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se Distribution of Co-60 Photon Beam in Total Body Irradiation

Co-60에 의한 전신조사시 선량분포

  • Kang, Wee-Sai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1.10.01

Abstract

Total body irradiation is operated to irradicate malignant cells of bone marrow of patients to be treated with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ield size of a linear accelerator or cobalt teletherapy unit with normal geometry for routine technique is too small to cover whole body of a patient. So, any special method to cover patient whole body must be developed. Because such environments as room conditions and machine design are not universal, some characteristic method of TBI for each hospital could be develop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t present, only a cobalt unit is available for TBI because source head of the unit could be tilted. When the head is tilted outward by 90$^{\circ}$, beam direction is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to opposite wall. Then, the distance from cobalt source to the wall was 319 cm. Provid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wall to midsagittal plane of a patient is 40cm, nominal field size at the plane(SCD 279cm) is 122cm$\times$122cm but field size by measurement of exposure profile was 130cm$\times$129cm and vertical profile was not symmetric. That field size is large enough to cover total body of a patient when he rests on a couch in a squatting posture. Assuming that average lateral width of patients is 30cm, percent depth dose for SSD 264cm and nominal field size 115.5cm$\times$115.5cm was measured with a plane-parallel chamber in a polystyrene phantom and was linear over depth range 10~20cm. An anthropomorphic phantom of size 25cm wide and 30cm deep. Depth of dose maximum, surface dose and depth of 50% dose were 0.3cm, 82% and 16.9cm, respectively. A dose profile on beam axis for two opposing beams was uniform within 10% for mid-depth dose. Tissue phantom ratio with reference depth 15cm for maximum field size at SCD 279cm was measured in a small polystyrene phantom and was linear over depth range 10~20cm. An anthropomorphic phantom with TLD chips inserted in holes on the largest coronal plane was bilaterally irradiated by 15 minute in each direction by cobalt beam aixs in line with the cross line of the coronal plane and contact surface of sections No. 27 and 28. When doses were normalized with dose at mid-depth on beam axis, doses in head/neck, abdomen and lower lung region were close to reference dose within $\pm$ 10% but doses in upper lung, shoulder and pelvis region were lower than 10% from reference dose. Particulaly, doses in shoulder region were lower than 30%. On this result, the conclusion such that under a geometric condition for TBI with cobalt beam as SNUH radiotherapy departement, compensators for head/neck and lung shielding are not required but boost irradiation to shoulder is required could be induced.

골수이식을 받게 될 환자의 이상 골수를 완전히 죽이기 위해 MV 정도의 선질의 광자선에 의한 전신방사선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국소방사선요법에 이용되고 있는 방사선치료장치에 의한 일상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하기에는 조사면의 크기가 훨씬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환자의 전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방사선 전신조사를 위한 여건이 병원에 따라 다를 것이기 때문에 병원에 따라 독특한 방법이 개발될 수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코발트치료기 만이 두부를 기울일 수 있어서 전신조사에 이용될 수 있다. 코발트치료기의 두부를 밖으로 90$^{\circ}$ 기울일 때 선축은 수평이고 또한 맞은편 벽과 직각이 된다. 이 때 선원에서 맞은편 벽가지 거리는 319cm 이였다. 벽에서 환자의 중앙시상면까지 간격을 40cm라고 가정할 때, 중앙시상면에서 명목상 최대 조사면 크기가 122cm$\times$122em 이였고, 조사선량 분포를 측정한 결과로는 130cm$\times$129cm 이였으며 상하방향에서는 대칭이 아니였다. 환자가 쭈그리고 앉은 자세를 취한다면 조사면의 크기는 전신조사를 시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환자 좌우폭의 평균을 30cm 라고 가정하고, 중앙시상면에서 선원쪽 15cm 위치에 기준표면 (SSD는 264cm, 명목상 조사면 크기 115.5cm$\times$155.5cm)을 두고 단면의 크기가 25cm$\times$25cm이고 두께가 30cm 인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평판형 전리함으로 PDD를 측정하였다. 최대선량점의 깊이는 0.3cm 이였고 표면선량율은 82%, 50% 깊이는 16.9cm였다. 대향조사시 선축상 선량분포는 중점의 선량에서 10%이내로 일치하였다. SCD를 279cm. 최대 조사면, 기준깊이 15cm 에 대한 TPR 을 폴리스티렌 팬톰에서 깊이 10cm 에서 20cm 에 걸쳐 측정하였다 . 측정범위에서 TPR 은 직선성을 보였다. 인체팬톰의 최대 전단면(coronal plane) 에 있는 각 구멍에 TLD 조각을 넣고, 코발트 선원에서 팬톰의 시상면까지 거리를 279cm 되게 하고 선축은 팬톰의 27번 절편과 28번 절편의 접변과 최대 전단면의 교차선과 일치시켜 양방향에서 15분씩 조사하여 전단면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팬톰내 선축상 중앙점의 선량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두경부와 복부, 폐의 하반에서 선량의 차이는 $\pm$ 10% 이내였고, 폐의 상반과 어깨와 골반 부위에서 선량은 1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특히 어깨부위에는 30%이상 저선량을 보였다. 이로부터 서울대병원과 유사한 조건에서 코발트로 전신조사하는 경우에는 폐나 두경부에 대응하는 조직보상체를 이용하기보다는 어깨부위에 선량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