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war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화염용융법에 의한 구상 알루미나 제조에 미치는 초기 알루미나 원료의 화학조성과 입도의 영향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of Starting Aluminum Source on the Spheroidization in the Flame Fusion Process)

  • 엄선희;피재환;이종근;황광택;조우석;김경자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31-437
    • /
    • 2009
  • Various inorganic fillers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products. Alumina has been used a representative filler in the heat radiation sheet for the heat radiation of electric device. The high filling rate of alumina increase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properties of products. We successfully developed the spherical alumina by flame fusion process using the oxygen burner with LPG fuel. In the high temperature flame (2500$\sim$3000$^{\circ}C$) of oxygen burner, sprayed powders were melting and then rotated by carrier gas. This surface melting and rotation process made spherical alumina. Especially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of stating materials on the melting behavior of starting materials in the flame and spheroidization ratio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spheroidization ratio of boehmite and aluminum hydroxide with endothermic reaction of dehydration process was lower than that of the sintered alumina without dehydration reaction.

유기물로 수식된 몬트모릴로나이트 제조 및 특성조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o-modified Montmorillonite by Ion-exchange Method)

  • 김재명;유중환;최의석;이성민;김형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4
    • /
    • 2004
  • 층상구조를 갖는 점토광물은 층상의 이온교환자리에 친소수성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치환할 수 있어 도자기 소지의 친소수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tmorillonite를 이온교환법으로 dodecylamine, hexadecylamine과 반응시켜 유기물이 점토광물에 복합화된 유기-점토 복합체를 조조하였다. 유기물이 점토광물 구조에 치환된 위치 및 층상구조의 간격변화는 FT-IR과 WAXD로, 수식된 유기물의 양은 TG-DSC, C/S 기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유기물은 층상에 선택적으로 치환하여 층간격을 증가 (12${\AA}{\leftrightarro}16{\AA}$) 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비교적 친수성을 보이는 MMT가 첨가된 가소제로 인하여 소수성으로 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Propylene Hydrogenation over Cubic Pt Nanoparticles Deposited on Alumina

  • Yoo, Jung-Whan;Lee, Sung-Min;Kim, Hyung-Tae;El-Sayed, M.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843-846
    • /
    • 2004
  • Pt nanoparticles loaded on alumina through an impregnation at room temperature was prepared using $K_2PtCl_4$ and acrylic acid as capping materi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deposited Pt particles indicate ca. 80% cubic shapes with a narrow distribution of 8-10 nm in size. Propylene hydrogenation over the catalyst has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ir catalytic performance by the values of activation energy. It is determined from the initial rate, reaction order, and rate constant and is found to be $9.7{\pm}0.5$ kcal/mol. This value has been discussed by comparing to those of encapsulated- and truncated octahedral Pt nanoparticles deposited on alumina, respectively, to study influence of the particle size and shape, and capping material used on the activation energy.

광주 충효동 분청과 백자의 과학기술적 연구 (Ⅰ). 성분분석을 중심으로 (Scientific Study of Punch'ong and Whiteware from Ch'unghyodong Kwangju (I).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on)

  • 이영은;고경신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1-265
    • /
    • 1998
  • 15세기 초부터 약 70-80년간 활동한 광주 충효동 가마터에서 출토된 분청과 백자 60여점을 위치와 층위에 따라 8그룹으로 나누어 성분을 분석하였다. 태토의 경우 XRF로 주성분을, 그리고 ICP-MS로 미량성분을 분석하였으며, 유약은 EPMA를 사용하여 주성분을 분석하였다. SPPS 프로그램을 이용한 주성분분석법으로 성분분석 결과를 통계분석한 결과, 위치와 층위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초기에 만들어진 $CHE_2$의 최상급의 분청태토는 $Al_2O_3$함량이 높고, $Fe_2O_3,\;TiO_2$가 낮았으며, 시기가 늦어질수록 질이 떨어져 $Al_2O_3$는 낮고, Fe_2O_3,\;TiO_2,$ CaO등이 높았다. 백자의 태토는 연질백자나 경질백자 모두 시기에 관계없이 30% 이상의 높은 $Al_2O_3$함량을 나타내었다. 분청유악은 라임계열이고, 백자유약은 알칼리라임계열이었다. 분청 20편에 대한 미량성분 조사에서는 1호가마에서 생산된 CHE2와 2호가마에서 생산된 CHW3-L이 같은 흙을 가지고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이 두 가마가 거의 동시에 운영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Mullite 생성이 도자기 강도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lite Generation on the Strength Improvement of Porcelain)

  • 최효성;피재환;김유진;조우석;김경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8-172
    • /
    • 2011
  • Alumina powder was added in a general porcelain (Backja) with clay, feldspar and quartz contents to promote the mullite ($3Al_2O_3{\cdot}2SiO_2$) generation in the porcelain. Low melting materials ($B_2O_3(450^{\circ}C)$, $MnO_3(940^{\circ}C)$, CuO($1080^{\circ}C$)) were doped at ~3 wt% to modify the sinterability of porcelain with a high alumina contents and promote the mullite generation. Green body was made by slip casting method with blended slurry and then, they were fired at $1280^{\circ}C$ for 1hr by a $2^{\circ}C/min$. Densifications of samples with high alumina contents (20~30 wt%) were impeded. As the doping contents of low melting materilas increased, the sinterability of samples was improved. The shrinkage rate and bulk density of samples were improved by doping with low melting materials. Mullite phas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ow melting contents in the phase analyses. This means lots of alumina and quartz were transformed into mullite phase by low melting contents doping. In the results, high bending strength of samples with high alumina contents was accomplished by improving the densification and mullite generation in the porcelain.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I): 분청에 대한 고려자기와 조선백자와의 비교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I): Comparison of Punch'$\breve{o}$ng with Kory$\breve{o}$ Ware and Chos$\breve{o}$n Whiteware)

  • 고경신;주웅길;안상두;이영은;김규호;이연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90
    • /
    • 2011
  • 분청사기는 조선초기에 고려상감청자의 무늬가 간소화 된 상태로 시작되었다. 그 후 200여 년 동안에 다양하고 활달한 문양의 민속공예로 발달하였고, 점점 백자를 닮아가는 방향으로 변해가다가, 임진왜란이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분청의 태토와 유약에 대한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여러 도요지들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논문들에서 중국의 경우와 비교 관찰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들에 대한 결과들과 비교 하였다. 생산도요지와 고고학적인 특성에 의하여 28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그룹에서 셋에서 다섯편의 도편을 분석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청태토는 한국청자와 백자와 같이 중국 남쪽의 월주요, 경덕진요에서 사용된 운모-석영계의 도석으로 만들어졌다. 유약은 점토질의 원료에 나무재, 태운 석회석과 곱게 빻은 석회가루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분청유약의 특성은 조선백자보다는 고려청자와 고려백자에 더 가깝다. 다만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은 조선백자와 같이 낮은데, 그 이유는 글래이즈 스톤으로 알려진 도석계의 점토가 분청유약을 제조 하는데 혼합 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의 체계적인 비교방법과 물질적 특성에 대한 내용들은 현재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도요지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포천시 길명리 가마터 출토 흑유자기와 백자에 대한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on Blackware and Whiteware at Excavated Kiln in Gilmyeong-ri Pocheon-si Gyeonggi-do, Korea)

  • 고민정;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43-60
    • /
    • 2008
  • 본 연구는 19세기로 알려진 경기도 포천 길명리 가마터에서 선정한 흑유자기와 백자편을 중심으로 과학적 분석을 활용한 특성 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과학적 분석은 미세구조 관찰과 색도와 비중 및 흡수율, 기공률 등을 포함한 물리적 특성, 태토와 유약의 조성에 대한 화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태토의 미세구조는 자화 정도에 따라 태토 표면의 입자 및 기공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약은 백자보다 흑유자기가 유리질화가 잘된 양상으로 관찰된다. 색도와 비중 및 흡수율은 자기의 종류보다 각 도편의 자화 정도에 따른 미세구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화학적 조성 분석에서 태토는 백자보다 흑유자기가 $Fe_2O_3$$TiO_2$가 높은 편이고 유약은 백자보다 흑유자기가 $SiO_2$, $Al_2O_3$가 낮고 $Fe_2O_3$, $TiO_2$가 높게 함유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흑유자기는 CaO와 재의 사용 여부를 말해주는 $P_2O_5$ 성분이 높다.

  • PDF

계룡산 학봉리 출토 도편의 미세조직 관찰과 번조온도 추정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al Study and Firing Temperature Presume from Mt. Gyeryong Hakbong-ri Kiln)

  • 황현성;곽은경;이다혜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30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공주군 학봉리 도요지에서 출토된 도기, 회청사기, 분청사기, 그리고 백자 도편들을 미세조직 관찰과 번조 온도를 추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 대상 시편들의 태토 성분이 일반적인 분청사기와 대체적으로 유사하나, 용융제 함량이 다소 높은 것이 특징이고 백자 태토의 경우에는 다른 도편들과 매우 다른 성분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였다. 유약은 태토보다는 전반적인 차이가 적었으나,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에 따라 용융제의 함량에 변화를 주어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SEM-EDS 분석 결과, 가시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이는 도기 도편의 태토 성분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태토의 미세결정, 유약 내 회장석과 철화 부분의 결정, 백토의 구성 성분과 함량을 분석하여 각 도편들의 제작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찾았다. 번조온도 추정을 위한 재번조 실험에서는 도기 도편이 $1150^{\circ}C{\sim}1200^{\circ}C$, 회청사기 도편이 $1100^{\circ}C{\sim}1150^{\circ}C$, 철화 도편이 $1100^{\circ}C{\sim}1200^{\circ}C$ 사이로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나 양질 백자 도편은 $13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조질 백자 도편은 그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번조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어 백자 그룹 도편들과 다른 도편들간의 차이가 명확했다.

자기소지에서 Quartz의 Cristobalite화에 미치는 알칼리 금속산화물의 영향 (Effects of Alkali Oxides on the Cristobalitization of Quartz in Whiteware Body)

  • 정창주;김남일;오경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981-989
    • /
    • 1992
  • This is a study on the effects of cristobalite transition of quartz in semi-vitrious whiteware body, as addition of alkali and alkali earth oxides, prepared by pottery stone, feldspar, kaolin and clay minerals. The amounts of ${\alpha}$-quartz to ${\alpha}$-cristobalite transition, F.O.C. (fraction of cristobalite), were increased with firing temperature. In MgO added body, ${\alpha}$-quartz was decreased and the formation of cristobalite was increased. Effects of K2O addition was remarkably decreased the formation of cristobalite. Additive effects of MgO and K2O were confirmed that it was very different to variation of transition temperature of metakaolinite to Si-Al spinel structure in thermal reaction of kaolinite minerals. Result CaO addition was ineffective to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transition temperature in Na2O added body was decreased, but relative intensity of quartz and cristobalite crystal in XRD results was decreased. This was characterized by th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liquid phase much more.

  • PDF

조선시대 관요인 광주 번천리 출토 백자의 기술적인 연구 (Whiteware from the Official Kiln of Choseon Dynasty Period in Beoncheon-ri, Gwangju)

  • 강경인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03
  • 조선시대 관요가 위치한 경기도 광주의 백자에 대한 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백자요지에서 출토된 백자를 대상으로 X-선 회절 분석, 유도결합 플라즈마 원자방출 분광분석, 에너지분산 X-선 분광분석의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백자요지에서 출토된 백자는 출토된 유구에 관계없이 유사한 태토로 제조되었으며, 태토의 제조에는 광물학적으로 같은 계통의 원료로 장석광물이 사용되지 않은 점이 특징적이다. 폐기물의 퇴적 1에서 출토된 백자는 백자요지의 다른 유구에서 출토된 백자와는 $Fe_2O_3$를 포함한 태토의 조성 및 광물학적인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폐기물의 퇴적 떼서는 백자요지의 다른 유구와 성격을 달리하는 유물이 출토되었다는 발굴조사의 결과와 백자의 과학적인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백자에는 유약성분의 특성상 라임계열과 알칼리-라임계열의 유약이 사용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유약조성의 범위는 넓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