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inanc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9초

사회복지정책 참여자로서 NPO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조직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PO as a Participant in Social Welfare Polic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rganization-)

  • 이다솔;김춘순;이대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16-726
    • /
    • 2021
  • 본 연구는 높은 기부금 수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운영을 유지하고 있는 10개의 복지 NPO의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평가 기준을 도출하여 해당 NPO 기관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국내 복지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기부금 수입이 높은 국내 복지 관련 NPO들은 모두 투명성이 높고, 재무안전성이 높았다. 또한 효율성 부분에서도 3점 후반대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기부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SNS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NPO들이 기부자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기부금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NPO가 독립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Substitution Elasticity and Gains from Trade Variety in South Korea

  • Kichun Ka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7호
    • /
    • pp.1-18
    • /
    • 2022
  • Purpose - Recent international studies have largely focused on measuring the welfare gains from increased trade varieties. To adequately capture the variety gains, it is of importance to estimate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varieties of trade goods because it is one of the key parameters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variety gains. Using the import data of South Korea, this paper shows that the elasticities vary substantially across the estimators, which affects the magnitude of the gains from trade. Design/methodology - Empirical studies working on the gains from trade variety have heavily depended on the estimation methods for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trade varieties, developed by Feenstra (1994) and refined by Broda and Weinstein (2006). We estimate and compare the estimated elasticities for 8,945 HS 10 goods of South Korea, obtained from the three estimation methods: Feenstra's weighted least square (F-WLS), Feenstra'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FGLS), and Broda and Weinstein'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BW-FGLS). Findings - Using the estimated elasticities from the F-FGLS, considered as a suitable estimator, A typical Korean consumer saved 228 dollars per year by the greater access to new import varieties. This leads to gains from imported variety of 2.06% of GDP. In 2017, a typical Korean consumer would gain by 611 dollars, compared with 2000. China is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contribution (28.4%), followed by Japan and USA. About 50% of all the welfare gains come from the imports from the three main trade partners. The Southern Asian countries are more important to the South Korean welfare gain than the Western European countries. Originality/value - Existing studies have chosen one of the methods without any criterion for the choice and then estimated the elasticities of substitution between varieties of trade goods. This paper focuses on the estimation specifications and methods as the cause of the disparity in estimated elasticities and welfare gains from trade variety. According to the Ramsey RESET and White tests, the F-FGLS estimates are relatively better compared to the F-WLS and BW-FGLS estimates. As another contribution,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measure of the welfare gains from trade variety for South Korea, using the estimated elasticities of substitution between trade varieties.

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proving Management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problem and prospects-)

  • 전채근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561-579
    • /
    • 2000
  •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 내에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중심으로 한 종합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시설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복지관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만성적인 재원부족으로 자율적이고 특수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재정부족과 관련되는 문제로 조직과 인력구성이 본래의 사업과 특수사업을 운영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다는 점, 그리고 사업분야 가운데 지역사회복지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지역사회의 사회문제 해결이나 주민참여에 의한 조직체 형성, 타기관 협력 연계를 통한 사회제도적 변화가 유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사회복지관 본연의 역할인 전문 상담 예방적 서비스제공 등의 활성화를 위해서 재정지원의 현실화가 최우선 과제이고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각 복지시설별 양적 수요분석과 함께 주민욕구를 분석하여 소비자중심의 지역단위 복지종합계획이 수립, 실천되어야 하겠으며, 지역사회복지체계의 수립과 계획을 위하여 종합적인 "지역사회복지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분야별 전문인력 자원봉사자 확보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법적 보완이 필요하고, 평가에 있어서도 운영평가와 프로그램평가로 구분하여 운영평가를 회계감사로 대신하고 프로그램평가는 질적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제를 운영법인에도 실시하여 위탁운영 재계약 여부를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76-89
    • /
    • 2014
  • 건강 증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등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은 확장하고 있으나, 확장된 기능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공원 정책개발 및 집행 과정에 도시공원의 다기능성과 분배적 형평성을 반영하기 위해 녹색복지 개념을 제안한다.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NUP)의 분배적 형평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원복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색복지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생애주기별 시민 모두가 건강 증진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녹색 서비스 전달과정에 참여하고 공정한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정의했다. 분석결과 서울시는 자치구별 사회 경제 환경적 지위에 따라 1인당 NUP 면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NUP 면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공원복지 지표는 인구밀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홍수 및 대기오염 취약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공원복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NUP는 불균형적으로 공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의 향후 도시공원 정책은 양적 확충을 넘어 공원이 지닌 기능의 공정한 분배가 요구되며, 이는 공원서비스의 수요자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 Local Governments)

  • 고동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38-245
    • /
    • 2011
  • 지방자치제도의 도입은 지역주민의 요구에 따른 공공서비스의 효율적 공급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자치단체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많은 예산을 편성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사회복지 재정의 효율적 사용과 운영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본 연구는 전국 16개 광역 자치단체의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투입변수는 1인당지역내총생산, 일반회계중복지예산비율, 재정자립도, 만명당사회복지전담공무원수, 산출변수로는 유아천명당보육시설수, 10만명당사회복지시설수, 천명당공원면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단체별 사회복지시설의 효율성에 격차가 있었다. 7개 자치단체가 비효율적이었으며, 부산과 충남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규모수익불변인 DMU는 9개 자치단체이며, 인천, 광주, 강원은 투입요소의 규모를 늘려 각 자치단체의 효율성을 증가시켜야 하며, 부산, 충남, 경남, 경북은 투입요소의 효율성 향상방안을 수립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시·군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eterminant - Factors of the Budget for the Aged Welfare - Focused with the Local Governments of Cities & Counties in Jeollabukdo -)

  • 김성수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07-923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노인복지 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를 사례로 선정하고 각종 통계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군의 경우에는 사회경제적 요인인 노인인구비율과 인구규모가, 정치행정적 요인인 공무원의 수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점증적 요인은 시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적 요인은 군의 경우, 1인당 세출예산액이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종합적인 분석에서 도의 경우에는 정치행정적 요인이, 군의 경우는 재정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노인복지예산 확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노인복지예산의 혁신적인 확충이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노인복지예산은 중앙정부나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의존도가 높으므로 지역간 복지수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조금의 지원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인구의 비율이 높은 군의 경우에는 노인복지의 행정수요를 반영한 예산이 확충되어야 한다. 끝으로, 군지역은 노인문제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공무원의 수가 노인복지예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Factors Affecting Employee's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Vietnam

  • DIEN, Nguyen Xuan;DUYEN, Dang Thi Thu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295-302
    • /
    • 2021
  • In the context of economic growth, the banking system has greatly contributed to a substantial rise in living conditions, connecting savings and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Since economic reform in 1986, Vietnam's banking system has increasingly expanded in quality and quantity of banks including state-owned, private-owned, and foreign bank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ain factors affecting employee's performance in the banking system in the case of an emerging economy of Vietnam. Using the pilot study by investigating three experts in a few banks in order to correct the questionnaires, and a mega sample data of 170 observations conducted from bank's staffs, and managers in Hanoi capital of Vietnam,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can explain 67% of the change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employee's performance, and the rest (31%) can be explained by other reasons. Further, motivation (MO), and working ability (WA) have a positive and in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performance, reflecting that motivation, and working ability have insignificantly affected employee's performance. In contrast, four factors, namely, welfare, working environment, cooperation, and education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performance in the case of Hanoi, Vietnam.

The Macroeconomic Production Model in Business Environment - Analying with a Static and Dynamic Equations

  • Donghae LEE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4권1호
    • /
    • pp.23-30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acroeconomic model through both static and dynamic equation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in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across changing economic variabl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llen-Uzawa production func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World Bank's annual central statistical office database from 2010 to 2021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level of expenditures and of the public finance sector, macroeconomic data like output, inflation rates, and labor are examined.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teraction of two equations, clarifying that the macroeconomic model is practical to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both static and dynamic equation systems analytically. The Allen-Uzawa equations allow for the verification of macroeconomic model properties, and study results demonstrate an increase in the range of capital uses as a form of mechanization. A constant elasticity of substitution function is derived from the macroeconomic variables. Conclusion: The macroeconomic model, th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c and dynamic Allen - Uzawa model, not only facilitates the examination of long-term trends in crucial endogenous variables but also overcomes challenges commonly associated with other mathematical methods. Overall, the analysis promotes economic growth, investment, and employment. The levels of expenditures and the public finance sector, along with macroeconomic data such as output, inflation rates, and labor, are examined.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활동 지원에 대한 길버트와 테렐 분석틀의 적용과 활성화 방안 (The Proposal and Analysis by Gilbert and Terrell on Supports for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 정지영;정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409-41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설립된 2012년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창작활동에 대한 지원사업을 고찰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분석틀로써 길버트와 테렐(Gilbert and Terrell)의 네 가지 측면인 할당, 재정, 급여, 서비스 전달체계의 측면에서 각각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할당의 대상으로서 예술인의 규정이 모호하며 다양한 급여의 형태와 전달체계가 현실적으로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재정마련에 있어서도 국고이외에 보다 적극적이고 새로운 확보의 방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예술인 지원대상구분에 대한 연구, 일회성이 아닌 장기적인 재원확보 및 현실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 등과 같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의 데이터경제 현황 및 평가: 금융, 부동산, 의료 부문을 중심으로 (Data economy in Korea: Cases of finance, real estate, and medical care sectors)

  • 조만;문성욱;이인복;최성윤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1호
    • /
    • pp.65-103
    • /
    • 2023
  • 최근 데이터 기반 경제 활동의 비중이 급증하면서 데이터경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만 우리나라 주요 산업별 데이터경제로의 전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경제의 주요 특징을 플랫폼(platform) 구축, 예측력(predictive power) 강화, 새로운 분석모델(new analytical model)의 활용으로 정리하고, 이에 입각하여 우리나라의 금융, 부동산, 의료 부문 간 데이터 기반 활동의 정도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금융, 부동산, 의료 부문별로 데이터경제 특징이 실현되고 있는 속도와 내용이 다르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데이터경제의 확산을 통해 경제 생산성 향상과 복지 증대를 위해서는 금융, 부동산, 의료 등 주요 산업 부문별로 차별화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