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st Coast Area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35초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 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2-280
    • /
    • 1993
  • 한반도 서해중부에 위치하는 금강하구 및 인근 연안역에서 염분 및 부유물함량의 계절적 변화양상을 관측하였다. 금강하구에서 부유물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였으 며,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게 나타났다. 특히 홍수기의 하계에는 담수의 유입이 증가 하여 금강하구에서 염분은 5$\textperthousand$ 미만이었고, 염분이 28$\textperthousand$ 미만의 기수가 인근 연안역으 로 확장하였다. 부유물함량은 금강하구에서 100 mg/l 이상으로 높았지만, 외해에서는 5mg/l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홍수기인 하계에 부유물함량이 낮은 것은 금강을 통해 공급되는 육상기원 부유물질의 대부분이 강하구역에 집적되기 때문으로 해석된 다.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물함량 및 분포양상의 계절적 변동은 한반도 서해 연악역에서 현생 퇴적물의 주기적 퇴적작용으로 해석되었다. 즉, 하계동안 금강을 통 해 공급되는 세립물질은 강하구에 우세하게 집적되며, 동계에는 재부유되어 남쪽방향 으로 운반되는 반복작용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공간 토양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특성 (Temporal Chang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the Case of the Reclaimed Costal Area of Kyung-Gi Province, Korea)

  • 구본학;강재선;김정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61-169
    • /
    • 2000
  • In this study, the temporal changes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a reclaimed coastal area, the Shihwa Industrial Complex in the West Coast in Kyung-Gi Provinc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chemical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needed for introducing vegetation in the area. The sites were filled with mountain forest soils from 1987 to 1996, and developed into various landuses such as neighbourhood parks, children's parks, buffer greens, pedestrian roads and others. The correlation analyses shoed that pH, organic matter(OM) and available P205 had not been closely related to other chemical parameters such as various cations electro-conductivity(EC)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especially, pH showed a very low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The EC turned out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ations, especially with Na+ ions. There seemed to be fairly good correlations between cations except Ca++ ion. The relation between cations and OM was inconclusive possible because the OM contents in the soils were too low for the analysis. The OM seemed to increase slowly with time and the EC decreased slowly. The salinity and CEC in the original soils decreased rapidly possibly because of leaching.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some external disturbances such as rainfall which had affected the soil properties. The soils sampled in dry season showed a very high salinity. From thi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rainfall would affect the sol properties significantly.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urther studie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external disturbances such as rainfall on vertical soil profile and temporal variations as well as to delineate correlations between parameters with external disturbances controlled.

  • PDF

해양 조류발전단지 타당성 조사시 발전용량 산출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Extractable power capacity of Tidal current power farm in the Feasibility investigation)

  • 조철희;김도엽;채광수;임진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9.1-169.1
    • /
    • 2010
  • Due to global warming, the need to secure an alternative resource has become the international issue. Not like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TCP is the high reliable and predictable and continuous energy source as the current pattern and speed can be predicted throughout the year. Having very strong tidal current speeds, there are many suitable site for the application of TCP (Tidal Current Power) on the west and south coastal region in Korea. The maximum current speed in the south is recorded up to 6.5m/s. Due to the high tidal current speed on the west coast of Korea, numerous tidal current projects are being planned. To extract a significant quantity of power, a tidal current farm with number of devices is required in the ocean. However,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potential quantity of energy in the area. Also the realistic quantity that can be extracted is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estimated energy produc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devices and the interactional effects, system type, the water depth and etc., the cost of the development and the benefit from SMP can be estimated. The feasibility study for the 200MW tidal in Incheon, Korea has been performed recently. Based on the actual feasibility study, the procedure and the key points for the application of tidal current power farm are introduced in the paper.

  • PDF

차령화강암(車嶺花崗岩) 저반(底盤)과 이에 관련된 금속광상(金屬鑛床)의 암석학적(岩石學的) 및 지질구조적(地質構造的) 연구(硏究) (The Petrochemical and Structural Study on the Charyong Batholith and its Associated Metallic Deposits)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0권3호
    • /
    • pp.107-117
    • /
    • 1977
  • The Charyong batholith extends northeasterly from the west coast to the west of Wonju in the central parts of Korean Penninsula. The batholith is separated by the metamorphic complex into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granites. and is believed to intrude during the Daebo orogeny of early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It constitutes a sort of anticlinorium and the metamorphic complex can be regarded as a huge roof pendant. The mod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yong batholith belongs to a series of adamellite-granodiorte-to-nalite. The oxidation property happened during a magmatic segregation reveals that the batholith shows in general orogenic assimilation trend. The granites of early to middle Jurassic age show orogenic assimilation trend, whereas those of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post orogenic noassimilation trend. The fracture system of the whole region is two folds: the fractures having attitute of $N25{\sim}40^{\circ}E$ and $70^{\circ}SE$ are regarded as tension fractures, and those of NS, and 50E to vertical and $N50^{\circ}E$ and $80^{\circ}E$ to vertical as shear fractures. All these facts suggest definitely that the Charyong batholith is the syntectonic intrusives during the Daebo orogeny. The mineral deposits in the area studied are gold-silver deposits in majority which was named by O,J.Kim(1970) as the Chonan metallogenic province. They are sulfides baring quartz veins which were emplaced along the tension and shear fractures originated by the Daebo orogeny.

  • PDF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변화 (Change in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 이봉춘;조상윤;윤영남;강인정;이종희;곽도연;신동범;강항원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402-405
    • /
    • 2012
  • 본 조사는 2008년 이후 4년만에 실시한 RSV 전국조사 결과로서 2012년 벼 재배대표지역 29개 지역 672필지를 대상으로 RSV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RSV의 발생은 서해안지역인 서천, 태안, 부안 및 철원 등 18개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발병주율은 서천 0.01% 이하에서 부안 0.15%, 이병필지율은 4.9%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2008년의 전국조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이병필지율은 2008년의 19.9%에서 2012년의 4.9%로 감소하였다. 지금까지 벼줄무늬잎 마름병은 남부지방에 국한되어 발생되어 왔으나 2001년에 경기, 강화지역까지 북상하였으며, 2007년에는 서해안지역인 전북 부안, 충남 서천 지역에 대발생하였다. 현재는 2009년 중국으로부터 애멸구 비래가 확인된 이후 서해안 지역이 발생상습지화 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만연하는 병이 되고 있다.

황해 경기만 반월조간대 퇴적물 내의 황화물 형성과 행동에 관한 연구 (Formation and Behavior of Sedimentary Inorganic Sulfides in Banweol Intertidal Flat, Kyo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김범수;이창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40
    • /
    • 1993
  • 조간대 퇴적물 내에서 황화물의 형성과 그 행동을 고찰하기 위해 황해 경기만에 위치한 반월조간 대에서 1990년부터 1992년에 걸쳐 총 7번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황 상염, 암모늄, 인산염, 황화수소, 철이온 등의 공극수 용존성분과 AVS, 원소황, pyrite sulfur 등의 퇴적물 내 황화물을 분석하였다. 공극수에서 황화수소, 암모늄, 인산염 등의 농도가 활발한 황산염환원의 결과로 이인해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철이온의 농도는 표 아래에서 급격히 감소했는데, 황화수소의 농도를 고려할 때 이는 황화물의 형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퇴적물 내의 황화물을 분 석한 결과 총황화물의 양은 최고 7.9 mg/g 이었다. 황화물 중 가장 우세한 형태는 AVS 로 언제나 전체 황화물의 50%를 넘었으며, 가장 안정한 형태의 황화물로 알려진 pyrite sulfur가 element sulfuur보다 약간 많았다. 이 지역에서 퇴적물 내 황화물 중 ASV는 언제나 활발하게 만들 어지지만, ASV와 element sulfur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pyrite sulfur 는 그 형성이 제한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제한 요소는 element sulfur의 양으로 생각된다.

  • PDF

위성영상의 신경망 분류에 의한 평안남도 온천군 해안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Area in Oncheon Gun of Pyeongnam Province by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West Coast of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8-290
    • /
    • 2005
  • 본 논문은 1988년 Landsat TM 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신경망 분류법을 이용하여 북한 서해안 평남 온천군 해안지역의 지형 및 환경변화, 토지이용의 변화과정을 추정한 것이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변화가 특히 심한 광량만과 서부지역은 해상도 60cm의 Quick Bird 영상을 통해 정밀한 지표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인공신경망 기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류 등급과 분석 오차의 감소 등 개선된 지표 피복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1988년 TM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비교에 의한 측정 변화의 결과를 보면, 1988년 건설 중이던 광량만 방조제가 2002년에는 완성된 상태였다. 그리고 1988년의 간척지는 주로 염전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2002년에는 염전과 함께 안정화된 간척지, 염전에서 전향된 논농사 지역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두드러진 변화는 간척된 염전이나 방조제 외곽에 새로운 간석지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북한 해안환경 변화의 database화, 북한의 합리적이고도 생산성 있는 토지이용에 대한 협력방안 강구, 통일 후 국토관리 및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서해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 (Tid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Hampyeong Bay, West coast of Korea)

  • 강미란;임동일;장풍국;김기범;강영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2-208
    • /
    • 2009
  • 갯벌과 주변 연안역 사이의 물질순환, 특히 영양염 순환에 있어서의 갯벌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서해 남부 해역의 대표적 갯벌인 함평만 입구에서 4차례(2008년 8월 5일과 18일, 2008년 10월 28일, 2009년 2월 9일)에 걸쳐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온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간조시 높고 만조시 낮은 반면, 가을과 겨울철은 간조시 낮고 만조시 높아 여름과 대조적인 경향을 보인다. 염분은 조위가 상승함에 따라 외해수가 유입되어 여름/겨울철에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은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는 반면, 가을철에는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모든 계절에서 만조와 간조시 염분의 차는 0.3 psu미만이였다. 한편 함평만에서 관측된 모든 영양염은 조위변화에 따라 여름철 만조시 낮고 간조시 높은 반면, 겨울철은 만조시 높고 간조시 낮아 여름철과 반대의 패턴을 보인다. 특징적으로 가을철은 조위변화에 따른 뚜렷한 농도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함평만 갯벌이 여름철에는 영양염의 공급원으로 겨울철에는 영양염의 제거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영양염 계절별 조위변동은 외해수와 갯벌에서의 영양염 농도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갯벌과 외해수 사이의 상호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의 서식환경과 서식밀도의 변화 (Changes in density and culture conditio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송재희;최윤석;안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7-216
    • /
    • 2013
  • 서해안 4개 지역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조성에 따른 바지락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0.8-31.2^{\circ}C$ 범위로 나타났으며, 염분은 22.5-33.7 psu, 용존산소는 4.4-12.0mg/L, pH는 7.39-8.99였다. 질소는 0.016-1.206mg/L, 인은 0.004-0.090mg/L, 규소는 0.016-1.592mg/L로 나타났다. 클로로필-a는 0.2-12.1 ${\mu}g/L$로 나타났다. 저질조성은 파도리는 니사질로 분급이 매우 불량하였으며, 선재와 황도는 니사질로 분급이 양호하였으며, 선감은 역니사질로 분급이 불량하였다. 서식밀도는 저질조성에 따라 선재와 선감에서 높았으며, 황도와 파도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치패가 자연발생하여 씨뿌림이 없는 바지락 양식장에서 서식밀도는 폐사, 어획에 따라 감소하고, 전년도의 서식량에 따라 가입량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식밀도는 비만도와 바지락 형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겨울철 수온이 높고 먹이생물인 클로로필-a가 높았던 황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재와 선감은 비슷하였고 파도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형태적 특성에서 선감이 가장 장형이었으며, 파도리는 단형에 가까웠다.

Analysis of Numerical Model Wave Predictions for Coastal Waters at Gunsan-Janghang Harbor Entrance

  • Lee Joong-Woo;Lee Hak-Seung;Lee Hoon;Jeon Min-Su;Kim Kang-M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27-634
    • /
    • 2005
  • Gunsan-Janghang Harbor is located at the mouth of Gum River, on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The harbor and coastal boundaries are protected from the effects of the open ocean by natural coastal islands and shoals due to depositions from the river, and two breakwaters. The navigation channel commences at the gap formed by the outer breakwater and extends through a bay via a long channel formed by an isolated jetty.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wave transformation process where a wide coastline changes appear due to on-going reclamation works, we applied the spectral wave model including wind effect to the related site, together with the energy balance models. This paper summarizes comparisons of coastal responses predicted by several numerical wave predictions obtained at the coastal waters near Gunsan-Janghang Harbor. Field and numerical model investigations were initially conducted for the original navigation channel management project. We hope to contribute from this study that coastal engineers are able to use safety the numerical models in the area of port and navigational channe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