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el-climbin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4초

재활복지기기의 전망: 보조기기와 로봇장치를 중심으로 (Prospects of Rehabilitation Welfare Devices: Based on Assistive and Robotic Devices)

  • 송원경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15
  • 국외의 재활보조기기 추세를 분석하였다. 접어지는 기능이 강화되고, 기존의 동력이 없는 장치에 전동구동 보조모듈이 추가되고, 전반적인 보조기기의 완성도가 향상되고 있다. 특히, 접어지는 기능을 포함한 휴대 및 보관하기 용이한 이동 보조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동력 보조 휠 및 상지보조 모듈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성숙된 최신기술을 적용한 신개념의 휠체어가 시장이 나오고 있다. 최신 로봇기술을 응용한 하지 외골격 로봇이 경쟁체제에 돌입하였다. 기립형 휠체어, 경사로, 간단한 계단 이동보조장치가 보편화 되고 있다. 보조기기와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결합되고 있다. 이외에도 멋진 디자인, 소재, 가공기술 등에 의한 완성도가 제고 되고 있다.

  • PDF

Two-module robotic pipe inspection system with EMATs

  • Lee, Jin-Hyuk;Han, Sangchul;Ahn, Jaekyu;Kim, Dae-Hyun;Moon, Hyungpil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041-1063
    • /
    • 2014
  • This work introduces a two-module robotic pipe inspection system with ultrasonic NDE device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pipe structures. The proposed robotic platform has high mobility. The two module mobile robot platform overcomes pipe obstacle structures such as elbow, or T-branch joints by cooperative maneuvers. Also, it can climb up the straight pipeline at a fast speed due to the wheel driven mechanism. For inspection of pipe structure, SH-waves generated by EMAT are applied with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methods. A wavelet transform is implemented to extract a meaningful and specific signal from the superposed SH-wave signals. Intensity ratio which is normalized the defect signals intensity by the maximum intensity of directly transmitted signals in the wavelet transforms spectrum is applied to evaluate defects quantitatively. It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the robotic ultrasonic inspection system with EMAT is capable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evaluation of defects in pipe structure successfully by applying signal processing method based on wavelet transform.

밭 노지 작업을 위한 모듈형 농업 로봇 플랫폼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s to a Modular Agricultural Robot Platform for Field Work)

  • 김동우;홍형길;조용준;윤해룡;오장석;강민수;박희창;서갑호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80-87
    • /
    • 2021
  • Our study introduces an improved modular agricultural platform to provide convenience to agricultural workers. We upgrade the platform design in three parts, namely, by adding a 458 pattern tire, electricity control, and four-wheel steering function, to improve the platform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the upgrades enhanced the platform performance and reduced its overall weight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platform.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our improved platform, we conducted five types of experiments with respect to the climbing angle, variable width, attitude control, speed, and obstacle passing.

블루투스 기반의 장애물 극복용 메카넘휠 RC 카 (Mecha-numwheel RC Car for Overcoming Obstacles Based on Bluetooth)

  • 차세찬;임동현;이상휘;이웅재;한영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83-288
    • /
    • 2024
  • 본 논문에는 장애물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장애물 극복 전 방향(ALL-Direction) 주행 RC 카를 제작하여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는 시험장을 제작해 주행평가를 진행한다. RDS3115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여러 장애물 지형의 기울기를 인식하고 RC 카가 지형을 넘을 수 있는 서보모터의 각도를 조절한다. 시험장 지형 실험에서 제작한 모든 장애물 지형들을 주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RC 카의 회전 각도를 확인하였다.

주행모드에 따른 전기이륜차의 1회충전주행거리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Per-Charge Range-Testing Method for Two-Wheeled Electric Vehicles)

  • 길범수;김강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호
    • /
    • pp.37-4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기이륜차의 1회충전주행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도로 주행시험과 차대동력계(Chassis Dynamometer) 주행시험을 하였다. 도로주행시험은 대전시(Daejeon Metropolitan City)의 도로 중 대표적인 3가지 루트에서 주행시험을 하였다. 차대동력계를 이용한 CVS-40모드 주행시험의 경우 도로 부하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CVS-40 모드주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로에서의 전기이륜차의 1회 충전주행거리(Per-Charge Range Testing)를 확인하고, 차대동력계 도로부하 설정방법에 따른 주행거리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도로 주행시험과 차대동력계 주행시험을 비교하여, 차대동력계 실험에서도 전기이륜차 1회충전주행거리시험이 실도로에서의 주행조건과 근접한 결과를 갖는 도로부하 설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주행안정성 분석 (Running stability analysis of the Semi-Crawler Type Mini-Forwarder by Using a Dynamic Analysis Program)

  • 김재환;박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98-103
    • /
    • 2015
  •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주행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인 RecurDyn을 이용하여 횡전도 분석, 등판능력 분석, 장애물 통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동역학분석 프로그램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반궤도식 임내 작업차의 형상은 3D CAD모델러인 AutoCAD 3D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반궤도식 임내작업차의 공차 및 적재 시에서 횡단기울기 $20^{\circ}$ 이하의 지형에서 주행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종단기울기 시뮬레이션에서는 공차 및 적재 시에 종단경사 $28^{\circ}$ 미만의 지역에서 주행하는 것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애물 통과 시의 주행안정성은 공차 및 적재의 경우, 전륜타이어가 주행속도 각각 5 km/hr 및 4 km/hr 이상일 때 지면과 분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후륜궤도는 지면과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장애물 통과 시에는 최대 5 km/hr 이하가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