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corn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8초

진주조의 사료적 가치 (Feed Value of Pearl Millet [Pennisetum americanum(L.) Leeke] Grown as a New Forage Crop)

  • 박근용;최병한;강영길;문현귀;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8-53
    • /
    • 1988
  • 진주조가 우리나라 자연환경조건에서 재배될 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조, 기장,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985∼86년에 수원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 파종, 시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 요약하여 보고한다. 1. 진주조는 26품종 평균 청취수량이 10.7∼12.8t/10a 생산되어 조, 기장,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다수확되었다. 옥수수는 조와 기장에 비하여 증수되었고 기장은 조에 비하여 청취 및 건물수량이 높았다. 2. 진주조 우량교잡종 수원 001는 3회 예취한 청예수량이 14.9t/10a로 옥수수 6.6t/ 10a,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9.5t/10a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엽면적지수도 3회 예취시 합계 32.4로 옥수수 5.8, 수수/수단그라스 20.8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조단백질함량에서도 진주조의 종실에서는 16.3%로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6∼5% 높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11.8%, 4회 예취에서 평균 16.1 %로 월등히 높았다. 조지방함량도 진주조 종실 3.8%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청예용 식물체에서는 1.3∼1.4%로 옥수수와 비슷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보다는 약간 낮았다. 종실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가 1.9%로 옥수수 2.6%, 수수/수단그라스 4.3%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 24.4∼26.8%로 옥수수보다 낮았으나 수수/수단그라스와는 비슷하였다. 조회분은 진주조 종실에 2.4%, 청예용 식물체에 10.8∼11.6% 함유되어 있었으며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와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율도 진주조가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3. 질소증시에 따라 진주조 자식계통 T 186의 청예수량이 증가되었다.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은 N0∼10kg/10a구에서 5.2∼5.0%, N 20∼40kg/10a구에서 8.9∼8.4%. N 60kg/10a구에서 12.4%로 증가되었으나 조지방함량은 질소증시에 따라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조섬유함량은 27.7∼30.5%로 질소증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조회분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소화율은 N0∼10kg/10a구의 49.4∼49.7%에 비하여 N20∼30kg/10a구에서는 56.6∼60.9 %로 증가하였으며 N40∼60kg/10a구는 50.2∼55.0%로 약간 낮아졌다.

  • PDF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AND FEED COST OF KOREAN NATIVE GOATS FED CORN-MANURE SILAGES

  • Kim, J.H.;Ko, Y.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5호
    • /
    • pp.427-431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igate feed cost of com-manure silage and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goats which was fed com-manure silage. The average weight about 11.6 kg of twenty one Korean native male goats (4 month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feeding trial. The goats were individually reared in metabolism cages and fed diet daily of 2% of the body weight on the dry matter basis. The treatments were divided into whole crop com silage(CS silage), whole crop com ensiled with cage layer manure (CLM; Com-manure silage or MS silage) and whole crop com silage supplemented with urea at feeding time (US silag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lactic acid and the ratio of ammonia nitrogen to total nitrogen ($NH_3-N/Total$ N) in MS silage were increased from 7.7 to 14.9%, 5.7 to 7.5% and 8.2 to 16.6%,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p < 0.05) different in all observations. Total body weight gain of those goats for 90 days was 6.0 kg (66.7 g/day; MS silage 4.3 kg (47.8 g/day; US silage) and 3.9 kg (43.4 g/day; CS silage), and feed conversion of MS silage (5.98) for 90 days was increased by far the best in the other groups and decreased about 30% in proportion to CS silage. Feed cost per 1 kg MS silage (1,606 won) was the lowest (p < 0.05) in the body weight gain and cut down expenses than fed CS silage by 37% of feed cost.

새만금간척지 조기노출지역의 담수기간별 제염과 청보리 생육 (Desalinization of Flooding Periods and Growth of Whole Crop Barley as Early Exposure Area in 'Saemangeum' Newly Reclaimed Land)

  • 최원영;송태화;김선;이장희;정재혁;김시주;이경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6-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에 조성된 신간척지 포장에서 담수와 하작물 재배처리가 제염 및 후작으로 재배한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신간척지 포장의 조기제염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 담수기간별 하작물 재배후 청보리 입모를 보면 무담수에서 $m^2$당 216개로 입모율 25%, 1개월 담수 43%, 2개월과 3개월 담수 58%, 벼 재배구는 60% 이었다. 2. 토양염농도는 청보리 파종 시에 무담수 처리에서 0.50%로 높았고, 그 외 담수처리에서는 0.2% 이내로 낮았으며, 생육 중기까지는 높아지다가 생육후기에는 파종시의 수준과 비슷하였다. 3. 초장과 간장은 담수기간이 길수록 많았으며, 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무담수에서는 극히 적었으며, 담수기간이 길수록 수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무담수 대비 3개월 담수에서 504%, 벼 재배에서는 536% 증수하였다. 5. 사료가치는 담수 1개월은 단백질함량과 섬유소함량이 낮게 나타났고, 담수 3개월은 벼 재배구와 사료가치 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새로 조성된 간척지(사양토)에서 제염을 목적으로 담수할 경우 3개월 이상 담수하거나 벼를 재배하여 제염을 하고 밭작물(청보리)을 재배하여야 어느 정도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vestigation of forage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for livestock

  • Park, Myoung-Ryoul;Seo, Min-Jung;Yun, Hong-Tae;Park, Chang-H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0-220
    • /
    • 2017
  • Soybean (Glycine max (L.) Merill) is a very outstanding material crop with high protein and oil conten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forage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as livestock forage. Three soybeans cultivars, OT93-26,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evaluated for forage use in this study, and Kwangpyeongok and Yeongwoo were used as check forage corn and rice, respectively. The whole soybean plants were harvested at the R5 (beginning seed development)- and R6 (full seed)-reproductive stages for analyzing forage usability and quality. Days to harvesting of the R5 stage-OT93-26 was the shortest among the tested crops while that of Yeongwoo was 122 days.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of all 3 soybeans were greater at R6 stage than at R5. Crude protein of the soybean cultivars harvested had a higher compared to the rice and corn regardless of the harvesting stage. Contents of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Yeongwoo had the lowest whereas Pungwon harvested at R5 were the highest. Among the soybeans, digestible dry matter, dry matter intake, and relative feed value of R6-harvested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high more compared to those at the R5-harvested, but in case of OT93-26 those at R6 stage were inversely measured rather than those at R5 stage. In conclusion, soybean can be used as s forage with high nutritive value for livestock. Moreover, Geomjeongsaeol can be applied to develop new forage soybean varieties with high nutritive value, and R6 stage is the optimum harvesting stage in yield and quality of the tested soybeans more than R5.

  • PDF

우리나라 농업의 변천과 비료의 역할 (Role of Chemical Fertilizer and Change of Agriculture in Korea)

  • 정덕영;이교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1호
    • /
    • pp.69-83
    • /
    • 2008
  • The self-supply rate of Korea in 2006 was approximately 27.3 % by importing 13.99Mt for 19.79Mt of demanded amount. Among the imported crops, wheat, corn, and soybean consumed 95 % for the total imported amount, and wheat, corn, and soybean were 3.5Mt(Table use : 0.22Mt; Feed stuff : 0.13Mt), 8.7Mt(Table use : 0.19Mt; Feed stuff : 0.68Mt), and 1.2Mt (Table use : 0.03Mt; Feed stuff : 0.09M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ur government has prepared the strategies for a great fear of food according to sharp price rise of the international crops by maintaining the self-supply rate of 5 % excluding 5.23Mt of rice in Korea. Also concern for recycled energy known as future energy for era of high oil price and global warming due to green house gas is rapidly growing. Therefore, our country which has relied on import of the whole oil needed in Korea and has to keep Kyoto Agent to request reduction of green house gas fully support research and practical use for agricultural products as resource of alternate energy. At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mass production technology in order to secure a program of self-supply of food for bioenergy production utilizing agricultural product in Korea. But we assume that this matter is difficult to achieve under the current agriculture system that more emphasizes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uch as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an production of food.

  • PDF

5균-GMP 생산 융합균주 RC102의 고정화에 의한 5균-GMP 생산 (Production of 5균-GMP by Immobilized 5균-GMP Producing Fusant RC102)

  • 이인선;조정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79-784
    • /
    • 1995
  • 5'-GMP(5'-Guanylic acid) 생산 융합균조 fusant RC102를 고정화하여 5'-GMP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고자 하였다. 균체 고정화용 담체로서 k-carrageenan, polyacrylamide, Ca-alginate 및 agar 등 4가지 담체에 고정화한 결과 최적 담체로서 3% k-carrageenan을 선정하였으며, 이담체에 고정화한 균체를 이용하여 5'-GMP 연속적으로 생산하였다. 고정화 균체에 의한 5'-GMP 생산의 최적 온도 및 pH은 $32^{\circ}C$, pH 8.0, 미량온소로서 $Mn^{2+}과\;Zn^{2+}$의 농도는 각각 $30\mu\textrm{g}/L,\;1{\times}10^{-6}%$이었다. $Mn^{2+}$이 풍부하고 값싼 CSL(Corn Steep Liquor)을 배지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penicillin G와 D-cycloserine 및 POSEA(polyoxyethylene stearylamine) 농도 최적 농도는 각각 0.8unit/ml, 0.8unit/ml, 그리고 5mg/ml으로 나타났으며, 항생물질 보다 계면활성제가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최적 조건에서 고정화 fusant RC102는 15일간 안정되게 5'-GMP를 생산하였다.

  • PDF

양액재배하(養液栽培下)에서 유황시비(硫黃施肥)가 옥수수(Zea mays L.)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on Corn(Zea mays L.) Seedling Growth under Nutrient Solution Culture)

  • 김무성;김세영;오종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6-311
    • /
    • 1995
  • 다양필수원소(多量必須元素)중의 하나인 유황(硫黃)이 옥수수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5년(年) 5월(月) 22일(日) 부터 1995년(年) 7월(月) 10일(日)까지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수원(水原)캠퍼스 온실(溫室)에서 옥수수 광안옥 품종(品種)과 횡성옥 품종(品種)을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7주간 양액재배로 실시하였다. 유황 시비처리는 양액에 $MgSO_4{\cdot}7H_2O$를 첨가하여 조절하되 양액중 유황농도는 무류황구(無硫黃區)(-S)가 0ppm, 대조구(對照區)(C)가 68ppm, 2배시용구(倍施用區)(2S)가 136ppm, 3배시용구(倍施用區)(3S)가 204ppm이 되도록 하였다. 파종후(播種後) 매주(每週)마다 옥수수의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건물중(乾物重)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7주간(週間)의 생육(生育)에 있어서 광안옥 품종(品種)의 초장(草長)은 C>2S>3S>-S구(區), 엽면적(葉面積)은 2S구(區)>C구(區)>3S구(區)>-S구(區), 그리고 건물중(乾物重)은 2S구(區)>3S구(區)>C구(區)>-S구(區) 순(順)으로 신장하였고 횡성옥 품종(品種)에 있어서 초장(草長)은 C구(區)>-S구(區)>3S구(區)>2S구(區), 엽면적(葉面積)은 C구(區)>3S구(區)>2S구(區)>-S구(區), 건물중(乾物重)은 C구(區)>3S구(區)>-S구(區)>2S구(區)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다. 전실험기간(全實驗期間)동안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건물중(乾物重)을 통합한 결과(結果)는 두 품종(品種) 공히 무류황시용구(無硫黃試用區)(-S)에서 가장 저조(低調) 하였고 횡성옥 품종(品種)에서는 C구(區)가 가장 증가(增加)하였다. 작물생장율(作物生長率)(CGR)은 두 품종(品種) 모두 파종후(播種後)부터 3주(週)까지는 완만(緩慢)한 증가(增加)를 보이다가 파종후(播種後) 4주(週)째부터는 증감(增減)이 크게 교차(交叉) 현상을 보였지만 횡성옥 품종(品種)의 C구(區)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 PDF

우분액비 및 톱밥발효돈분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 생산성 및 양분용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Types and Rates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and Swine Manure Fermented with Sawdust on Productivity of Silage Corn and Leaching of Nutrients)

  • 나훈찬;정민웅;최연식;최기춘;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7-186
    • /
    • 2006
  • 본 연구는 가축분뇨의 종류와 시용수준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과 N과 P의 용탈량을 조사하여 친환경 조사료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건국대학교 초지 시험포장 내의 사양토로 충전된 Lysimeter(직경 30cm, 깊이 1m)를 이용하여 화학비료, 우분액비 및 톱밥발효돈분에 대하여, N 시용수준을 100kg/ha, 200kg/ha, 400kg/ha씩으로 시험구를 배치 수행하였다. 옥수수 건물 및 질소 생산성은 화학비료>우분액비>톱밥발효돈분 순이었고(p<0.05),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그 생산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옥수수의 조단백질 함량은 화학비료>톱밥발효돈분>우분액비 순이었으나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분뇨시용 형태별 용탈수 중의 $NO_{3^-}N$ 함량은 톱밥발효돈분>화학비료>우분액비 순이었으며(p<0.05), $NH_{4^-}N$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결코 1 mg/L을 상회하지는 않았다. 가축분뇨의 시용형태별 평균 $PO_{4^-}P$ 농도는 톱밥발효돈분>화학비료>우분액비 순이었고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p<0.05), 용탈량은 매우 적었다.

Glyphosate에 대한 옥수수 반응의 개선된 검정방법 (An Improved Method to Determine Corn (Zea mays L.) Plant Response to Glyphosate)

  • 김진석;이병회;김소희;민석기;최정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57-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를 대상으로 glyphosate에 대한 여러 가지 생리적 반응을 검토한 후, glyphosate 저항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방법 두 가지를 확립하였다. 한 가지 방법은 옥수수 제3엽 상단에 약제를 국소 처리한 다음, 처리 후 3일째에 약제처리 되지 않았던 제4엽의 신장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전식물체-엽생장 검정). 이 경우 glyphosate $50-1,600{\mu}g/mL$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엽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1,600{\mu}g/mL$ 농도에서의 생장 억제율은 무처리 대비 55.5%였다.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옥수수 제3본엽의 엽절편 ($4{\times}4mm$) 4개씩을 $200{\mu}L$의 시험용액이 담긴 48 well plate에 치상한 후 $25^{\circ}C$ 연속 명조건에 24시간동안 배양하여 shikimate 축적량을 조사하는 것이다 (엽절편-shikimate 축적 검정). 이 경우 시험용액에 0.33% sucrose를 가하면 무첨가에 비해 약3-4배 정도의 shikimate 축적 증가가 관찰되었고 glyphosate $2-8{\mu}g/mL$ 농도범위에서 직선적 증가반응을 나타내어 기존방법 (Shaner et al. 2005)보다 개선된 특징을 보였다. 본 방법들은 glyphosate 저항성 옥수수를 창출할 때 또는 저항성 유전자의 타 식물로의 이동여부와 잡초화된 저항성 옥수수 존재여부를 감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glyphosate에 대한 저항성 원인이 작용점 EPSPS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엽절편-shikimate 축적 검정"이 가장 바람직하고, 저항성 원인이 체내이행 감소 때문일 경우에는 "전식물체-엽생장 검정" 수행이 필요하다.

탁주양조중 Riboflavin의 소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Riboflavin during Takju Brewing)

  • 김찬조;최우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3호
    • /
    • pp.219-222
    • /
    • 1970
  • 탁주 양조에 사용되는 각종 원료중의 Riboflavin을 정량하고 아울러 쌀, 소맥분및 옥수수분을 각각 주원료로 일반 탁주양조법에 따라 담금하여 숙성시까지 그들 술덧중의 Riboflavin의 소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원료 100g중의 Riboflavin함량 (${\gamma}$)은 쌀 46.9, 소맥분 67.3, 옥수수분 73.9, 누룩 169.0, 소맥분입곡 87.1, 옥수수분입곡 $84.4{\gamma}$이었으며 쌀소맥분 및 옥수수분중의 함량은 증자에 의하여 약 $30{\sim}40%$파괴됨을 보였다. 2. 누룩단용법의 쌀및 소맥분구의 각술덧에서 Riboflavin의 소장은 같은 경향을 보여 3일까지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며 5일째에 가서 급격히 증가하여 6일째에 약간 감소하는 소장을 보여 결국 양 숙성술덧 100ml중의 Riboflavin함량은 누룩단용법의 쌀구에서 $82{\gamma}$, 소맥분구에서 $72{\gamma}$를 보였으며 누룩및 입곡혼용법의 소맥분및 옥수수분구의 각술및에서는 초기부터 감소하지 않고 기복이 있는 증가의 경향을 보이다가 역시 5일째에 현저히 증가되며 6일째에 다시 감소하여 결국 양 숙성술덧 100ml중에는 소맥분구에서 $88.6{\gamma}$ 옥수수분구에서 $83.6{\gamma}$이었다. 3. 각숙성술덧으로 제성한 탁주 100ml중에는 Riboflavin 이 누룩단용법구들에서 $28.8{\sim}41{\gamma}$, 누룩및 입곡혼용법구들에서 $33.6{\sim}44.5{\gamma}$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5. 누룩단용법의 쌀구및 소맥분구의 지게미 무수물 100g중에는 Riboflavin이 각각 $47.3{\gamma}$$66.2{\gamma}$함유되었으며 누룩및 입곡혼용법의 소맥분구및 옥수수분구의 것에는 각각 $64.5{\gamma}$$62.9{\gamma}$ 함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