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types of the Korean Paddy Soils for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Results

토양조사 자료 실용화(實用化)를 위한 우리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 구분

  • 정연태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정석재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현근수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손연규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조영길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윤을수 (영남농업시험장) ;
  • 조국현 (호남농업시험장)
  • Published : 2001.04.30

Abstrac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oil survey results,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types of paddy soils which was consisted of land-form, texture, and drainage classes etc. was attempted as an interpretive classification system. The paddy soils could be classified into 37 types. Among the types, the "Lfi(Fine loamy textured semi-wet paddy on local valley and fans)" acreage of about 224 thousand ha, "Lfd(Fine loamy textured dry paddy on local valley and fans)" 160 thousand ha. "Lmi(Coarse loamy textured semi-wet paddy on local valley and fans)" 112 thousand ha, and "Lkd(Loamy skeletal dry paddy on local valley and fans)" 93 thousand ha, respectively were the dominant types. The possibility of double cropping, plastic film house, green manure cropping etc., and that for soil managements such as application of raw straw or compost, deep plowing or adding fine earth materials, mole drainage, susceptibility to erosion or reduction injury etc. for each types were recommended.

정밀토양조사(精密土壤調査)의 결과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분포지형(分布地形), 토성(土性), 배수등급(排水等級) 등을 종합한 논 토양의 형태형(形態型)을 구분하였다. 우리 나라 논 토양의 형태형은 37형(型)으로 구분되었고, 분포면적이 많은 형태형은 곡간지 식양질반습답(埴壤質半濕畓)(Lfi : 약 224천ha), 곡간지 식양질 건답(乾畓)(Lfd : 약160천ha), 곡간지 사양질(砂壤質) 반습답(半濕畓)(Lmi : 약112천ha), 곡간지 역질건답(礫質乾畓)(Lkd : 약 93천ha)등의 순으로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 토양의 비중이 높았다. 논 토양의 답리작, 비닐하우스, 또는 녹비배재 가능성등을 형태형별로 추천하였고, 아울러 생고나 퇴비, 심경, 객토 또는 배수 대상지, 침식위험성, 벼의 중간낙수 필요성, 환원장해 우려정도 등을 구분하여 관리기술로 추천하였다. 각종 시험연구가 진전(進展)될수록 더욱 정밀(精密)한 토양관리(土壤管理) 기술의 추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