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coxon test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6초

DEA를 이용한 의료기관의 효율성 벤치마킹 (Efficiency Benchmarking of Hospitals Using DEA)

  • 서수경;권순만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4-104
    • /
    • 2000
  • This paper analyz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irty two hospitals in Korea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provides an efficiency measure for each hospital compared to the most efficient one. The amount and sources of inefficiency that are identified by the DEA are useful for benchmarking to improve efficiency.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ilcoxon Rank Sum test show that bed turnover, hospital size, and average length of stay are related to hospital efficiency.

  • PDF

On a Subset Selection Procedure Based on Hodges-Lehmann Estimators

  • Song, Moon-Sup;Kim, Soon-Ock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16권1호
    • /
    • pp.26-36
    • /
    • 1987
  • In this paper, we study on a subset selection procedure based on Hodges-Lehmann estimators derived from the Wilcoxon test. To estimate the standard error of the Hodges-Lehmann estimators, the biweight A-estimator of scale is used. The Pitman efficiency of the proposed rule is compared with the Gupta's rule and the trimmed-means rule through a small-sample Monte Carlo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rule satisfies the $P^*$-condition and is very efficient in various heavy-tailed distributions.

  • PDF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 효과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after Mastectomy)

  • 임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13-3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유사실험설계이며, 연구대상은 D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3년 이내의 환자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실험군에게는 2015년 6월부터 7월동안 총 주 3회의 운동프로그램을 7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연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어깨관절 유연성은 줄자를 이용한 등 뒤 손잡기와 관절 각도계를 이용한 어깨가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악력은 악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사전 동질성 검증은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은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등 뒤로 두 손 마주잡기(p=.001), 굽힘(p<.001), 벌림(p=.032), 바깥돌림(p=.024), 안쪽돌림(p=.041) 등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 유연성과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악력(p<.001)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별 유방암 환자의 특성과 신체적 상태를 고려하여 과부하의 원리와 점증적 원리로 구성된 유방절제술 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상지 운동프로그램은 수술 후 환자들의 어깨관절 유연성과 악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술 후 많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어깨관절 기능 및 악력 저하를 예방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HIV/AIDS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by Teaching-Learning Methods)

  • 서명희;정석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19-532
    • /
    • 2016
  • 본 연구는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HIV/AIDS 교육 프로그램을 토의식 교수학습방법과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으로 각각 적용 한 후,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 그리고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사전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총 116명으로, 각각 토의군 60명, 강의군 56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test, One-tailed independent t-test, One-tailed Mann-Whitney U-test, One-tailed Wilcoxon signed-rank test, One-tailed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HIV/AIDS 지식, 태도 그리고 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강의군과 토의군 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교육 전 보다 교육 후에 HIV/AIDS 지식과 태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HIV/AIDS 지식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교육 대상 및 목적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초·중학생 대상 극지 소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Polar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9-223
    • /
    • 2023
  • 이 연구는 초·중등 학생의 극지 소양 함양을 위해 개발된 극지 소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를 평가하고,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olar-ICE 단체가 정립한 7가지 극지 소양 원리를 중심으로 개발한 모듈식 프로그램 중 과학개념을 강조한 프로그램과 인문학과 사회학적 쟁점을 강조한 프로그램 등 두 과정에 적합한 세부 프로그램을 선정해서 구조화했다. 이들 두 가지 프로그램은 서울 소재 대학 과학교육과에서 주최한 토요 과학교실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26명에게 약 69시간에 걸쳐 적용되었다. 26명의 학생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에게는 각각 극지 소양을 위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과 인문 사회학적 쟁점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했고, 나머지 한 집단은 극지 소양과 관련 없는 일반 과학 교육을 적용하여 대조군이 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후에 세 집단의 학생들은 모두 동일하게 극지 소양 검사와 극지에 대한 연상 단어와 장면을 진술하는 설문에 응답했다. 검사 결과는 비모수검정 방법인 Wilcoxon의 대응쌍 부호순위로 나타내어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향상도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지식 측면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향상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향상의 정도가 더 컸으며, 명시적으로 다룬 내용이나 소재에서 특히 분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는 그다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문 사회학적 쟁점을 다루었던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극지 심상의 변화는 실험 집단인 두 집단이 대조 집단에 비해 단조로운 이미지에서 좀 더 다양한 이미지로 분산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 원리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의할 점,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고 지구계 교육에 도움이 되는 소재로 활용할 필요성, 극지에 대한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 기후 위기 대응을 준비하는 학교 교육 과정과의 연계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사용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근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on Hand Function and Muscular Strength for Patients with Stroke)

  • 정인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71-81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을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및 수부 근력 재활에 사용하고 그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증상을 가진, Brunnstrom 4-6단계에 해당하는 치료후 18개월 이내의 급성기 환자 3명이다 연구방법은 3명의 대상자에 대하여 단일사례 (A-B) 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CPM의 영향을 검사하기 위해 젭슨수지기능, 퍼듀페그보드, 수부근력 세 가지를 측정하였다. CPM 적용기간은 3주였으며, 적용회수는 하루 2회, 매회 20분씩, 총 30회기였다. 연구결과: 수부근력 측정 중 손끝잡기에서 대상자 2명의 값이 변화가 없었다. 그 외의 젭슨수지기능, 퍼듀페그보드, 수부근력 검사에서는 CPM 적용 후의 검사 결과가 향상되었다. 결과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비모수적 통계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한 P-Value가 0. 05 보다 큰 값이 나와 처치 전 후 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 참여 대상자 수가 적고 프로그램 적용 기간이 짧은 제한점이 있으나, 수부 재활을 위해 실시한 CPM이 연구대상자 전원의 손 기능 및 근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로 하지 기능과 근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CPM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부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ST를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발현에 관한 해석 (An analysis of microarray gene expression using FST)

  • 최경옥;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77-80
    • /
    • 2007
  • 현재 생명공학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생물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어레이 기법은 현재 질병의 진단 및 신약 개발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발현에 관한 분석은 크게 유의한 유전자 추출, 클러스터링, 분류 및 유전자 네트워크 구축 등으로 볼 수 있다. 유의한 유전자 식별을 위한 통계학적 방법으로 T-test 및 Wilcoxon Rank Sum test 등이 있다. 최근에는 수정인자를 추가하거나 혹은 퍼지이론 등의 지능정보 이론을 추가하여 그 계산결과를 좀 더 상세화하고 세분화하는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그룹에서 발현된 유전자들 중 유의하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이론을 도입하여 유의한 유전자를 규명하는 FST(Fuzzy Significance Test)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수중운동이 재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in Home Stroke Patients)

  • 박상연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98-80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rehabilitation in home stroke patients. Method: A quasi-experimental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change of balance, ADL, IADL, pai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tthe completion of 6-weeks aquatic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consisted of 25 adults who had a stroke. Thirteen experimental and twelve control subjects completed pre and post test measures. Outcome variables were balance, ADL, IADL, pai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Chi-Square test(Fisher's exact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equality of the subjects and Wilcoxon Rank Sum Test used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by using SA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and de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L, IADL, pain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quatic exercise can improve ADL, IADL, self-efficacy and reduce pain.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aquatic exercise and number of subjects, so that its effects can be more generalizable.

  • PDF

Effects of Removable Ankle-Foot Orthosis in Chronic Patients With Hemiplegia During Gait Training: A Pilot Study

  • Kim, Hyung-geun;Oh, Yong-seop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1-9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movable ankle-foot orthosis (RAFO)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gait of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stroke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signing a written consent form. To verify gait improvement after wearing the orthosis, a Timed Up and Go test and Functional Gait Assessment were performed, and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such as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double limb support, and the efficient gait test of body sway angle were performed. For every variable, the differences prior to and after wearing the RAFO were compar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Every gait variabl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wearing the RAFO compared to prior to wearing it. The pilot study will enhance future efforts to evaluate orthotic function objectively during gait in stroke patients.

척수손상 환자의 자세에 따른 폐활량의 변화 (A Comparison of Vital Capacity Value With Spinal Cord Injury Following Changing Positions)

  • 김영록;이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8-5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ital capacity (VC) in relation to the changing position of 19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SCI) and 20 normal controls. Among the 19 SCI patients, there were 9 quadriplegics and 10 paraplegics. The vital capacity was measured in each subject during sitting, standing, lying, and head down position of 30 degrees.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For the SCI, significant difference of VC accoring to the 4 positions between quadriplegics and paraplegics. 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of VC according to the 4 positions. In 4 positions the VC of men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women between two group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VC by the postural change between quadriplegics and parapleg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