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dowed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4초

지하매설물 탐지시스템의 제어 및 표시장치 (Control and Display Device of Underground Object Detect system)

  • 서정만;정순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5-43
    • /
    • 2001
  • 지하매설물을 탐지하는 기술에는 매설물의 송신기(transmitter)를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가하여 매설물을 자화시켜 땅위의 상부에서 자속을 감지하여 매설물의 위치를 찾아내는 기술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땅속에 일정 자계를 형성하여 그 자속 변화를 감지해 매설물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과 지하매설물의 탐지시스템의 제어 및 표시 장치의 설계와 구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지하매설물의 탐지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지하매설물의 판단 유무를 측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Factors Affecting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among Elders in Korea)

  • 윤현숙;윤지영;김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249-27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에 경험하는 다양한 거주형태 변화와 그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거주형태별 영향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의 고령자패널조사 자료 중 2003년과 2009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60세 이상 유자녀 노인 825명이다. 분석 방법은 T2(2009년)의 거주형태를 종속변수로, T1(2003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문화적 변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2003~2009년 6년 동안 거주형태 변화를 경험한 노인이 29.82%에 달해 노년기 거주형태가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노인 거주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주택소유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심리적 안녕감, 부양책임감 등이 도출되었으며, 각 거주형태별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제언으로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가 매우 크고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노년기 사별 후 성장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t-bereavement Growth Inventory in Later Life)

  • 장수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61-8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별 후 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기존 척도들을 참고로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척도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배우자 사별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24개의 문항이 결정되었으며, 사별 후 성장척도의 5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둘째,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비탄반응척도(HGRC: Hogan and Schmidt, 2001) 가운데 '개인적 성장'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별 후 성장과 HGRC 개인적 성장은 높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셋째, 대비집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척도(PWB: Ryff and Keyes, 1995)와 슬픔극복척도(GRI: Remondet and Hansson, 1987)의 상 하위 30% 집단 간에 사별 후 성장점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제시되었다. 넷째, 사별 후 성장척도의 내적일치도는 .907(하위요인 .649~.856)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별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특히 학력이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별 후 성장척도의 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척도는 사회복지 및 임상분야 실천가들에게 사별자에 대한 성장지향적인 실천적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개입 시 활용가능한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여성 한부모의 자립 경험과 강점 자원에 대한 연구 : 사별, 이혼, 미혼모 가족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periences of self-reliance and strengths of single mothers: A comparative study of widowed, divorced and unmarried single mother families)

  • 김지혜;김희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159-193
    • /
    • 2018
  •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발생 유형, 즉 사별, 이혼, 미혼 한부모의 삶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 자립하는 과정, 자립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강점을 비교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점은 강점관점의 틀을 중심으로 개인, 환경적, 삶의 요소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세 유형의 한부모 가족의 자립 경험, 강점 자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자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편적 제반 조건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각 유형의 독특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사별 4사례, 이혼 8사례, 미혼모 8사례로 총 20사례를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 세 유형 모두에게 자립은 하나의 완결된 사건이 아니며, 엄마로서 주어진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그 힘을 갖추어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자립을 의미하였다. 힘을 갖추는 것은 경제적 자립을 위한 힘을 갖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수용, 통제감 갖기, 자기 개발을 통해 역량강화되며 심리사회적 힘을 갖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들의 자립 경험과 강점 분석을 통해 자립 과정에 중요한 공통 자원과 경험의 독특성, 차이점 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 가족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의 기능과 제도적 지원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자녀교육과 수요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적 고찰 (An Empir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Demand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Quantity-Quality Interaction Model)

  • Chang-Jin Moon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97-203
    • /
    • 1988
  • 한국 사망력의 수준 및 특징을 일본과 비교하고자 양국의 1995년 공식통계를 사용하여 사망원인별로 성$\cdot$연령$\cdot$혼인상태별 사망률, 연령표준화사망률, 생존기간손실년수(PYLL) 및 동 측정치의 남녀간 비와 한일간 비를 계산하였다. 사망원인 항목은 모든 사인(총사망), 결핵, 악성신생물,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간 진환, 교통사고, 자살을 포함한다.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사망력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자살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인에서 한국의 사망률이 일본보다 높은데 , 특히 결핵, 고혈압성 질환, 간 질환 및 교통사고의 경우 한국 생산활동연령층의 사망률이 두드러지게 높다 : (2)결핵, 간질환, 교통사고, 암사망이 한국의 소아에게서도 발생한다 : (3)한국의 생산활동연령층에서 간 질환, 결핵, 교통사고에 의한 성별 사망력 격차가 큰데, 남성의 사망률이 여성의 사망률보다 높기 때문이다 : (4)자살률이 한국생산활동연령층 남성의 경우 일본보다 낮고, 10대와 20대 여성의 자살률은 일본보다 높다 : (5)한국의 45세 미만에서는 사인에 따라 사별이나 이혼상태에서, 45세 이상에서는 모든 사인에 대해 남녀 모두 미혼상태에서 사망력이 가장 높다. : (6)한국은 사별상태에서, 일본은 이혼상태에서 성별 사망력 격차가 가장 크다.

  • PDF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중고령 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Intergenerational proximity and financial support to older parents)

  • 최희정;남보람;유수빈
    • 한국노년학
    • /
    • 제41권2호
    • /
    • pp.253-270
    • /
    • 2021
  • 본 연구는 세대 간 거주근접성이 성인자녀가 중고령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자원이전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세대간 거주근접성과 경제적 자원이전의 관계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자녀 본인 뿐 아니라 형제자매의 거주근접성 역시 고려되었다. 미국 등 국외 선행연구는 근거리에 거주하는 형제자매가 제공하는 도구적 지원을 보완하기 위해 원거리에 거주하는 자녀의 경제적 지원수준이 높을 것으로 보았다. 데이터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2014)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부모의 연령이 60세 이상이고 자녀의 연령은 35세에서 55세 사이로 부모가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부모의 경우 부부가구이거나 배우자와 사별한 독거가구로 구분하였다.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으로 가족내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30분 이내 거리에 거주하거나 혹은 1시간 이상 2시간 이내 거리에 거주하는 경우 아들의 경제적 지원액이 딸보다 많았다. 둘째,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형제자매를 포함하여 모든 자녀가 부모와 1시간 이상 거리에 거주할 때 아들과 딸 성별의 구분 없이 경제적 지원액이 높았다. 세대간 거주근접성과 경제적 자원이전의 관련성은 배우자와 사별한 1인가구 부모가 경제적 지원의 수혜자인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구조에 따른 자기보호아동과 성인보호아동의 학교적응 및 자의식 정서 (Analysis of Adaptation and Self-Consciousness between Supervised and Unsupervised Children)

  • 이정숙;김은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5-96
    • /
    • 2008
  • Given the evolving nature of the family unit, a large number of children are being left unsupervised after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aptation ability and emotional capacity of these children.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708 middle-school students in Seoul,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adult-care children, for whom adults provide care after school, and self-care children for whom no adult supervision was present. In particular, we examined children's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and possible self-consciousness difference between self-care and adult-care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ir family characteristic; divorced, separated, widowed parent, remarried parents, ordinary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are children tend to have a higher rate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compared to adult-care children. Furthermore, self-care children exhibited lower school adaptation rate than adult-care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m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groups. In relation to specific family structures, children from reorganized famil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and self-conscious, while self-care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revealed low school adaptation and high self-consciou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ritical in the effectiv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adaptive and emotional behaviors arising from changes in their family structure.

미국 대도시권역 공동주택 임차가구의 주거 만족도 영향 요인 (Influences on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Housing Renter Households in the U.S.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 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using 2009 American Housing Survey public-use microdata. A total of 8,139 multifamily renter household residing i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s,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tended to show a smaller household size, younger householders, a greater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householders who have never married, or have been widowed, divorced or separated; (2) housing cost related variables such as monthly rent or rent per square footage were found no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3)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with householder's age 34 years or younger were neighborhood satisfaction, householder's race, structure age and per-person unit size; and (4) neighborhoo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of multifamily renter households in metropolitan areas.

홀로된 노인의 재혼관 연구 (A Study of the Single Elderly's View on Remarriage)

  • 서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2
    • /
    • 1997
  • This study is about understanding the single elderly's view on remarriage and finding factors that affect the remarriage which should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single elderly's view on remarriage. 251 single elderly men and women (divorced or widowed)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naire which also involved individual interviews.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he elderly's view on remarriage significantly varies according to the factors like sex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of the elderly cause of being single degree of loneliness need for remarriage degree of satisfaction out previous marriage prior remarriage experien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ut of previous marriage is high when they maintain cordial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cause of breakup of marriage is death and the degree of loneliness is high and the period of the previous marriage is long while the period of being single afterward is short. Women's expectation level of remarriag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variables. But that of men's i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variables. But that of men's i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most variables. The satisfaction of the first marriage and the expectation level of remarriage are in positive correlation.

  • PDF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성생활 경험 (Sexual Life of Older Adults in Rural Community)

  • 김영희;한영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6-65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lders in rural communities maintain their sexual lif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0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ld or older, and either were married couples or were continuing the sexual relationship though widow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Strauss and Corbin's (199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s of the elderly's sexual life was identified with 'changeable sexual life at husband's mercy'. This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3 stages, which were the stage of recognition of sex difference and obstacle in sexual life, the stage of observation of partner's attitude and the stage of husband's lead in sexual lif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exuality was an important aspect for the elderly although their sexual interests and activities declined along with aging. In addition, the husband's sexual and economic capabilities and sexual difference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elderly's sexual lif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exuality as a normal aspect of life for the elderly when nurses plan for their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