020
  • 윌리엄 포크너의 여성 인물들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그들이 지닌 전복적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과거의 정형화되고 이분법적인 접근을 상당 부분 극복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별 텍스트에 국한해서 인물들을 분석한다는 한계를 보인다. 본 논문은 『성소』와 『사토리스』 및 단편 「여왕이 있었네」의 중심인물인 나시서 벤보우에 대한 상호텍스트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성소』에서 남부 명문가의 젊은 미망인인 나시서는 변호사 오빠 호러스가 살인 피의자의 아내와 젖먹이 아이를 자신들의 고향집에 데려다 놓은 것을 격렬히 비난한다. 창녀이자 살인범의 아내를 고향집에 들임으로써 자신과 가문의 평판이 깎일 것을 염려한 것이다. 결국 그녀는 그 모자를 집에서 내쫓는다. 반면 『사토리스』에서의 친절하고 차분한 나시서의 모습은 이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또한 「여왕이 있었네」에서 나시서는 자신이 과거에 없애버리지 못한 익명의 편지가 세상에 공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의 성을 대가로 거래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무쌍한 나시서의 변모를 일관된 시선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따져본다. 이를 통해 포크너가 창조한 여성인물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작품에 대한 상호텍스트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