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body irradi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9초

Co-60에 의한 전신조사시 선량분포 (Dose Distribution of Co-60 Photon Beam in Total Body Irradiation)

  • Kang, Wee-Sai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권2호
    • /
    • pp.109-120
    • /
    • 1991
  • 골수이식을 받게 될 환자의 이상 골수를 완전히 죽이기 위해 MV 정도의 선질의 광자선에 의한 전신방사선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국소방사선요법에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치료장치에 의한 일상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하기에는 조사면의 크기가 훨씬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방사선 전신조사를 위한 여건이 병원에 따라 다를 것이기 때문에 병원에 따라 독특한 방법이 개발될 수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코발트치료기 만이 두부를 기울일 수 있어서 전신조사에 이용될 수 있다. 코발트치료기의 두부를 밖으로 90$^{\circ}$ 기울일 때 선축은 수평이고 또한 맞은편 벽과 직각이 된다. 이 때 선원에서 맞은편 벽가지 거리는 319cm 이였다. 벽에서 환자의 중앙시상면까지 간격을 40cm라고 가정할 때, 중앙시상면에서 명목상 최대 조사면 크기가 122cm$\times$122em 이였고, 조사선량 분포를 측정한 결과로는 130cm$\times$129cm 이였으며 상하방향에서는 대칭이 아니였다. 환자가 쭈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한다면 조사면의 크기는 전신조사를 시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환자 좌우폭의 평균을 30cm 라고 가정하고, 중앙시상면에서 선원쪽 15cm 위치에 기준표면 (SSD는 264cm, 명목상 조사면 크기 115.5cm$\times$155.5cm)을 두고 단면의 크기가 25cm$\times$25cm이고 두께가 30cm 인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평판형 전리함으로 PDD를 측정하였다. 최대선량점의 깊이는 0.3cm 이였고 표면선량율은 82%, 50% 깊이는 16.9cm였다. 대향조사시 선축상 선량분포는 중점의 선량에서 10%이내로 일치하였다. SCD를 279cm. 최대 조사면, 기준깊이 15cm 에 대한 TPR 을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깊이 10cm 에서 20cm 에 걸쳐 측정하였다 . 측정범위에서 TPR 은 직선성을 보였다. 인체팬톰의 최대 전단면(coronal plane) 에 있는 각 구멍에 TLD 조각을 넣고, 코발트 선원에서 팬톰의 시상면까지 거리를 279cm 되게 하고 선축은 팬톰의 27번 절편과 28번 절편의 접변과 최대 전단면의 교차선과 일치시켜 양방향에서 15분씩 조사하여 전단면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톰내 선축상 중앙점의 선량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두경부와 복부, 폐의 하반에서 선량의 차이는 $\pm$ 10% 이내였고, 폐의 상반과 어깨와 골반 부위에서 선량은 1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특히 어깨부위에는 3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이로부터 서울대병원과 유사한 조건에서 코발트로 전신조사하는 경우에는 폐나 두경부에 대응하는 조직보상체를 이용하기보다는 어깨부위에 선량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PDF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방사선유도성 아포토시스에 대한 EGCG 효과의 부족 (Lack of EGCG Effects on Radiation-Induced Apoptosis of Mice Splenocytes)

  • 장성순;이희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73-180
    • /
    • 2008
  • 목 적: 치사선량의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에 대해 항산화제 또는 산화제로 알려진 EGCG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마우스 비장에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C57BL/6 마우스를 실험군에 따라 정상대조군, 방사선조사 단독군, EGCG 전처치군(방사선조사 1시간 전에 100 mg/kg 복강주사)으로 분류하고 7 Gy의 단일선량으로 전신조사 하였다. 각 실험군별 비장 내의 아포토시스는 TUNEL assay를 통해 분석하였고, Bax와 Bcl-2 유전자 발현은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비장 내 아포토시스는 주로 white pulp에만 국한되어 발견되었으며, 방사선조사 후 8시간째에 최대의 아포토시스지수를 나타냈다. 8시간째에 방사선조사 단독군과 EGCG 전처치군의 아포토시스지수는 53.9%와 52.1%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8). 또한 두군간에 Bax/Bcl-2 ratio (1.64 vs 0.97, p=0.037)와 대조군에 상대적인 Bcl-2 단백질 발현(0.57 vs 0.82, p=0.037)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Bax 발현(0.86 vs 0.81, p=0.335)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EGCG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아포토시스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고, 추가적인 아포토시스의 증가를 유발하지도 않았다.

Low-dose Radiation Induces Antitumor Effects and Erythrocyte System Hormesis

  • Yu, Hong-Sheng;Liu, Zi-Min;Yu, Xiao-Yun;Song, Ai-Qin;Liu, Ning;Wang, 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121-4126
    • /
    • 2013
  • Objective: Low dose radiation may stimula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nimals, increase life span, enhance fertility, and downgrade the incidence of tumor occurrenc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and hormesis in an erythrocyte system induced by low-dose radiation. Methods: Kunming strain male mice were subcutaneously implanted with S180 sarcoma cells in the right inguen as an experimental in situ animal model. Six hours before implantation, the mice were given 75mGy whole body X-ray radiation. Tumor growth was observed 5 days later, and the tumor volume was calculated every other day. Fifteen days later, all mice were killed to measure the tumor weight, and to observe necrotic areas and tumor-infiltration-lymphoreticular cells (TILs). At the same time, erythrocyte immune function and the level of 2,3-diphosphoglyceric acid (2,3-DPG) were determin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us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EPO and VEGFR of tumor tissues. Results: The mice pre-exposed to low dose radiation had a lower tumor formation rate than those without low dose radiation (P < 0.05). The tumor growth slowed down significantly in mice pre-exposed to low dose radiation; the average tumor weight in mice pre-exposed to low dose radiation was lighter too (P < 0.05). The tumor necrosis areas were larger and TILs were more in the radiation group than those of the group without radiation. The erythrocyte immune function, the level of 2,3-DPG in the low dose radiati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ithout radiation (P < 0.05). After irradiation the expression of EPO of tumor tissues in LDR group decreased with time. LDR-24h, LDR-48h and LDR-72h group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ham-irradiation group. The expression of VEGFR also decreased, and LDR-24h group was the lowest (P < 0.05). Conclusion: Low dose radiation could markedly increase the anti-tumor ability of the organism and improve the erythrocyte immune function and the ability of carrying $O_2$. Low-dose total body irradia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decrease the expression of hypoxia factor EPO and VEGFR, which may improve the situation of tumor hypoxia and radiosensitivity of tumor itself.

방사선에 의한 장점막 손상에 대한 5-Androstenediol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5-Androstendiol (5-AED) on Radiation-induced Intestinal Injury)

  • 김중선;이승숙;장원석;이선주;박선후;조수연;문창종;김성호;김미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41-146
    • /
    • 2010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장점막 손상에 대한 5-androstendiol (5-AED)의 장점막 보호효과 여부를 마우스 위장관 조직에서 평가하여 방사선 보호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마리의 C3H/HeN 마우스를 대조군, 방사선 조사군, 방사선 조사 전 5-AED 처리군으로 나누어, 5 Gy와 10 Gy 전신방사선 조사하였다. 5-AED는 방사선 조사 24시간 전에 체중 당 50 mg/kg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10 Gy 전신 방사선 조사 후 3.5일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공장조직을 채취하여 소장움 생존, 융모의 개수, 융모의 높이, 소장움의 크기, 10개 장상피세포 당 기저층의 길이를 측정하여 장점막 손상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apoptosis의 발생빈도수는 5 Gy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에 TUNEL 방법으로 검수하였다. 결 과: 10 Gy 방사선조사 전 5-AED 투여군에서, 방사선 조사군과 비교하여, 소장움의 소실이 상대적으로 적고 융모의 높이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5-AED 전처치군에서 소장움의 크기가 방사선 조사군에 비교하여 증가하였고, 10개의 장 상피세포 당 기저층 길이는 5-AED 전처치군에서 감소함을 관찰하여 소장조직의 방사선 손상에 대해 5-AED의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 시 증가한 apoptosis에 대해서는 5-AED의 투여가 유의성 있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 론: 5-AED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소장점막의 형태학적인 손상변화에 대해 보호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 조사 전 5-AED 투여가 방사선에 의한 장점막 손상에 대한 보호약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방사선조사(放射線照査)에 의한 Prostaglandin E2 및 자연살해세포(自然殺害細胞) 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 (Relationships between Radiation-induced Prostaglandin E2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 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5-189
    • /
    • 1987
  • The number of splenic lymphocyte, serum prostaglandin $E_2$ level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ere assayed after single whole body irradiation of a sublethal dose of $^{60}Co-{\gamma}$ ray to C57BL/6J mice. With a view to kno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adiation induced prostaglandin $E_2$ level and the normal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fter natural killer cell-target cell conjugation, The change of normal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ere measured by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E_2$ containing serum from irradiated mi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splenic lymphocy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rradiation and the number was not affected by indometacin, prostaglandin synthesis inhibitor, treatment. 2. Serum prostaglandin $E_2$ level was increased in irradiated mice, but indometacin treated mice group showed low level of prostaglandin $E_2$. 3. In the case of irradiated mic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between irradiated group and indometacin combined group. But when natural killer cell-target cell conjugations were exposed to the serum of each group during cytotoxic activity assay, whereas the normal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serum from irradiated mice, the activity was not changed by treatment of indometacin pretreated mice serum.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prostaglandin $E_2$ induced by the radiation inhibited the post-target binding cytolytic process of natural killer activity.

  • PDF

마우스 동계골수이식 후 면역체계의 재생: I. 말초혈액 및 림프장기 세포의 숫적 변 화와 림프구아군의 분포 (Regeneration of Immune System after Syn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Irradiated Mice: I. The Changes of Cell Number in Peripheral blood and Lymphatic Organs and Composition of Lymphocyte Subsets)

  • 김성호;오헌;이송은;김순태;조성기;현병화;류시윤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
    • /
    • 1997
  • The cellularity and composition of the spleen lymph node thymus and peripheral blood and tempo of regeneration were studied at various time points after syn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in C3H/Hen mice. Significant depression of absolute lymphocyte count was noted on week 1 after lethal whole-body irradiation and BMT. In comparison to the lymph node thymus and spleen had an rapid regeneration of cellularity. The distinct cell populations($CD4^+,\;CD8^+,\;CD28^+,\;B220^+) have determined in the lymphoid tissue of mice subjected to irradiation. The relative representation of these subpopul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nonirradiated control. $CD4^+\;and\;CD8^+$ cells were present in very low numbers whereas the $B220^+$ cells reached more than normal range at 2 weeks after BMT. The number of $CD4^+$ cells returned to normal relatively soon than $CD8^+$ cell. At week 4 after BMT, the cellularity and composition of spleen lymph node and peripheral blood lymphocyte reached about 50% of the normal range therefore we can choose this time point for the other tests of immune function after BMT.

  • PDF

마우스의 대뇌조직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 (Regula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in Irradiated Mouse Brain)

  • 오원용;송미희;정은지;성진실;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46-152
    • /
    • 2001
  • 목적 : 마우스 대뇌조직에 방사선이 조사되었을 경우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8주간 성숙된 C57B1/6J 마우스의 전뇌에 코발트 방사선조사기로 25 Gy의 방사선을 단일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후 1, 2, 4, 8, 24시간 간격으로 마우스를 경추 탈구사시킨 후 뇌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뇌조직을 TUNEL 분석법에 의하며 아포토시스 유도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Western blotting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산물인 p53, Bcl-2, Bax 그리고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yclin Bl, Dl, E, cdk2, cdk4, $p34^{cdc2}$를 분석하였다. 세포주기의 변화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아포토시스는 방사선조사후 8시간에서 최고치를 보였고 아포토시스 지수는 $24.0{\pm}0.25$ (p<0.05)였다. 세포주기에서 조절인자의 변화는 cyclin D1를 제외하고는 특이하지 않았다. 결론 : 마우스의 전뇌에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아포토시스는 대뇌의 상의하(subependyma)에서 주로 일어났으며 세포주기의 조절인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ELISA방법에 의한 방사선 피폭 후 흰쥐 혈액 내에서의 ceruloplasmin 정량 (Quantification of Ceruloplasmin in Wale Rats Exposed to ${\gamma}$-radiation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민규;박선영;김국찬;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03-109
    • /
    • 1997
  • 수놈 흰쥐를 1.0, 2.0, 3.0, 5.0 및 7.0 Gy 선량으로 전신 조사하였으며 조사 후 48, 72, 96시간과 216시간 경과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내 ceruloplasmin을 측정하여 선량반응곡선을 완성하기 위하여 항원고정 방식의 경쟁적 효소면역측정법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정제는 turpentine을 주사한 수놈 흰쥐의 혈액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흡착효율은 50 mM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 9.6보다 10 mM Tris-HCI, 150 mM sodium chloride, pH 7.4에서 더 효과적이었으며 정량을 위한 적정한 ceruleplasmin의 흡착범위는 well 당 $70{\sim}140ng$이었다. Ceruloplasmin은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농도를 보였으며 피폭 후 96시간에서 최대값을 지니는 선량반응관계를 보였다. Cerulplasmin은 피폭 후 216시간에서도 피폭이전의 농도로 회복되지 않았다. 0.1 Gy로 피폭된 경우에도 ceruloplasmin의 농도는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의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erulplasmin은 방사선피폭 후 변화하는 중요한 급성반응물질중의 하나로 밝혀졌으며 방사선방호를 위한 유전자 발현 및 조절에 관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Methylene Blue의 방사선 방어결과 1. Methylene Bluerk가 $\gamma$선에 조사된 흰쥐의 유산탈수소효소의 함량과유산탈수소효소의 동위효소에 미치는 영향 (Radioprotective Effect of Methylene Blue 1. Effect of Methylene Blue on Lactic Dehydrogenase Level and Lactic Dehydrogenase Isoenzymes of Rats Exposed to Gamma-Irradiation)

  • Sang Yul Nam;Seung Han Ch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4-102
    • /
    • 1969
  • 盛熱한 albino 雄性 흰쥐를 對照群과 實驗群으로 나누어 對照群에는 0.9% 生理食鹽水를, 實驗群에는 methylene blue(38mg/kg, 食鹽水에 溶解 pH 7.4)를 各各 腹腔注射處理하였다. 約 30 分後 兩群 共히 總線量 360 rads 인 $^60 Co$의 r 線을 一時 全身照射하였다. 照射後 212時間에 걸쳐 血淸總乳酸脫水素酵素의 含量(Cabaud and Droblewski 1958)과 血淸을 비롯하여 肝, 心臟, 精巢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vnfortys(Preston et al., 1965)을 各各 測定하여 methylene blue 의 放射線에 對한 防禦 果를 硏究調査하였다. 一般的으로 血淸總乳酸脫水素酵素의 含量은 兩群共히 r 線照射後 初期에 增加하나 特히 methylene blue 實驗群인 處理群은 對照群인 生理食鹽水群에 比하여 15 및 64 時間區에서 增加의 遲滯性을 나타내었다. 血淸과 肝, 心臟 및 精巢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는 兩群共히 線照射後 40과 116 時間區에서 陽極쪽의 同位酵素 푸랙숀 含量은 減少한다. 照射群 methylene blue 處理群의 血淸과 肝 및 精巢組織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패턴에서는 對照群과 別差異가 없었으나 特히 methylene blue 處理群의 心臟組織은 對照群에 比하여 若干의 增減의 遲滯性을 나타내었다. 兩群共히 照射後 血淸乳酸脫水素酵素含量의 增加는 同位酵素푸랙숀 1의 增加에 基因된다고 思料되며 이상의 結果로 미루어 보아 總乳酸脫水素酵素 活性과 心臟組織의 乳酸脫水素酵素의 同位酵素패턴에 있어서 methylene blue가 放射線防禦 果가 있는 것으로 思料된다.

  • PDF

X線照射에 따르는 Deoxycytidineuria와 CdR-aminohydrolase의 活性變化와의 連關性 (Correlation between Deoxycytidineuria and CdR-aminohydrolase Activity following X-Irradiation)

  • Man Sik kang;Rhee, Juong-Gile;Cho, Joong-Myu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3-172
    • /
    • 1975
  • 생쥐에 400 및 800 R의 X線을 一時全身照射한 뒤, 몇가지 臟器에서 Dische 陽性物質의 放出量과 CdR-aminohydrolase의 活性變化 및 尿중의 CdR量을 照射후의 時間經過에 따라 측정하여 放射線照射후 deoxycytidineuria의 增加機構의 一面을 究明하려고 시도했다. CdR-aminohydrolase의 活性度는 照射후 1時間째에 小腸과 肝에서 顯著한 감소를 보였으며, 5$\\sim$12시간 사이에 정상水準으로 복귀되었다가 3日째에 最大의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脾臟과 血液의 경우는 對照群과 照射群에서 모두 극미한 活性만이 관찰되었다. Dische 陽性物質의 放出量은 小腸의 경우 照射후 3$\\sim$12시간 사이에 증가를 보였으며 6$\\sim$9시간에 最大値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서 肝, 脾臟 및 賢臟의 경우는 小腸에 비해 1/20 이하에 불과하였으며, 이들 조직은 照射후 증가하는 deoxycytidineuria에 직접 寄與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Deoxycytidineuria는 照射후 9$\\sim$12시간에 最大値를 보였는데, 이의 相當量이 小腸에 연유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특히 小腸의 CdR-aminohydrolase의 活性度의 변화와 깊은 關連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放射線照射후 DNA分解産物중 CdR이 CdR-aminohydrolase의 活性이 격감하는 시기에 조직으로부터 血液으로 放出되고, 血液내에서는 별다른 量的변화를 거치지 않고 尿에 섞여 排泄되는 것으로 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