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Birds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에 서식하는 조류와 다람쥐의 Hantavirus 감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 Study of Hantavirus Infection in Avians and Squirrels in Korea)

  • 이연태;박철희;조규봉;송재옹;박은병;최승구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106
    • /
    • 1996
  • Hantavirus is the etiologic agent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It has been known that the natural reservoirs of Hantavirus are not only field mice but also other animals in parts of the world. In this study, to research on the host range of Hantavirus, immunofluorescent antibody against Hantavirus was investigated in wild birds from 1991 to 1992, duck from 1991 to 1992 and squirrels (Tamias sibiricus) in 1990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otal 179 wild birds of 14 species, Emberiza elegans elegans and Passer montanus dy-bowsky were antibody positive. The positive rates were 3.92% (2 out of 51) and 1.64% (1 out of 61), respectively. 2. The antibody titers of wild birds were 1:16 and 1:64 in Emberiza elegans elegans, 1:16 in Passer montanus dybowsky. 3. The positive rate of antibody in ducks was 2.3% (3 out of 129). 4. The positive rate of antibody in squrrels was 48.10% (38 out of 79). According these results, we newly showed that passer montanus dybowsky, domestic ducks and Tamias sibiricus possessed the antibody against Hantavirus.

  • PDF

산새류의 계절별 적정 조사시간 선정 연구 (Selecting the Optimal Research Time for Forest Birds Census in Each Season)

  • 김미정;이수동;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9-229
    • /
    • 2013
  • 본 연구는 산림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야생조류의 효율적인 조사시간을 계절별로 제시하기 위하여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상지 및 일대의 토지이용현황, 현존식생, 식생구조 등을 파악하였으며, 산림성 야생조류의 적정 조사시간을 제안하고자 계절별 3일간 일출 몰 시간을 기준하여 1시간 간격으로 반복 조사하였다. 방조어부림은 주변 산림과 연결되어 산림성 야생조류의 유입이 가능하고 숲 자체의 층위구조 발달, 대경목의 느티나무와 푸조나무가 분포하는 등 자연림과 유사하여 다양한 서식처 및 채이장소를 제공할 수 있어 야생조류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장소이다. 관찰된 105종을 유형화하여 산새류를 구분하였고 각 계절별로 시간대별 최고값을 선정한 후 총 출현 종수 및 개체수에 대해 시간대별 종풍부도, 종다양도, 유사도지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봄철에는 8~9시까지가 최적의 조사시간이었고 여름철에는 전체 출현종과의 종구성이 유사한 6~9시의 시간대가 적정 조사시간이었다. 가을철에는 일출 후 30~60분 이후부터인 오전 7시부터 11시까지의 시간대에 야생조류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관찰이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8~9시에 종풍부도가 가장 높아 최적의 조사시간이었다. 겨울철은 7~12시의 시간대가 효율적이며 10~11시가 최적 시간이나 일몰 전 1시간을 제외하면 시간대별 편차가 크지 않아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계절 모두 일출 후 30~60분 후부터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대상지역의 야생조류 군집을 파악하기에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우신;이준우;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0-192
    • /
    • 1993
  • 본 연구는 소백산 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조류 군집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1992년 2월부터 10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1종, 여름철새 17종, 겨울철새 6종 그리고 나그네새 4종으로 총 9목 12과 58종이며 이중천연기념물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324호인 소쩍새 그리고 242호인 까막딱다구리가 관찰되었고 위기 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와 되지빠귀가 발견되었다. (서식종수는 봄철 38종, 여름철 33종, 가을철 26종 그리고 겨울철 22종이었다). 번식 조류 군집 중 수동 및 관목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길드와 수관층에서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길드가 대부분이었다. 제 1조사구역의 해발 900m이후의 자연식생과 제 2조사구역의 철쭉군락을 포함한 초원지역은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제 3조사구역은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과수원, 농경지, 개활지 등의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지역은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국립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된다. 가을과 겨울철에는 풍부한 먹이 공급을 위해 먹이식물 및 활엽수림 조성 관리가, 봄철과 여름철에는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이용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