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function assessmen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Wetland Conservation Plan for Upo Wetland Protected Area)

  • 김수련;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80
    • /
    • 2019
  •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is used as a tool to set the management direc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s, and which is establishing a plan for the conservation, wise-use, and management based on wetland's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plan considering the function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Upo wetland protected area. To this end, there ar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plan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po Wetland Conservation Plans in the past. The manageme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priority of those elem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AH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ack of considering the chang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isting plans in wetlands, conducting short-term projects related to maintenance original function of wetland,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for wetland protected areas and other adjacent area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y stakeholders, inconsistencies in timing of the Conservation Plan and survey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it needs to includ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strengthen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expertise, continuing of projects for wetlands' maintenance, priority of the project considering the management side, and to adjust the timing of plans to improve data availability.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기능 및 요인분석 (The Analysis of Function and Factors for the Valu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Rice Paddy Wetland)

  • 공민재;이병모;김남춘;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1-259
    • /
    • 2014
  • 최근들어 세계환경의 화두는 습지와 더불어 논습지 그리고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에 집중 조명되고 있지만,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 할 수 있는 연구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습지평가체계를 논습지에 적용하여 습지로서 논의 가치를 평가해보는 동시에 논습지 중심의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고도와 토양을 기준으로 16곳을 선정하였다. 습지평가 결과 연구대상지 16곳은 총점 110점~118점, 평균 2.17~2.50으로 선행연구 사례지인 호수형습지, 소택형습지, 하천형습지와 비교해도 습지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도, 토성에 따라서는 평가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보전가치는 모두 같게 나타났다.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보전가치에 가장 밀접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찾아본 결과, 면적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습지평가체계로 논습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논습지 평가를 위해서는 재배유형, 지형적 특성, 식생특성, 생육환경, 생물다양성 등의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습지평가체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정 수문지형학적 방법을 적용한 강천 대체습지의 기능평가 (Functional Assessment of Gangcheon Replacement Wetland Using Modified HGM)

  • 김정욱;이보은;김재근;오승현;정재원;이명진;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6
    • /
    • 2017
  •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진행하면서 하천준설 및 습지 내 유원지화로 기존의 습지가 축소되거나 훼손되었다. 이에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대체습지를 조성하였으나, 이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상태이다. 습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습지의 기능을 평가하고 각 기능에 맞는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강천습지를 대상으로 수정 HGM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동 식물서식처 기능을 평가하였다. 기능평가를 위한 변수를 산정하기 위해 4대강 사업 전과 사업 후의 강천습지에 대한 현황과 습지에 대한 자료 및 제원을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 그리고 수리 수문모델링을 통해 획득하였다. 기능평가 결과 4대강 사업 이후 수문학적 기능이 65.5%, 생지화학적 기능이 66.6%, 식물서식처 기능이 75%, 그리고 동물서식처 기능이 108.3%로 4대강 사업 이후 강천습지는 이전에 비해 78.9%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기능의 감소는 4대강 사업 이후 지표하 저류의 감소, 그리고 생지화학적 기능 및 식물서식처 기능의 감소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천습지 주변의 모래톱이 상당 면적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소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습지 구역을 확장하고,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정 HGM 방법은 기존의 습지로부터 대체습지에 대한 개선 정도를 고려할 수 있으므로 조성된 대체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습지를 새롭게 조성할 경우 시간에 따른 조성 습지의 기능 변화를 평가하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7-158
    • /
    • 2012
  • 최근 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용담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생태공원 시나리오에 대한 용담댐습지의 총 가치는 약 420억원으로 나타났다.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습지 기능평가 연구 - 충남 서해안을 대상으로 - (A Study on Function Assessment of Coastal Wetlands for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Focused on the Westcoast of Chungnam Province -)

  • 박미옥;박미란;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70-80
    • /
    • 2007
  •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function of coastal wetland as a ecological axis in korea peninsula. Assessment was done by RAM (Rapid Assessment Method). RAM is consisted of total 8 contents and divided into high, moderate, low. The preservation grade of RAM is divided into 4 grades; absolute preservation, preservation,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r restoration. Throughout survey on total 14 wetlands of marine, estuary wetland and back marsh which are distributed in west coast in chung-nam province, their function was assessed. As result, total all the 14 wetlands were judged as preservation grade by assessment of 8 functional contents. The function of wetlands assessed as preservation grade showed high in water quality protection and improvement. Also, showed high in vegetation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aesthetic recreation. Meanwhile, showed low in ground water recharge,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Flood/Stormwater storage and Flood flow alteration. Of wetlands evaluated as preservation grade, Dae-ho, Sinduri, Bu-Nam lake, Sowhang dune and keum river estuary were assessed as absolute preservative area owing to habitation of international protection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These wetlands are essential to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area having high ecological value. Farther, this wetlands will be done as a axis of ecological network related to land ecosystem.

천안시 마을습지 인벤토리구축 및 보전전략 (Village Wetlands Inventory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Cheonan)

  • 박미옥;임수현;이란;김보희;양승빈;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39-5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inventory and propose conservation strategy of 'village wetlands' in Cheonan. As results, the village wetlands are defined as such places as palustrine wetland, village embankment, agricultural reservoir or small reservoirs located in or near the village and related to everyday life or farming. Firstly 791 provisional village wetlands were identified in Cheonan by using Arc-GIS 10.1, then 104 wetlands were defined as village wetlands and listed the inventory of Cheonan Village Wetlands after being validated through their area (greater than $1,000m^2$), satellite images,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land use map, land coverage map and field survey. Finally the 49 wetlands were selected for detailed surveying, and function assessment. As the result of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11 wetlands were found to have 'high' wetland function (conservation) 30 wetlands were 'average' (enhancement) and 8 wetlands were 'low' (restoration or enhancement). Enhancing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through ecological management of wetlands in Cheonan and connecting with an ecological network were proposed.

GIS를 이용한 아산시 마을습지 인벤토리 구축 및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Village Wetlands Inventory Using GI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thods in Asan City, Korea)

  • 박미옥;양승빈;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67-17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inventory and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illage wetlands' in Asan city, Korea, using GIS. As results, the village wetlands are defined as such places as 'palustrine' wetland, village embankment, agricultural reservoir or small reservoirs located in or near the village and related to everyday life or farming. Firstly 807 provisional village wetlands(draft) were identified in Asan by using Arc-GIS 10.1, then 196 wetlands(final) were defined finally as village wetlands and listed the inventory of Asan Village Wetlands after being validated through office works and field survey. The office works analyzed minimum area(greater than $625m^2$), satellite images,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land use map and land coverage map. To evaluate the function and conservation values, the 37 wetlands were selected for detailed surveying and function assessment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 1) doubled code both wetland and reservoir at digital map, 2) located less than 100m from village and 3) ecologically connected to such ecological resources as seaside mudflats, mountains and green area and ecological passages for small size wildlifes. As the result of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by the RAM method, 7 wetlands were found to have 'high' wetland function (conservation) 18 wetlands were 'medium' (enhancement) and 12 wetlands were 'low' (restoration or enhancement). Enhancing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through ecological management of wetlands in Asan and connecting with the Ecological Natural Degree were proposed.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2) - CE를 이용한 가치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2) - Assessment of Value by CE : Focussing on Boryeong Dam -)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박두호;안재현;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43
    • /
    • 2009
  • 최근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선택실험법(CE)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보령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와 보령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Conditional Logit(CL) 모형과 Random Parameter Logic(RPL)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령댐습지를 주변습지지역만 고려했을 경우, 총 가치는 약 728억원으로 나타났다.

  • PDF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65-675
    • /
    • 2011
  •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기준습지 토양특성을 활용한 인공습지의 토양발달 평가 (Assessment of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in Constructed Wetlands using the Soil Properties of a Reference Wetland)

  • 이자연;강대석;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10
  • 인공습지 토양의 변화 특성을 인공습지의 성공 여부와 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인공습지 조성 후 토양의 변화를 기준습지 토양의 변화특성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습지로 자연습지 1곳과 오염물질 유입 특성이 다른 인공습지 2곳(처리습지, 실험습지)을 선정하여 주요 토양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습지토양의 침수조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및 유기물 축적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토성, 함수율, pH, CEC 및 유기물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습지의 영양물질의 축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질소와 유효인산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자연습지에서는 점토의 함량이, 인공습지에서는 모래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연습지와 인공습지의 토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공습지 토양의 실트와 점토 함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함수율과 유기물함량의 경우 여름철과 가을철 모두 자연습지가 인공습지보다 높았다. 토양의 pH는 자연습지가 인공습지에 비하여 낮았으며, 인공습지의 경우에도 습지 조성 후 중성으로 변화하였다가 다시 pH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EC, 총질소, 유효인산의 농도는 외부의 유기물질이나 오염물질 유입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오랜 기간 동안 영양물질을 보유한 자연습지에서 인공습지보다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습지의 경우 조성과정에서 오염도가 높은 표토와 낮은 심토가 섞여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습지 조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토양 특성변화도 습지의 생지화학적 기능이나 습지 토양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인공습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변화와 유기물 및 영양물질 보유량 변화 등과 같은 습지토양의 발달특성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조성의 성공 여부나 인공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위하여 자연습지와 같은 기준습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