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table powder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율무 종자 오염 Fusarium 속 진균 저감화를 위한 이화학적 처리 (Physicochemical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Fusarium spp. Infested in Adlay (Coix lacryma-jobi L.) Seeds)

  • 안태진;김영국;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오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60-467
    • /
    • 2015
  • Background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an effective physicochemical control method to reduce Fusarium species infestation in adlay (Coix lacryma-jobi L.) before and after harvesting. Methods and Results : We observed that prochloraz emusifiable concentrate and hexaconazol prochloraz emusifiable concentrate strongly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10 Fusarium species. Strong growth inhibitions and cell lysis were observed following treatment with 4% NaOCl solution. The total number of fungi detected were lower follwing treatment with thiophanatemethyl triflumizole wettable powder ($1.1{\times}10^4CFU/g$), hexaconazol prochloraz emulsifiable concentrate ($1.2{\times}10^4CFU/g$), carboxin thiram dustable powder ($1.6{\times}10^4CFU/g$) and prochloraz emulsifiable concentrate ($1.7{\times}10^4CFU/g$) than in the non-treated control ($7.7{\times}10^4CFU/g$). The reduction of Fusarium fungi varies with the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of NaOCl solution. Fungal detection was not observed after soaking in NaOCl solution for 24 h and harmful effects were not observed for plant growth by NaOCl after soacking for 6 - 12 h. Conclusion : Soaking seed for 6 - 12 h in 4% NaOCl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of disinfectant treatment for the control of Fusarium fungi in adlay seeds.

Evaluation of Dermal Absorption Rate of Pesticide Chlorpyrifos Using In Vitro Rat Dermal Tissue Model and Its Health Risk Assessment

  • Kim, Su-Heyun;Jang, Jae-Bum;Park, Kyung-Hun;Paik, Min-Kyoung;Jeong, Sang-H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0-149
    • /
    • 2016
  • All pesticides must be assessed strictly whether safe or not when agricultural operators are exposed to the pesticides in farmland. A pesticide is commonly regarded as safe when estimated dermal absorption amount is lower than the acceptable operator's exposure level (AOEL). In this study, dermal absorption rate of chlorpyrifos, a widely used organophosphate insecticide, was investigated using rat dermal tissue model. Chlorpyrifos wettable powder solved in water (250, 500 and 2,500 ppm) was applied to freshly excised rat dermal slices ($341{\sim}413{\mu}m$ thickness) on static Franz diffusion cells at $32^{\circ}C$ for 6 hours. After exposure period of 6 hours, and then washing-at residual amount of chlorpyrifos was analyzed in dermal tissues, tape strips, washing solution, washing swabs of receptor bottles and receptor fluids at 1, 2, 4, 8 and 24 hours. Chlorpyrifos was only detected in dermal tissue but not found in receptor fluid at each concentration and time point, and the absorption rate of 250, 500 and 2,500 ppm was 2.36%, 1.96% and 1.69%, respectively. The estimated exposure level of chlorpyrifos was calculated as 0.012 mg/kg bw/day. The health risk for farmers in this condition is a level of concern because the estimated exposure level is 12 times higher than AOEL 0.001 mg/kg bw/day. However, actual health risk will be alleviated than estimated because absorbed chlorpyrifos is not permeated into internal body system and only retained in skin layer.

마늘 추출물의 벼 키다리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The disinfective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Bakanae Disease)

  • 성창근;최지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1호
    • /
    • pp.45-52
    • /
    • 2004
  • 마늘의 주요 항균성분은 allicin이며, allicin을 유효물질로 한 마늘 종자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마늘 종자소독제 중의 allicin 함량은 약 0.62%였으며 키다리병균 Gibberella fujikuroi에 대하여 1% 농도에서 가장 강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벼 키다리병의 방제가는 병원균을 접종한 처리구에서는 87.5%, 접종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81.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조약제인 prochloraz, fludioxonil 처리구 보다는 효과가 미흡하지만 친환경 종자처리제로서의 만족할 만한 방제효과라고 사료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수온에 따른 키다리병의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수온 $30{\sim}35^{\circ}C$에서 91~95%의 방제효과를 보인 반면 온도가 낮아질수록 방제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하여 처리할 때에는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처리시 수온과 약량에 따른 키다리병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종자소독제의 처리농도가 높고 종자소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병이 적어졌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아 어느 방법도 실용적인 방제법이 될 수 없었다. 마늘을 이용한 종자소독제는 다른 소독제와 같이 소량으로 대량의 볍씨를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용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termination of Methoxyfenozide Residues in Water and Soil by Liquid Chromatography: Evaluation of its Environmental Fat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Choi, Jeong-Heui;Mamun, M.I.R.;Shin, Eun-Ho;Kim, Hee-Kwon;El-Aty, A.M. Abd;Shim, Jae-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07-212
    • /
    • 2008
  • Pesticide residues play several key roles as environmental and food pollutants and it is crucial to develop a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environments. In this study, a simple, effective, and sensitive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oxyfenozide in water and soil when kept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e content of methoxyfenozide in water and soil was analyzed by first purifying the compound through liquid-liquid extraction and partitioning followed by florisil gel filtration. Upon the completion of the purification step the residual levels were monitored throug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using a UV absorbance detector. The average recoveries of methoxyfenozide from three replicates spiked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were ranged from 83.5% to 110.3% and from 98.1% to 102.8% in water and soil,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LODs) and limits of quantitation(LOQs) were 0.004 vs. 0.012 ppm and 0.008 vs. 0.024 ppm, respectively. The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evaluate the behavioral fate of a 21% wettable powder(WP) methoxyfenozide throughout the course of 14 days. A first-order model was found to accurately fit the dissipation of methoxyfenozide in water with and a $DT_{50}$ value of 3.03 days was calculated from the f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methoxyfenozide dissipates rapidly and does not accumulate in water.

가지 잿빛공팜이병 방제용 생물농약 개발 및 방제효과 (Development of Biofugicide for Control of Gray Mole Rot of Eggplant Caused by Botrytis cinerea, and Bioassay in the Greenhouse Condition)

  • 김철승;이재필;송주희;임은경;정순재;하상영;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5-241
    • /
    • 2001
  • To select the sntagonistic bacteria against B. cinerea, isolates were screened from the eggplant leaves and rhizosphere soils in the eggplnat fields in the greenhouse. W1 and P99 isolates were selected by the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B. cinerea E12 in vitro test. These isolates, W1 and P99,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putida, respectively, by the Bergeys manual and API systems, For the formul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the media for the mass production were prepared with biji(soybean curd residues) or soybean flour. B. subtilis W1 or P. putida P99 was mass cultured in biji broth or soybean flour extrect broth and then soybean flour, corn starch flour, rice glutinous flour and biji flour as high molecular substrates were added. These mixtures were dried, grinded and formulated as brofungicides of wettable powder type. The assess the control effect of biofungicides against the infection of B. cinerea, six types of formulations were assayed at the pot culturing with eggplant in the greenhous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rmulation methods. However, P99S or PppB formulated with P. putida P99 showed the highest control values as 90.4% and 96.1%, respectively. Then. BSB or BSD formulated whit B. subtilis W1 were 80.8% and 83.0%, respectively. There afforementioned valu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chemical fungicide. Ipro W.P which showed as 72.6%.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urkholderia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o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 Lee, Kwang-Youll;Kong, Hyun-Gi;Choi, Ki-Hyuck;Lee, Seon-Woo;Moon, Byung-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59-67
    • /
    • 2011
  • A bacterial strain CH-67 which exhibits antagonism towards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Botrytis cinerea, Fulvia fulva,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totrichum sp. and Phytophthora sp.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by a chitin-baiting method.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Bcc) and belonging to genomovar IX (Burkholderia pyrrocinia) by colony morphology, biochemical traits and molecular method like 16S rRNA and recA gene analysis. This strain was used to develop a bio-fungicide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aused by Fulvia fulva. Various formulations of B. pyrrocinia CH-67 were prepared using fermentation cultures of the bacterium in rice oil medium. The result of pot experiments led to selection of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CH67-C containing modified starch as the best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H67-C, at 100-fold dilution, showed a control value of 85% against tomato leaf mold. Its disease control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emical fungicide triflumidazole. B. pyrrocinia CH-67 was also effective in controlling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PY-1 i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plants. CH67-C formulation was recognized as a cell-free formulation since B. pyrrocinia CH-67 was all lethal during formulation process.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biocontrol formulation of biofungicide using B.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Terpinyl acetate-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과실파리류 연중발생 모니터링 기술 및 살포용 방제 제형 개발 (Monitoring Technique of Pumpkin Fruit Flies Using Terpinyl Acetate-Protein Diet Lure and Development of Its Spraying Formulation for The Fly Control)

  • 김용균;안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5-22
    • /
    • 2020
  • 국내에 호박을 가해하는 두 과실파리는 Zeugodacus 속으로 분류된다. 호박꽃과실파리(Z. scutellata) 수컷은 큐루어(Cuelure)에 유인되어 포장에서 이 과실파리의 발생을 모니터링 하는 데 이용된다. 이에 반해, 호박과실파리(Z. depressa) 수컷을 유인하는 물질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단백질 먹이 유인제가 대부분의 과실파리를 유인하게 되는데 여기에 terpinyl acetate (TA)를 추가하여 호박과실파리의 유인력을 높였다. 본 연구는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발생을 모니터링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큐루어와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2019년 한 해 동안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이 두 유인제로 얻어진 연중 모니터링 자료를 비교하였다. 두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꽃과실파리의 연중 발생 패턴은 10월 하순을 제외하면 유사하였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는 10월 하순 시기에도 지속적인 호박꽃과실파리의 포획을 보였는데 이는 9월 하순 이후 호박꽃과실파리의 성충 휴면 유기에 따른 유인 행동 차이로 이해되고 있다.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모니터링은 크게 두 개의 발생 최성기를 보여 하나는 7월 중순이고 다른 하나는 8~9월에 나타나며 포획된 개체들의 80% 이상이 암컷이었다. 이러한 TA-단백질먹이 유인제의 두 과실파리류에 대한 유인 효과를 바탕으로 스피노사드(spinosad) 살충제를 가미한 수화제를 제조하고 호박 재배지에 살포하였다. 처리 7 일경과 후 약 70% 이상의 방제 효과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 방제 효과는 처리 이후 기간이 경과하면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TA-단백질먹이 유인제를 이용하여 야외 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의 연중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스피노사드를 가미한 TA-단백질먹이 유살제가 이들 호박과실파리류 방제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Indoxacarb의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살포액 조제 시 농작업자의 노출량 측정 및 위해성 평가 (Operator Exposure to Indoxacarb Wettable Powder and Water Dispersible Granule during Mixing/loading and Risk Assessment)

  • 김은혜;황연진;김수희;이혜리;홍순성;박경훈;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2012
  • Indoxacarb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살포액 조제 시 농작업자의 노출량 측정을하여 두 제형 간 노출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손 노출량 측정은 면 장갑을 사용하였고 호흡노출량은 personal air monitor를 이용하였으며, 노출량 측정을 위한 다양한 분석/시험방법을 검증하였다. 분석 기기의 검출한계는 0.25 ng, 정량한계는 1 ng로 설정하였고, 표준 검량선의 직선성은 $R^2$이 0.9999 이상이었으며, 분석재현성은 C.V값이 0.7~6.0이었다. 또한 3수준으로 수행한 노출 시료(장갑, 고체 흡착제, 유리섬유필터)에서 indoxacarb의 분석법의 회수율은 81.5-108.8% 이었고, 호흡 노출 실험의 검증 중에서 포집효율 및 파과실험 결과 90.4-112.0%의 회수율을 보였다. Indoxacarb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조제 시 30반복의 손 노출량의 75percentile 값은 수화제는 459.8 mg/kg a.i이며, 입상수화제는 81.4 mg/kg a.i로, 수화제가 입상수화제에 비해 6배 이상 노출이 되었다. 호흡노출량은 조제 약량의 $10^{-8}-10^{-7}%$, 손 노출량의 $10^{-4}-10^{-3}%$이었으며 호흡노출량은 수화제 및 입상수화제 사이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Indoxacarb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margin of safety (MOS) 계산 시 중요한 노출 인자로서 한국인 남성 평균체중과 농작업자 노출 허용량을 사용하였다. 위해성 평가 결과 두 제형 모두 조제 작업 시 MOS가 1이상으로 위해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경기지역 원예작물 꽃노랑총채벌레 약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Western Flower Thrip,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ysanoptera: Thripidae) on Horticultural Crops in Gyeonggi Area)

  • 이영수;이희아;이현주;홍순성;강창성;최용석;김형환;장명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9-186
    • /
    • 2017
  • 경기지역 원예작물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작물과 관계없이 acetamiprid (8%) SP, clothianidin (8%) SC, imidacloprid (10%) WP, thiacloprid (10%) WG와 같은 네오니코티노인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채류 재배지 채집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 acetamiprid + spinetoram (6+4%) SC와 clothianidin + spinetoram (6+4%) SC, methoxyfenozide + spinetram (6+4%) SC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실내에서 꽃노랑총채벌레에 살충효과가 높았던 약제를 대상으로 채집지역과 대상작물을 동일하게 화성지역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포장검정을 수행한 결과 spinetoram (5%) WG의 경우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87.4, 88.0, 98.3%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imidacloprid (10%) WP는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1.7, 24.1, 43.6%로 나타나 실내검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작물 꽃노랑총채벌레 방제를 위해서 살충제 선택의 폭이 좁은 가운데, 스피노신계와 피롤계의 약제들이 타 계통의 약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스피노신계의 spinetoram과 spinosad의 함량을 각각 4, 10% 이상 함유하거나 피롤계의 chlorfenapyr가 5% 이상 함유된 단제 또는 혼합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함유 비료 처리에 의한 상추의 생육 증대 효과 (Growth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in Lettuce)

  • 김영선;조성현;이훈수;이긍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4호
    • /
    • pp.15-24
    • /
    • 2021
  • 본 연구는 친환경농업에서 미생물비료(MF)의 작물 생육 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함유된 미생물비료의 처리, 유기질비료(OF)의 혼용 처리 및 미생물비료 제형별 처리에 따른 상추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생물비료의 유효 균주인 B. amyloliquefaciens는 전분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비료를 유기물의 공급없이 상추에 처리하는 경우 작물의 생육은 무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할 때, 유기질비료와 미생물비료를 함께 처리한 MOF2 처리구(2,500 kg OF/ha + 50 kg MF/ha)의 건물중이 약 30% 증가하였다. 미생물비료 제형별 상추 생육 조사 결과, 수용제는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화제 처리구의 건물중은 약 43% 증대되었다. 미생물비료의 제형별 작물 생육 비교 시 수용제보다 수화제 처리구에서 37% 정도 증가하여 수화제 처리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미생물비료를 유기질비료와 혼용하는 경우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며, 수화제의 처리 시 작물의 생육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