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hey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7초

Dried Whey와 Chitin의 첨가(添加)가 Broiler Chick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Ettect of Diets Containing Dried Whey and Chitin on Growth Rate of Broiler Chicks)

  • 이미숙;모수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2-201
    • /
    • 1985
  • whey는 높은 lactose 함량 때문에 소화(消化) 흡수(吸收)가 좋지 못하여 영양학적(營養學的)으로 중요한 식품자원(食品資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양이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chitin powder를 첨가(添加)하여 whey의 소화(消化) 흡수(吸收)를 촉진(促進)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서 broiler chick을 대상으로 사료(飼料)에 dried whey와 chitin을 첨가(添加)하여 4주간 사육시험(飼育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동량의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일 때 broiler chick의 성장(成長)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dried whey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의 한계는 15%였다. 2. 사료에 20% dried whey를 첨가하는 것은 만성 설사와 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증세 및 맹장의 팽창(膨脹) 등 좋지 않은 결과를 야기시켰다. 특히 대조식이를 20% dried whey로 대체시킨 실험군은 타 실험군과 비교하여 성장율(成長率)이 저하(低下)되었는데 이것은 성장(成長)에 필요한 에너지와 단백질 함량의 부족과 아울러 다량의 whey에 의한 설사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3. 사료효율(FER)과 단백질 효율(PER)에 있어서 dried whey 첨가군이 대조식이군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Serum cholesterol 함량은 사료내 whey의 함량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5. 20% dried whey 함유 사료에 2% chitin을 첨가한 군은 chitin을 첨가하지 않은 20% whey군보다 4주에 성장율(成長率) 및 단백질효율이 높아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 2% chitin 함유군은 대조식이군과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성장율(成長率)에 있어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chitin의 첨가(添加)가 whey의 이용율(利用率)을 높여주어 broiler의 성장(成長)을 촉진(促進)시키지 않았나 사료(思料)된다.

  • PDF

Production of Functional Whey Protein Concentrate by Monitoring the Process of Ultrafilteration

  • Jayaprakasha, H.M.;Yoon, Y.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433-438
    • /
    • 2005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in order to elic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ultrafiltration processing of whey and its effect on composition and yield of resultant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Cheddar cheese whey was fractionated through ultrafiltration to an extent of 70, 80, 90, 95, 97.5% and 97.5% volume reduction followed by I stage and II stage diafiltration. After each level of ultrafiltration, the composition of WPC was monitored. Similarly, the initial whey was adjusted to 3.0, 6.2 and 7.0 pH levels and ultrafiltration was carried out to elicit the effect of pH of ultrafiltration on the composition. Further, initial whey was adjusted to different levels of whey protein content ranging from 0.5 to 1.0 per cent and subjected to ultrafiltration to different levels. The various range of retentate obtained were further condensed and spray dried in order to assess the yield of WPC per unit volume of whey used and the quantity of whey required to produce unit weight of product. With the progress of ultrafiltration, there was a progressive increase in protein content and decrease in lactose and ash content. The regression study led to good relationships with $R^2$ values of more than 0.95 between the extents of permeate removed and the resultant changes in composition of each of the constituents. Whey processed at pH 3.0 had significantly a very low ash content and high protein content as compared to processing at 6.2 and 7.0. The yield of WPC per unit volume of whey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initial protein content. Higher initial protein content led to higher yield of all ranges of WPC and the quantity of whey required per unit weight of spray dried WPC significantly reduced. Regression equations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protein content of whey and the yield of various types of WPC have been derived with very high $R^2$ values of 0.99.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yield and composition of whey can be monitored strictly by controlling the processing parameters and WPC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food formulation requirement.

Whey 배지의 살균방법 및 yeast extract 첨가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Broth's Sterilization Method and Yeast Extra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31227)

  • 이정훈;윤미숙;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6-11
    • /
    • 2007
  •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을 whey 배지에서 배양시 whey 배지의 살균방법 즉, 고압증기멸균(121$^{\circ}C$, 15분), 저온살균(60$^{\circ}C$, 30분) 방법과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0.5, 1% 첨가하였을 때 생균수와 총산도를 측정하여 P. freudenreichii KCCM 31227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6% whey 배지보다는 12% whey 배지에서, yeast extract 0.5% 보다는 1.0% 첨가 시 생균수가 높았고,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고 저온살균하였을 때 배양 72시간에 7.5${\times}10^7$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총산도는 12% whey 배지에 yeast extract를 1.0% 첨가하여 저온살균하였을 때 5.2로 가장 높았다. 배양 72시간 동안 생균수와 총산도의 증가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고온살균보다 저온살균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화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 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9
    • /
    • 2003
  • 본 연구는 단백질분해효소로 whey protein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의 용해도와 유화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Whey protein concentrates를 porcine trypsin(E : S=1 ; 3,000)으로 pH 8.0,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whey protein 가수분해물의 유화활성은 분해 4시간째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때 가수분해도는 5.50%이었다. whey protein의 효소가수분해로 whey protein 중의 $\alpha$-lactalbumin은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beta$-lactoglobulin은 분해 초기부터 급속히 분해되며 유화력 상승에 관여하는 여 러개의 저분자량 peptide를 생성하였다.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세를 보이다가 5시간부터 조금씩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pH에 따라서는 등전점 부근인 pH4~5에서 용해도가 가장 낮았으나 가수분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 부근의 용해도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H 6이상에서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도 증가하였다. 유화활성은 용해도의 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화 안정성은 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나, 가수분해 4시간부터 pH 8 이상의 PH에서 급격한 증자를 나타내었다.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Ferment Cultured by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5-800
    • /
    • 2009
  • L. acidophilus KCCM 32820과 P. freudenreichii KCCM 31227로 발효한 유청 발효물이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farinograph, amylograph, extensograph, 발효팽창력, 반죽의 총산도 및 반죽의 pH 등을 측정하였다. Farinograph에서 밀가루의 흡수율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이 아주 적었으나 유청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의 반죽생성시간은 3.2분 길었고 안정도는 16.2분 짧았다. Amylograph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온도에는 유청 발효물의 영향을 거의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낮아졌다. Extensograph에서 반죽의 저항성과 R/E비율은 유청 발효물 첨가로 높아졌으나 신장성은 낮아졌다. 효모에 의한 발효팽창력은 유청 발효물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반죽의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는 낮아졌다.

Whey를 이용한 Pullulan의 발효생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llulan Production Using Whey)

  • 정영일;김동운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91-97
    • /
    • 1994
  •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whey배지에서 플루란의 생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Whey배지에서 풀루란의 발효생산에 대한 실험결과, 최종균체농도는 sucrose 기본배지에서와 동일하였으나 풀루란의 생산은 5g/$\ell$로 저조하였다. Whey배지에서 풀루란 생산을 향산시키이 위하여 lactose와 galactose 기본배지에서 적응배양을 시도하였다. 적응배양을 시도하지 않은 경우, lactose를 탄소원으로 한 배지에서 3.4g/$\ell$,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한 배지에서 2.5g/$\ell$의 풀루란 생산을 보였으나 적응배양방법을 이용하여 lactose로부터 10~12g/$\ell$, galacrose 기본배지에서 lactose에 적응배양된 균은 13.5g/l의 풀루란을 생산하였고 galactose에 적응배양된 균은 18.6g/l를 생산하였다. Whey배지에 적응배양된 균을 접종한 결과 초기 pH3.0일때 풀루란 생산이 최대값을 보였다.

  • PDF

Study on Skin Care Properties of Milk Kefir Whey

  • Chen, Ming-Ju;Liu, J.R.;Sheu, J.F.;Lin, C.W.;Chuang, C.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905-9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s of kefir whey (kefir whey, peptides, lactic acid) on skin care properties including skin lightening effect and acne treatment. The final aim was to develop a new cosmetic product and enhance the value of dairy products. The results of skin lightening tests showed that all three kefir whey components (kefir whey, peptides and lactic acid) had inhibitory ability against melanin synthesis. Furthermore, copper chelating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kefir whey and kefir whey peptides could chelate the copper in tyrosinase, which might explain the mechanism of inhibition. The ability for acne treatment indicated that lactic acid level higher than 60 mg/ml could inhibit the growth of Propionibacterium acne, whereas no inhibition was found with other components.

ABTS 법을 이용한 유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 우성호;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269-271
    • /
    • 2006
  • Casein과 whey의 가수분해 물에 대한 항산화 능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pH에 따른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는 casein 및 whey 모두 pH 6.0 에서 보다 pH 7.4에서 더 높은 TAC 결과를 나타내었다. Casein이 whey보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AC 값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배양시간이나 pH에 따른 TAC 측정에서와 같이 casein이 whey보다 더 높은 TAC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2,000{\mu}g/mL$에서는 TAC 값이 감소하여 casein, whey 모두 유사한 TAC 값을 나타내었다. Trypsin에 의한 casein 및 whey의 가수분해는 반응 10분 이후부터는 NPN 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casein보다 whey가 분해율이 낮았다. Trypsin처리한 casein과 whey의 TAC를 측정한 결과로서 trypsin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TAC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Bifidogenic Growth Stimulation Activities of Fermented Whey Prototypes

  • Moon, Gi-S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92-295
    • /
    • 2013
  • Fermented whey solution presenting bifidogenic growth stimulation (BGS) activity was processed as prototypes such as sterilized fermented whey (SFW), spray-dried fermented whey (SDFW), and freeze-dried fermented whey (FDFW) and their BGS activities were compared. In optical density ($OD_{600}$) test, the BGS activity of three prototypes, which showed simila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fermented whey solution adjusted to pH 4.5 as a control (P<0.05). In viable cell count test, SDFW ha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than other prototypes on the BGS activity even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activities of all proto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e negative control (no ad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ed prototypes of fermented whey solution show BGS activities and might be commercialized, with further evidences, in animal or human studies.

Optimization of Whey-Based Medium for Growth and ACE-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 Ahn, Jae-Eun;Park, Seung-Yong;Lee, Byong-H.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07
  • 유청을 기초로 하는 배지를 제조하여 Lactobacillus brevis를 배양하면서 유청 단백질로부터 기능성 펩타이드 생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b. brevis의 적정생장에 필요한 배지성분의 농도는 2% 유청 분말, 1%의 포도당 및 0.5%의 효모추출물이었다. Lb. brevis의 생장은 효모 추출물의 보충이 포도당의 보충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 유청 배지에서 Lb. brevis의 생장은 2.0 ${\times}$ 10$^8$CFU/mL에 달하였다. 생장 후의 유청 배지를 10,000 ${\times}$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여액으로부터 얻은 유청단백분해물은 ACE 효소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분자량 8,000Da 이하로 부분 정제한 분획의 ACE에 대한 억제효과는 유청단백분해물의 64.7 ${\pm}$ 3.6%, IC$_{50}$은 38.8 ${\pm}$ 2.2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청을 기초로 한 배지는 젖산균으로부터 유청 단백질을 발효하여 ACE 억제 효과를 주는 펩타이드 생산에 적합한 배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