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 injur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토양조사 자료 실용화(實用化)를 위한 우리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 구분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types of the Korean Paddy Soils for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Results)

  • 정연태;정석재;현근수;손연규;조영길;윤을수;조국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84
    • /
    • 2001
  •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의 결과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분포지형(分布地形), 토성(土性), 배수등급(排水等級) 등을 종합한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을 구분하였다. 우리 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은 37형(型)으로 구분되었고, 분포면적이 많은 형태형은 곡간지 식양질반습답(埴壤質半濕畓)(Lfi : 약 224천ha), 곡간지 식양질 건답(乾畓)(Lfd : 약160천ha), 곡간지 사양질(砂壤質) 반습답(半濕畓)(Lmi : 약112천ha), 곡간지 역질건답(礫質乾畓)(Lkd : 약 93천ha)등의 순으로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 토양의 비중이 높았다. 논 토양의 답리작, 비닐하우스, 또는 녹비배재 가능성등을 형태형별로 추천하였고, 아울러 생고나 퇴비, 심경, 객토 또는 배수 대상지, 침식위험성, 벼의 중간낙수 필요성, 환원장해 우려정도 등을 구분하여 관리기술로 추천하였다. 각종 시험연구가 진전(進展)될수록 더욱 정밀(精密)한 토양관리(土壤管理) 기술의 추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 PDF

벼 담수직파 및 콩 재배시 Methiocarb 종자 분의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 (Effect of Methiocarb as a Bird Repellent in Water-Seeding Rice and Soybean Fields)

  • 이철원;정봉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3-377
    • /
    • 1997
  • 벼 담수 직파재배와 콩 포장에서 조류 기피제인 methiocarb 50% WP의 처리에 의한 새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성벼와 태광콩을 공시하고 약제의 양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 1> 벼 종자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와 모의 생육 1)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 무처리구는 파종 후 2일에 12%, 3일 후에 37%, 5일 후에 50%의 새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벼 종자 5g 처리구는 4일 후에 35%, 5일 후에 39%의 피해가 있었고, 10, 15g 처리구는 파종 후 6일에 9% 정도이었다. 2) 벼 담수 직파재배에서는 파종 7일 후에는 초엽과 침엽이 출현함으로써 새에 의한 피해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새에 의한 피해방지는 파종 후 7일 이내가 중요하였다. 3) 약제 처리에 대한 벼 종자의 출아율은 종자 kg 당 methiocard 10g 처리구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15g 처리구에서는 유의하게 출아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파종 20일 후의 초장과 엽수는 종자 kg당 methiocarb 15g 처리구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 2> 콩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따른 새 피해 경감 효과 1) 콩 포장에서 새 피해 발생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methiocarb 7.5g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콩 포장에 대한 methiocarb 처리에 의한 약해 정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 전 처리구에서 약해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새만금간척지의 토양염농도와 지하수위의 하계 상승이 이식한 과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alinity and Soil-wetting by Summer-Rising of Water Table on the Growth of Fruit Trees Transplanted at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 손용만;전건영;송재도;이재황;김두환;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5
    • /
    • 2010
  •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과수원조성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무화과, 블루베리 등 6개 수종을 식재하였다. 2009년 5월 31일 이식한 과수묘목은 초기에 활착이 양호한 편이었으나 점차 고사주의 발생이 심화되면서 월동전 10월 말에는 생존율이 사과 4~28%, 배 6~25%, 복숭아 0%, 포도 83~88%, 무화과 25~39%, 불루베리 0~3%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신초장도 정지되거나 고사하였다. 이처럼 고사주가 많이 발생한 원인은 토양염농도가 전 생유기간 중 토양 EC가 3.0 dS $m^{-1}$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염해 발생가능성이 적은 반면에 여름강우기 높은 토양수분조건과 호우시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여 생긴 침수해로 추정된다. 새만금토양은 투수계수가 121 cm $day^{-1}$로 정체수가 생길 가능성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정체수에 의한 침수해가 발생하는 것은 여름장마기에 지하수위의 상승과 토양의 수분포화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10~24 mm 정도로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적은 강우량에도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는 간척지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식묘목이 전멸한 복숭아는 습해에 약한 생리적 특성, 거의 전멸에 가까운 높은 고사율을 보인 블루베리는 산성토양을 좋아하는 생리적 특성 때문에 알칼리성의 간척지 특성(pH 8.0-8.4)에 적응하지 못하여 생긴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에서의 과수원조성은 제염과 더불어 배수문 제가 선결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추정된다.

뇌기저부 골절후 발생된 과도한 구인두 출혈의 구인두 전체 신속압박에 의한 응급지혈: 증례보고 (EMERGENCY BLEEDING CONTROL BY RAPID ENTIRE OROPHARYNGEAL PACKING IN A PATIENT WITH ACTIVE OROPHARYNGEAL BLEEDING FOLLOWING BASAL SKULL FRACTURE: REPORT OF A CASE)

  • 모동엽;유재하;최병호;김하랑;이천의;유미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89-195
    • /
    • 2010
  • Excessive oral and maxillofacial bleeding causes upper airway obstruction, bronchotracheal & gastric aspiration and hypovolemic shock. Therefore, the rapid & correct bleeding control is very important for life-saving in the medical emergency room. In spite of the bleeding control methods of the wound suture & direct pressure, the postoperative bleeding can be occurred, because of the presence of various bleeding disorders & postoperative delayed wound infections. The proper care of bleeding disorders & wound infections are very important for the control of the delayed postoperative rebleeding. In spite of these methods, active oral bleeding can be presented by the other causes of head injury. A rare but particularly dangerous sort of bleeding that may have an especial importance to the patient with severe basal skull fracture that damage large vessels and even the cavernous sinus. The occurrence of profuse nasal or oropharyngeal bleeding may arise from damage to the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vessels, but when mixed with brain tissue it is evidence of mortal damage. In this condition, rapid entire oropharyngeal packing is essential for the control of active oral bleeding. This is a case report of rapid rational bleeding control method by much amount of wet gauze packings, in a 44-years-old male patient with active oropharyngeal bleeding by basal skull fractures.

논의 두더지 배수(排水) 효과(效果)와 콩 재배(栽培) (Effect of Mole Drainage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Jeonbug Series, Aeric Halaquepts))

  • 전장협;양창휴;이경보;남정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6-302
    • /
    • 1994
  • 배수(排水)가 약간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전북통(全北統))을 답전윤환하기 위한 기반조성을 위하여 천공시공(穿孔施工) 간격(間隔)을 50cm, 100cm, 150cm로, 천공심도(穿孔深度) 30cm로 시공(施工)한 후에 콩을 재배(栽培)하여 생육(生育)과 토양(土壤)의 특성변화에 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천공시공(穿孔施工)에 의한 배수율(排水率)은 강우(降雨) 1, 2일 경과(經過) 후(後)에 최대(最大) 75%, 최소(最小) 48%까지 유출(流出)시켰으며, 지하수위(地下水位)는 40cm이하(以下)를 유지(維持)하여 목표(目標)의 배수(排水) 능력(能力)을 거의 달성(達成)했다. 2. 천공시공후(穿孔施工後)의 토양구조(土壤構造)는 괴상에서 립상 또는 과립상으로 변하였다. 하층토(下層土)에서는 토양(土壤)의 산화(酸化)와 구열(龜裂)이 발생(發生)했으며, 토양(土壤)의 건조(乾燥)는 충분(充分)하지 않았으나, 투수성(透水性)의 개선(改善)으로 전지화(田地化)의 진행(進行)을 볼수 있었다. 3. 천공시공(穿孔施工) 포장(圃場)에서 재배한 콩은 무처리구보다 11~22% 증수(增收)되었으며, 천공무시공(穿孔無施工) 포장(圃場)에서는 일부습해(一部濕害)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했다.

  • PDF

맥류 내냉성에 관한 연구 제5보 맥류근의 생육환경차이가 지하 및 지상부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Wet-injury Resistance of Wheat and V.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of Roots and Those of Tops in Barley and Wheat Crop)

  • 서형수;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6-72
    • /
    • 1979
  • 동일주에서 발생한 근을 이등분하여 생육환경을 바르게 하였을 때 근부와 지상부의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근의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편보다 과습 과건등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편이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으며 근중은 가벼웠다. 2. 또 근의 양편 모두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보다 한편만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가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으며 근중은 가벼웠다. 3. 따라서 동일주에서 한편의 근을 생육환경을 불량하게 하였을 때 그 근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지상부의 생육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고 일주전체에 영향이 있는 경향으로 4. 근의 양편 모두 생육에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보다 한편만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가 출수기는 지연되고 간장과 수장이 짧았으며 유효경비율도 낮았다. 5. 수량은 근의 생육량과 정의 유의상관을 보여 근의 생육이 좋은 환경에서 성장한 주에 비하여 임쪽이 좋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한 주의 수량이 감수되었는데 감수정도는 과건>과습, 사토> 식양토 순위였다.

  • PDF

배수개선을 위한 트랙터 부착식 체인형 암거 천공기의 적용 효과 (Effect of Chain Type Mole-Drainer Attached to Tractor for Drainage Improvement)

  • 전종길;최용훈;김민영;김영진;이상봉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4호
    • /
    • pp.63-73
    • /
    • 2020
  • The area of paddy fields for upland crop cultiv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context, we developed a chain type mole drainer that can be attached to a tractor to prevent the wet injury of crops. To conduct a field test, we formed underdrains at 2 m intervals in a paddy field wherein soybeans are cultivated, and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soil moisture, groundwater level, and soybean growth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by 22.3~26.8% in the test plot and by 5.9~6.9% in the control plot during a period of 57~88 hour after a rainfall of 41.5~157.0 mm. The effect of underdrainage was clear as the hourly groundwater level decreased approximately 2.8 times faster in the test plot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Moreover, the soybean yield was greater by 78.6 kg/10a in the test plot than in the control plot. Therefore, for soybean cultivation in paddy fields, the use of the developed mole drainer is expected to help in improving the drainage and increasing the soybean yield.

The Role of Oxygen Free Radicals and Phospholipase $A_2$ 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to the Liver

  • Park, Mee-Jung;Cho, Tai-Soon;Lee, Sun-M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89-194
    • /
    • 1995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zymatic scavengers of active oxygen metabolites and phospholipase $A_2$ inhibitor on hepatic secretory and microsomal function during hepatic ischemia/reperfusion. Rats were pretreated with free radical scavenger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deferoxamine and phospholipase $A_2$ inhibitor such as quinacrine and then subjected to 60 min. no-flow hepatic ischemia in vivo. After 1, 5 hr of reperfusion, bile was collected, blood was obtained from the abdominal aorta, and liver microsomes were isolated. Serum aminotransferase (ALT) level was increased at 1 hr and peaked at 5 hr. The increase in ALT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SOD plus catalase, deferoxamine and quinacrine especially at 5 hr of reperfusion. The wet weight-to-dry weight ratio of the liv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schemia/reperfusion. SOD and catalase treatment minimized the increase in this ratio. Hepatic lipid peroxidiltion was elevated by ischemia/reperfusion, and this elevation was inhibited by free radical scavengers and quina crine. Bile flow and cholate output, but not bilirubin output, were markedly decreased by ischemia/reperfusion and quinacrine restored the secretion. Cytochrome $P_{450}$ content was decreased by ischemia/reperfusion and restored by free radical scavengers and quinacrine to the level of that of the sham operated group. Aminopyrine N-demethylase activity was decreased and aniline p-hydroxylase was increased by ischemia/reperfusion. The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the two enzymes were prevented by free radical scavengers and quinacrine. Our findings suggest that ischemia/reperfusion diminishes hepatic secretory functions as well as microsomal drug metabolizing systems by increasing lipid peroxidation, and in addition to free radicals, other factors such as phospholipase $A_2$ are involved in pathogenes of hepatic dysfunction after ischemia/reperfusion.

  • PDF

내독소 투여후 쥐의 폐조직내 Antioxidant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SH-Peroxidase)의 변화에 대한 연구 (The Change of Antioxidant Enzyme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in the Endotoxin Infused Rat Lung)

  • 송정섭;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한기돈;문화식;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04-111
    • /
    • 1993
  • 연구배경 : 그람 음성균의 내독소는 ARDS를 유발하는 제일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기전중에 내독소에 의해서 폐로의 유입이 증가되고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분비하는 산소기가 증가하여 모세혈관 내피세포등에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한 증가된 산소기를 처리하는 항산화효소가 내독소를 대량 투여하거나 소량 반복투여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하였다. 방법 : 250~300g 되는 쥐에 내독소 대량투여군은 7mg/kg body weight로 내독소를 1회 복강내 주사하였고 소량 반복투여군은 1 mg/kg body weight로 10일간 매일 복강내 주사하였다. 대량투여군은 주사후 6, 12, 24시간후에, 소량 반복투여군은 주사후 3, 7, 10일에 각각 기관지 폐포세척술을 시행하고 살해하였다. 폐동맥을 통하여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적혈구를 제거한후 양측 폐를 들어내고 무게를 잰후 무게의 5배되는 용량의 50 mM potassium phosphate 완충액하에 3분 간 homogenize시켰다. 이들 $4^{\circ}C$ 에서 60분간 100,000g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상충액을 $-70^{\circ}C$에 보관하였다가 Cu, Zn SOD, Mn SOD, catalase, GSH-Px와 albumin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폐의 wet/dry 무게비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albumin 농도는 내독소 대량투여후 12시간에 최고로 증가하였고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호중구는 내독소 대량투여후 6 시간에 최고로 증가하였다. 2) Cu, Zn SOD (IU/mg protein)는 대조군 ($66.7{\pm}26.3$)에 비해 대량투여군에서 6시간후 ($21.86{\pm}5.79$)와 12시간후 ($31.96{\pm}9.54$)에 각각 의의있는 감소를 나타냈으며 소량 반복투여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3) Mn SOD, catalase, GSH-Px의 양은 대량 또는 소량투여군 모두에서 특별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내독소를 대량투여시 급성 폐부종의 소견과 함께 폐조직내 Cu, Zn SOD가 6시간 및 12시간후에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내독소에 의해서 폐의 세포가 손상을 받은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SOD를 외부에서 보충해주거나 폐내에서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급성 폐손상의 진행을 막을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젤라틴·키틴분해미생물을 이용한 밀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생육, 병해충 발생조사 및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Growth and Pests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in Gelatin·Chitin Microorganisms-treated Organic Culture)

  • 안필립;이지호;차광홍;서동준;안규남;윤창용;김길용;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40
    • /
    • 2021
  • 본 연구 시험포장의 토양은 식양질의 지산통으로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적인 화학적 특성과 비교하면 유효규산과 pH가 높았으며 유효인산과 유기물함량은 낮았다. 관행 및 유기재배구의 생육특성은 초장과 수장, 분얼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입모수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유기재배구에서 관행재배구에 비해 잡초발생이 많았으며 이는 수확작업 시 수확량의 손실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초종으로는 뚝새풀과 벼룩나물이었다. 밀의 생리장해로서 도복의 발생은 유기재배구보다 관행재배구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질소질비료의 시용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병해충발생은 겉깜부기병, 붉은곰팡이병, 흰가루병, 잎마름병, 누른모자이크병, 노린재류, 진딧물이 발생하였으며 유기재배구에서 겉깜부기병과 붉은곰팡이병 다소 발생하였다. 관행과 유기재배구에서 수확한 밀알의 성분분석 결과, 단백질함량은 전남지방에서 생산되는 밀의 평균값보다 낮았고 회분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2019년과 2020년의 연차 간 밀알성분의 차이는 단백질, 지방의 함량은 증가하고 수분, 탄수화물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회분은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2019년의 밀 수확량은 유기재배구(559 kg/0.1 ha)가 관행재배구(532 kg/0.1 ha)보다 더 높은 수량을 보였지만 2020년에는 배수불량으로 인한 누른모자이크병과 잡초 발생으로 관행재배구는 10%, 유기재배구는 30%의 수확량 감수를 초래했다. 2019년의 밀 재배농가의 순수익은 관행재배구(46만원/0.1 ha)로 유기재배구(44만원/0.1 ha)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비는 유기재배구(16.2만원/0.1 ha)가 관행재배구(9.4만원/0.1 ha)에 비해 다소 높았는데 이는 유기재배에서 비료비와 종자비가 관행재배보다 높았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